경주시 인구가 매년 감소하면서 지난해 11월 말 26만명 선이 붕괴됐다. 열악한 교육환경, 양질의 일자리와 의료시설 부족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구감소가 지속돼 온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지는 지난해 경주시의 ‘정주인구 증가를 위한 발전전략 용역’ 결과를 토대로 현 경주시 인구현황과 문제점, 향후 인구증가를 위한 방안 등에 대해 살펴봤다. /편집자주 본지는 지난 호 전입신고서상 경주시민들이 타지로 떠나는 주된 이유로 ‘직업’이 가장 많았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기획 보도했다. 타·시도로 전출하는 이유로 직업에 이어 가족, 주택, 교육 등의 순이었으며, 연령대별 전출인구는 2~30대가 가장 많았다. 본지가 4회에 걸쳐 경주시 인구현황과 감소 원인을 살펴본 결과 지역 내 2~40대의 순유출 비율이 높게 나타나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책마련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열악한 교육환경과 주택문제 등이 인구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파악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개선 방안 마련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더 나은 일자리를 찾아서 경주를 떠나는 2~30대, 좋은 교육환경을 갖춘 도시로 떠나가는 10대와 그들의 부모 연령대인 40대, 인근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주택가격으로 이사를 나가는 세대 등···.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해결방안을 추진하지 않는 한 경주시 인구증가는 요원해 보인다는 것이다. -기업 유치·일자리 확대 통해 경제활동인구 유입해야 2~30대가 타 시·도로 가장 많이 떠나고 있는 것은 결국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청년 구직자들이 많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경주의 기업들이 체감하는 기업환경평가에서 저조한 성적을 내고 있는 것과도 맞물린다. 기업하기 좋은 환경이란 바로 취업하기 좋은 환경과 직결되기 때문. 지난해 말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2015년 전국규제지도’. 대한상의가 전국 228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만족도(기업체감도) 및 기업하기 좋은 환경(경제활동친화성) 조사에서 경주가 각각 193위, 198위를 차지해 기업하기 좋은 도시가 아니라는 평가를 받았다. 규제합리성과 행정시스템, 행정행태, 공무원태도, 규제개선 의지 등 5개 항목을 평가한 ‘기업체감도’와 공장설립, 창업지원, 기업유치지원, 음식점창업, 실적편차 다가구주택 신축, 산업단지, 유통물류, 환경, 공공계약 등을 평가한 ‘경제활동친화성’에서 저조한 성적을 낸 것. 이는 경주시가 지역 기업들이 체감하고 있는 문제점 등을 정확히 분석하고 개선점을 찾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해 보이는 대목이다. 이에 따라 ‘정주인구 증가를 위한 발전전략’ 용역을 수행한 (재)한국경제기획연구원은 ‘경주시의 특화산업 육성 및 한수원 본사 이전에 따른 관련기업 유치 활성화’를 주요 시책으로 제시했다.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기업유치와 청년 일자리 확대 등을 통해 지역 내 경제활동인구를 증가시켜야 한다는 게 주요 골자다. 이를 위해 한수원 본사 이전과 산업단지 확장 등의 산업 환경 변화를 반영한 ‘경주시의 특화산업을 발굴·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것. 또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도로 증설, 인적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기업하기 좋은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주시 이전 기업에 대한 지원확대’와 ‘민간부문의 청년일자리 창출 지원’, ‘대학 창조일자리센터 설립’ 등이 뒤따라야 한다고 제안했다. -고교평준화 도입 등 교육정책 변화 시도해야 본지는 지난 호에서 행정자치부 2014년 ‘국내인구이동통계연보’ 분석을 통해 경주 인근 도시인 포항과 울산의 경우 10대와 40대의 전출비율이 타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고 밝혔다. 울산과 포항에서 통근하는 인구와 주거지를 경주에 두고 울산과 포항으로 전출하는 인구수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 것. 그리고 공교롭게도 이들 도시는 고등학교 평준화 지역이라는 점이다. 특히 울산과 포항 인근인 안강읍, 양남면 등지의 인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어 교육이사가 경주시 인구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점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에 따라 (재)한국경제기획연구원은 경주는 고교 비평준화지역으로 고교 입시 준비로 인한 학습부담 과중 및 입시경쟁이 과열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또 경주교육지원청이 실시한 ‘경주시 교육 문제점’ 설문조사 결과에 나타난 ‘사교육비 증가, 주입식 교육, 비평준화 지역’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교 평준화가 필요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고교평준화에 대한 찬반 의견이 지역사회와 각급 학교 등에서도 극명하게 갈리고 있어 향후 추진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연구원은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특목고 등의 유치를 핵심추진과제로 제안했다. 우수한 교육여건 마련으로 지역 청소년의 외지 유출을 막고, 타 지역 청소년 인구를 유입해야 한다는 것. 또 ‘학교 평가에 따른 지원 차별화’를 통해 학교 주도의 우수 교육이 활성화 되도록 정책방안을 구성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인구이동 원인과 현황 분석결과 10대 인구 유출도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지역 교육정책의 변화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어 대학생의 감소폭을 줄이기 위해 각 대학들의 교육환경 정비와 교육수준 향상 등을 통한 ‘대학교육 질 증대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지역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매년 우수한 인재들이 타 지역의 특목고와 과학고 등으로 빠져나가는 것은 미래 경주발전에 희망이 없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한수원 본사 이전에 따른 직원 자녀들의 경주 유입을 위해서라도 고교 평준화와 자사고 유치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연구원은 이외에도 경주시 정주인구 증가를 위한 방안으로 △결혼하기 좋은 환경 통한 출산율 증가 △정주환경 정비와 인구증가 정책을 통한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역사·문화·예술 활성화를 통한 경주시민의 지역 자부심 증대 등을 제안했다. -한수원 본사 이전 인구증가 기회되나? 한수원 본사 이전에 따라 오는 3월 직원들의 경주 이전이 완료될 예정으로 인구증가가 예상되고 있지만, 직원 가족들의 유입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연구원에 따르면 1100여명 규모의 한수원 본사 직원들의 연령대별 특성을 분석한 결과 36~50세가 65%로 대다수고, 35세 이하 직원 25%, 51세 이상은 12%로 조사됐다. 또 기혼 남자직원의 약 25%, 기혼 여자직원의 약 89%가 맞벌이를 하고 있으며, 자녀는 초등학생 446명, 중학생 134명, 고등학생 161명, 대학생 265명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한수원 본사 직원들의 경주 유입에 따라 3월 이후부터 인구증가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 한수원 본사 정원이 향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판단, 이에 따른 가족 구성원의 유입과 관련 회사 직원 유입 등으로 한수원과 관련한 인구는 매년 증가할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초·중·고·대학생 자녀를 둔 직원 세대가 본사 이전과 동시에 가족 모두 경주시로 전입하는 경우는 드물 것으로 판단했다. 이는 경주시의 교육환경과 편의시설 등을 감안하면 현재로서는 가족 구성원 모두가 경주로 오기는 어렵다는 것. 이는 현재 월성원전 인근 소재 직원 사택 인구 현황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한수원 직원사택 주민등록 현황에 따르면 읍천·나아 직원 사택은 입주 가능한 923세대 중 821세대, 2000여명이 입주해 있지만, 실 입주인원의 48%인 392세대 1064명만 경주로 전입했다. 신월성 직원사택의 경우는 430세대 가운데 390세대가 입주해 있으며, 입주인원의 42%인 165세대 439명만 전입을 완료했다. 특히 이들 세대의 전입이 이뤄질 경우 약 1500여명의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미전입 인구의 주민등록 이전을 위한 대책 마련도 필요해 보인다. 연구원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결국 한수원 본사 경주이전에 따라 직원들이 경주로 유입되지만 전체 직원이 주민등록 이전까지 완료할 지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 관계자는 “주거의 자유가 있는 이상 한수원 본사 직원과 월성원전 사택 직원들의 주민등록 이전을 강제할 수는 없다”면서도 “한수원과 경주시는 이 같은 현상의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해 직원들의 경주 전입을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천시 인구 증가 사례 타산지석 삼아야 경북도내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반면 경주시 인구는 매년 감소하고 있다. 지난 17일 경북도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 경북 총인구는 275만2591명(내국인 270만2826명, 외국인 4만9765명)으로 지난해 대비 3992명(0.15%)이 늘었다. 2010년을 기점으로는 6년간 연평균 0.2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군별로 지난해 대비 증가한 지자체는 김천시가 482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산시 3379명, 칠곡군 869명 등 7개 시·군의 인구가 증가했다. 도내 23개 시·군 중 7개 시·군이 증가한 반면 17개 시·군에서는 인구가 감소했는데 경주시는 2014년 대비 960명이 줄어, 영주시(991명 감소)에 이어 두 번째로 이 감소수가 많았다. 도내에서 가장 많은 인구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김천시의 경우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전입자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3년 13만6858명에 불과하던 인구는 2015년말 14만1987명으로 증가했다. 인구 15만 회복 운동이후 급격한 인구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 김천시는 인구증가를 위해 지난해 대구은행과 업무협약을 맺고 ‘김천 15만 사랑 적금’이란 금융상품을 내놓는 등 차별화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는 2014년 7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김천에 전입 신고한 시민을 대상으로 1인 1계좌에 한해 5~50만 이하로 적금에 가입하면 기본금리에 특별금리(0.5%)를 얹어주는 상품이다. 이외에도 귀농시책, 출산장려금 홍보, 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 직원 대상 ‘김천주소갖기 운동’ 전개, 매주 수요일 ‘찾아가는 현장 전입신고의 날’ 운영 등 다양한 시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김천시가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에 맞춰 다양한 인구증가 정책을 시도하면서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사례는 3월 한수원 본사 이전을 앞두고 있는 경주시가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대상이 되고 있다. 경산시 역시 대구 일부지역 아파트 시세가 급상승하자 인구가 유입되기 시작했고, 이에 맞춰 산업공단 확장, 경산지식산업지구 개발과 함께 저출산 극복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쏟아낸 결과 매년 인구가 늘고 있다. 이에 대해 경주시 관계자는 “그동안 시에서도 다양한 인구증가 정책을 펼쳐왔지만 결과는 매년 감소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정주인구 증가를 위한 용역을 진행했다”면서 “용역 결과에 따라 현재 관련 부서에서 각각 인구증가 방안을 마련 중에 있으며, 이를 토대로 최종 정책을 결정해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주시 인구가 매년 감소하면서 지난해 11월 말 26만명 선이 붕괴됐다. 열악한 교육환경, 양질의 일자리와 의료시설 부족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구감소가 지속돼 온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지는 이번호부터 지난해 경주시의 ‘정주인구 증가를 위한 발전전략 용역’ 결과를 토대로 현 경주시 인구현황과 문제점, 향후 인구증가를 위한 방안 등에 대해 몇 차례에 걸쳐 살펴본다. /편집자주 경주에서 타 시·도로 거주지를 옮긴 사람들의 주된 이유가 ‘직업’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2014년 2년 사이 경주서 타 시·도로 거주지를 옮긴 지역민들이 전입신고서상에 체크하도록 돼있는 전입 사유 7개 항목 중 ‘직업’을 가장 많이 선택한 것. 고향을 등지고 전국 각지로 거주지를 옮긴 대다수의 시민들은 결국 취업, 사업, 직장이전 등 일자리를 찾아 경주를 떠난 것이다. 이에 따라 지역 내 인구를 머무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행정자치부와 통계청이 전입·전출자의 ‘전입신고서’를 기초로 조사한 인구이동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출 사유로는 직업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가족, 주택, 교육 등의 순이었다. 전입신고서는 1개 세대에 속하는 가족 또는 일부가 새 거주지로 옮길 때, 전입한 시·군·구 및 읍·면·동에 의무적으로 알려 주민등록을 정정하기 위해 제출하는 서류다. 서류에는 전입하는 이유를 기재하도록 하는 ‘전입사유’란이 있는데 △직업(취업, 사업, 직장이전 등) △가족(가족과 함께 거주, 결혼, 분가 등) △주택(주택구입, 계약만료, 전세, 재개발 등) △교육(진학, 학업, 자녀교육 등) △주거환경(교통, 문화·편의시설 등) △자연환경(건강, 공해, 전원생활 등) △그 밖에 사유 등 7개 항목을 나열했다. 이 중 주거지를 옮기는 주된 이유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주거지 이동 당사자가 직접 신고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전입하게 된 사유가 가장 정확히 기재된 서류이기도 하다. -2013~2014년 전출인구 ‘직업’ 이유로 가장 많이 떠나 지난 2013년, 2014년 경주시에서 타 시도·시군구(경주지역 내 이동인구 포함)로 ‘전출’한 인구는 각각 3만1816명, 3만1484명 등 총 6만3300명이었다. 이 중 경주를 비롯한 경북도를 벗어나 타 시·도로 떠난 인구는 각각 1만1524명, 1만2877명으로 2년간 총 2만4401명이었다. 이들이 경주를 떠난 이유 가운데 ‘직업’을 선택한 사람들이 8796명(36%)으로 집계돼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어 ‘가족’이 6772명(27.8%)으로 떨어져있던 가족과 합치거나 결혼, 분가 등을 전출 이유로 밝혔다. 주택 구입이나 전세, 기존에 살고 있던 집의 계약만료 등 ‘주택’을 이유로 떠난 인구는 5234명(21.4%)에 달했다. 의외로 진학이나 학업, 자녀교육 등의 이유로 이사를 가는 인구는 생각만큼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을 사유로 밝힌 시민들은 1821명으로 7.5%의 비율을 차지해 직업, 가족, 주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외에도 기타 1152명(4.7%), 주거환경 397명(1.6%), 자연환경 229명(0.9%)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같은 기간 경주지역과 경북도내 이동 인구를 포함해 타 시도·시군구로 떠난 인구 6만3300명을 대상으로 한 전출 사유 조사에서는 ‘주택’이 2만4146명(38.1%)으로 가장 많아 타 시·도로 옮긴 사유와는 차이를 보였다. 이어 ‘가족’ 1만5570명(24.6%), ‘직업’ 1만5334명(24.4%), ‘교육’ 3546명(5.6%) 등의 순이었다. 이는 최근 지역 내 완공된 아파트로 입주하는 등 경주지역 내에서 이사를 하는 세대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입인구는? 2013년과 2014년 경주로 전입해 온 인구는 각각 3만1183명, 2만9990명으로 총 6만1173명이었다. 같은 기간 전출 인구가 6만3300명인 것을 감안하면 2년 사이 2127명의 인구가 감소한 셈이다. 총 전입인구 가운데 경주와 경북도내 이동 인구를 제외한 타 시·도에서의 ‘전입’은 각각 1만1371명, 1만2002명으로 총 2만3373명이 경주로 옮겨왔다. 이들의 전입사유로는 전출과 마찬가지로 직업(9006명)이 가장 많았으며, 가족(7076명), 주택(4194명), 교육(1104명), 기타(956명)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연환경(716명)과 주거환경(321명)은 전출사유와 반대 양상이었다. -2014년 전출 인구 ‘2~30대’가 가장 많아 행정자치부 ‘국내인구이동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 2014년 한 해 동안 경주지역 타 시·도 전출 인구 중에서는 2~3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총 전출 3만1484명 중 경주 지역 내 이동 인구 1만4169명을 제외한 1만7315명이 경주를 벗어난 타지로 주소지를 옮겼다. 그 중 20대가 4431명(25.6%), 30대 3700명(21.4%)으로 전체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이어 40대 2590명(15%), 50대 2028명(11.7%), 10대 1440명(8.3%), 9세 이하 1348명(7.8%), 60대 929명(5.4%), 70대 524명(3%), 80대 이상 325명(1.9%) 순이었다. 이처럼 타 시·도로 떠나는 2~30대가 가장 많고, 전입신고서상 전출 이유로 ‘직업’을 선택한 비율이 높다는 것은 결국 2~30대가 더 나은 직장을 찾아 경주를 떠났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지난 1월 현재 경주시 기업체가 소기업 1617개, 중기업 127개, 대기업 16개로, 소기업의 비율이 높은 것과 무관치 않다는 평가다. 특히 지역 내 1760개 업체 중 자동차 부품 428개, 기계 금속 652개, 비금속 광물 130개 등 총 1210개로 제조업에 치중된 것도 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2~30대가 경주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수 기업유치 및 양질의 일자리 확대가 시급해 보인다. -가장 많이 이사를 간 곳은 ‘울산’ 지난 2014년 한 해 동안 경주를 떠난 인구 중 ‘울산’으로 이사한 인구가 가장 많았다. 이어 포항, 대구, 부산 순이었다. 행자부 ‘국내인구이동통계연보’에 따르면 울산으로 거주지를 옮긴 인구는 3266명(18.9%)으로 가장 많았다. 경주를 제외한 경북도내 전출인구는 총 4438명으로, 이 중 포항으로 떠난 인구가 2579명(14.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대구 1946명(11.2%), 부산은 1683명(9.7%)이었다. 이는 경주에 비해 일자리와 교육인프라가 더 나은 인접한 도시로 거주지를 옮긴 것. 이외에도 서울 1665명(9.6%), 경기도 1410(8.1%)명, 경상남도 1070명(6.2%) 등의 순이었다. 또 인접 도시 가운데 울산은 30대 인구가 785명으로 20대 645명보다 많았고, 포항은 30대 613명, 40대 488명으로 20대 425명보다 전출인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전체 전출 인구 분석에서는 20대가 가장 많았던 반면 울산과 포항은 역전된 것. 이는 10대 인구가 울산 245명, 포항 272명으로 대구(134명), 부산(137명)보다 많은 것을 감안할 때 일자리와 교육이사 등이 함께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입 인구수가 가장 많은 도시도 울산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4년 경주지역 전입신고 수는 총 2만9990명으로 지역 내 이동 인구 1만4169명을 제하면 타지에서 1만5821명이 경주로 주거지를 옮겨왔다. 그 가운데 울산에서 경주로 전입한 인구가 3139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포항 3024명, 대구 1797명, 부산 1686명, 서울 1313명 등의 순으로 전입해왔다. -나 홀로 이사 가장 많아 경주에서 타지로 나가거나 타지에서 경주로 들어온 인구의 대부분이 ‘나홀로 이주’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연보에 따르면 2014년 경주에서 전국으로 전출한 건수는 2만1135건. 이 가운데 1인 전출은 1만5750건으로, 전체 74.5%가 직업, 가족, 주택, 교육 등을 이유로 혼자서 경주를 떠났다. 2인 규모는 2364명(11.2%), 3인 1508명(7.1%), 4인 1175명(5.6%), 5인 265명(1.3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입은 2만5건으로, 그 중 1인 전입이 1만4704건(73.5%)로 가장 많았으며, 2인 2433건(12.2%), 3인 1470건(7.3%), 4인 1071건(5.4%), 5인 256건(1.3%) 등의 순이었다. 이처럼 혼자서 전입·전출하는 인구가 많은 것으로 확인돼 향후 이들을 위한 일자리 창출뿐만 아니라 주거환경 개선 등에 대한 민·관차원의 지원과 노력이 절실해 보인다. 경주의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경주를 떠나는 청년층 등을 잡아두기 위해서는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마련이 급선무다”며 “경주시 등은 한수원 본사 이전에 따른 관련기관·기업 유치, 대기업 유치, 기업 지원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욱 기자 lsw8621@hanmail.net
경주시 인구가 매년 감소하면서 지난해 11월 말 26만명 선이 붕괴됐다. 열악한 교육환경, 양질의 일자리와 의료시설 부족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구감소가 지속돼 온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지는 이번호부터 지난해 경주시의 ‘정주인구 증가를 위한 발전전략 용역’ 결과를 토대로 현 경주시 인구현황과 문제점, 향후 인구증가를 위한 방안 등에 대해 몇 차례에 걸쳐 살펴본다. /편집자주 지난 2011년 대비 2015년 5년간 10세 단위로 경주시 인구수를 분석한 결과 0세~49세 사이의 인구는 모두 감소했고, 50대 이후부터는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0세~49세 전체 인구는 지난 2011년 대비 16만6708명에서 2015년 14만8986명으로 1만7722명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50세~100세 이상 인구는 9만8780명에서 11만787명으로 1만2007명이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이에 따라 경주시 총인구는 5년간 총 5715명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 중 30세~39세 사이인 30대가 6512명 감소해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이어 10대 6191명, 40대 1969명, 9세 이하 1952명, 20대 1098명 순으로 감소했다. 반면 60대는 4216명 증가해 가장 많이 늘었으며, 50대 3566명, 80대 2508명, 70대 1472명 등의 순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세 이하 인구는 2011년 2만1261명에서 2015년 말 1만9309명으로 1952명 감소했다. 이 세대의 인구 감소는 결국 낮은 출산율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10세~19세는 같은 기간 3만3178명에서 2만6987명으로 6191명 감소했다. 10대 인구감소는 경주지역 내 초·중·고등학생이 감소한 것. 결국 본지가 지난 호에서 보도했던 심각한 학령인구의 감소와 같은 맥락에서 지역 내 양질의 교육환경 조성이 시급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20세~29세 인구는 3만476명에서 2만9378명으로 1098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는 대학생과 취업준비생 등이 대부분인 세대다. 이 연령대의 인구가 감소한다는 것은 지역 대학환경 개선의 필요성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문제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연령대인 30~39세 사이 인구는 3만6476명에서 3만395명으로 무려 6512명이나 줄어들었다. 30대 인구가 5년 사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이유 역시 양질의 일자리 부족이 손꼽히고 있다. 40대는 4만4886명에서 4만2917명으로 1969명 감소했다. 40대가 감소하고 있는 것은 경주 인근지역인 대구, 포항, 울산, 부산 등지로 교육이사를 떠나는 10대 학생의 부모들이 함께 주민등록을 옮기고 있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경주지역 0~49세 사이 인구가 감소한 반면 50세 이상 인구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60~69세 사이 인구는 2011년 2만7631명에서 2015년 3만1847명으로 4216명이 늘어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이어 50~59세는 4만1988명에서 4만554명으로 3566명, 80~89세 7000명에서 9508명으로 2508명, 70~79세는 2만1175명에서 2만2647명으로 1472명 순으로 각각 증가했다. 이외에도 90~99세 221명, 100세 이상은 24명씩 각각 증가했다. 이처럼 50대 이상 인구가 증가하는 것은 은퇴 이후 비교적 살기 좋은 경주시로 주거지를 옮기거나 직장인들이 세제혜택을 위해 타지에 거주하는 부모의 주소를 옮기는 등 여러 원인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대해 경주지역 시민단체 한 관계자는 “젊은 세대의 인구가 대량 유출되고 고령 인구가 증가해 경주시가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어 우려된다”면서 “40대 이하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교육환경 개선,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한 시민·사회단체 및 행정기관 등의 자구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읍·면·동 세대별 인구는? 지난 5년간 경주시 각 읍·면 가운데 포항과 울산 인근 지역의 인구도 일부 읍·면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30대와 10대는 감소하고, 50대 이상 세대 인구는 증가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그 중 가장 많은 인구가 유출된 곳은 안강읍으로 같은 기간 2083명이 감소해 전체 인구 감소 수 5715명 대비 36.4%를 차지했다. 세대별로는 30대가 5년간 1159명이 감소했으며, 10대 1060명, 40대가 650명 등의 순으로 감소했다. 반면 50대가 459명 늘고, 60대 393명, 80대 361명, 70대 127명 순으로 증가했다. 감포읍도 5년간 606명이 감소한 가운데 10대가 174명으로 가장 크게 줄었으며, 40대 170명, 20대 151명, 30대 134명, 50대 116명의 순으로 감소했다. 60대, 70대, 80대는 21명, 101명, 83명씩 각각 증가했다. 양남면은 360명이 감소했으며, 30대 304명, 9세 이하 136명, 10대 118명, 20대 80명, 40대 19명 순으로 줄어들었다. 반면 50대, 60대, 70대는 80명, 111명, 62명씩 각각 증가했다. 인구가 증가한 양북면과 외동읍에서도 10대 인구의 감소율은 높게 나타났다. 양북면은 지난 5년간 185명의 인구가 증가한 가운데 40대가 78명으로 가장 많이 감소했으며, 10대는 75명이 감소했다. 그러나 30대가 106명, 9세 이하도 92명이 늘어나는 등 이외 세대에서는 증가세를 보였다. 5년간 인구 249명이 증가한 외동읍도 10대가 394명이 감소해 가장 높았으며, 30대 273명, 40대 177명, 9세 이하 118명 등의 순으로 감소했다. 반면 50대는 540명 증가했으며, 60대 428명, 80대 188명 등의 순으로 각각 증가했다. 경주지역 동의 경우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용강동과 선도동 역시 10대 인구의 감소세는 높았다. 용강동과 선도동은 지난 5년간 각각 2214명, 1341명씩 증가했지만, 10대는 175명, 159명씩 감소했다. 그러나 타 읍·면·동과 달리 9세 이하, 20대, 그리고 40대 이상 세대는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지서 출퇴근 근로자 비율 높아 이처럼 10대부터 40대의 인구가 모두 감소한 반면 지역 경제활동인구와 취업자 수 등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는 직장은 경주지만 인근 울산, 포항 등에서 출퇴근하는 근로자의 비율이 높다는 분석이다. (재)한국경제기획연구원의 ‘정주인구 증가를 위한 발전 전략’ 최종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경주시의 2015년 기준 15세 이상 인구는 전체 22만2500명이며, 그 중 경제활동인구는 13만8000명, 취업자는 13만6400명으로 나타나 비경제활동인구는 8만4500명, 경제활동 참가율은 62%, 고용률은 61.3%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인구수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다 2015년 소폭 감소세를 보였다. 하지만 2010년 대비 2015년 경제활동인구는 5.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경주시 취업자수, 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 등은 모두 소폭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는 것. 그러나 행자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분석하면 2010년 대비 2015년까지 6년간 20대부터 40대까지의 인구가 1만2397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취업자수 등의 증가와는 큰 차이를 보였다. 결국 이 같은 조사결과를 모두 종합하면 지역 내 취업인구는 증가한 반면 경주시에 주소지를 두지 않고 타지에서 출퇴근 하는 비율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는 셈이다. -정확한 인구통계 분석 통해 대책마련 해야 경주시 인구분석 결과 49세 이하 인구는 급격히 감소하고 있고, 50세 이상 인구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혼인연령과 미혼률 증가로 저출산 현상이 심화되는 등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9세 이하 인구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열악한 교육환경으로 인해 10대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으며, 청년 일자리 부족 등으로 20대 인구 역시 줄어들고 있다는 것. 특히 30대와 40대 역시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고, 창업환경 부실, 자녀 사교육비 증가 등을 이유로 경주를 떠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반면 50대 이상 인구의 증가 원인에 대해서도 정확한 분석과 함께 대책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이를 통해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한 경주시가 향후 노인인구에 대한 다양한 정책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것이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그동안 막연하게 저출산 등으로 인한 인구 감소만을 탓할 게 아니라 경주시 인구 증감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대책마련이 필요해 보인다”며 “경주시는 세대별로 인구 증감에 대한 분석과 미래 예측을 통해 출산율, 교육정책, 일자리, 노인대책 등 모든 분야에 맞춤형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밝혔다.
경주시 인구가 매년 감소하면서 지난해 11월 말 26만명 선이 붕괴됐다. 열악한 교육환경, 양질의 일자리와 의료시설 부족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구감소가 지속돼 온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지는 이번호부터 지난해 경주시의 ‘정주인구 증가를 위한 발전전략 용역’ 결과를 토대로 현 경주시 인구현황과 문제점, 향후 인구증가를 위한 방안 등에 대해 몇 차례에 걸쳐 살펴본다. /편집자주 2015년 한 해 경주지역 내 중·고교생 연령대 인구가 무려 1154명이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교육환경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지난해 1년 동안 경주를 떠난 전체 인구수 1870명 가운데 중·고교생 감소율이 61.7%를 차지해 지역사회에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경주시 2015년 주민등록 인구 집계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월 중학교 1~3학년 연령대 인구가 8722명에서 12월 말엔 7933명으로 789명이 줄어들었다. 또 고등학생 수는 9846명에서 9481명으로 365명 감소하는 등 중·고교생 총 1154명이 급감해 경주시 인구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이는 지난 2014년 1월 대비 12월말 중학생 9277명에서 8786명, 고등학생 1만135명에서 9857명으로 각각 491명, 278명 감소한데 비해 더욱 큰 폭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경주시 전체인구는 1월 26만1643명에서 12월말 25만9773명으로 1870명 감소한 것에 대비하면 중학생은 42.2%, 고등학생 19.5% 등 총 61.7%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경주를 떠나는 인구 100명당 중학생 42.2명, 고등학생 19.5명 등 총 61.7명이 포함돼 있는 셈이다. 시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중학생 수가 고등학생보다 더 많이 감소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중학교 2학년 연령대 인구가 524명 감소해 가장 많았으며, 1학년은 322명 줄었다. 반면 3학년은 57명 증가했다. 고등학생은 2학년이 219명으로 가장 많이 줄었으며, 3학년 84명, 1학년 62명 순으로 감소했다. 지난 2014년에는 중학교 1학년 연령대가 516명, 3학년은 48명 감소했다. 반면 2학년은 118명이 늘어났다. 또 고등학생은 1학년이 211명 감소해 가장 많았으며 2학년 65명, 3학년은 2명이 감소하는데 그쳤다. 이처럼 지역 내 학령인구가 급감하고 있는 데는 경주의 열악한 교육환경이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게다가 중학생 연령대 인구가 전체 인구 감소 수 가운데 42.2%를 차지해 고교 비평준화 지역인 경주의 교육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점점 커지고 있는 것. -중학생 인근 고교평준화지역으로 떠나 지난해 ‘정주인구 증가를 위한 발전전략’ 용역을 수행한 (재)한국경제기획연구원은 최종보고서에서 2005년 대비 2010년 초·중·고·대학·대학교·대학원 전체 재학생 수가 15.3% 감소했고, 2015년 재학생 수는 더욱 큰 폭으로 감소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경주시가 분석한 2014년, 2015년 중·고교생 연령대 인구가 급감한 것과 일치한다. 용역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 대비 2015년(11년간)’ 초등학교 재학생은 43.2% 감소해 가장 크게 줄었으며, 중학교 재학생 29.3%, 고교 재학생은 7.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11년 대비 2015년(5년간)’은 초등학생 13.5%, 중학생 19.1%, 고등학생 5.7% 감소해 중학생 감소폭이 가장 높게 조사됐다. 경북도내 전체 초등학생(2010년 대비 2014년)이 20% 감소한데 비해 경주지역은 13.5% 줄어 도내 평균보다 감소폭이 적었다. 고등학생 수 역시 경북도내 최근 4년간 9.6% 학생 감소에 비해 경주는 5년간 5.7% 감소해 도내 평균보다 낮았다. 그러나 중학생 수는 도내 전체 중학생의 12.7%가 감소한데 비해 경주시는 19.1%감소해 감소폭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경주시 관계자는 “중학생 수가 감소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고교평준화가 시행 중인 인근 울산과 포항, 대구, 부산 등지로 교육이사를 떠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면서 “교육환경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지역 내 중·고교생과 학부모들의 외부 유출을 막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교평준화 본격 논의 여론 일어 경주시 인구 중 중학생 연령대가 매년 크게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면서 고교평준화 등 교육환경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논의가 본격화돼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또 지난해 한수원자사고 설립이 정부의 불허로 최종 무산돼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할 고교 설립 또한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재)한국경제기획연구원은 용역 최종보고서에서 경주의 열악한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고등학교 평준화를 비중 있게 다뤘다. 경주시는 고교 비평준화지역으로써 고교 입시 준비로 인한 학습부담 과중 및 입시경쟁 과열 상태라는 것. 이에 따라 교육환경은 경주시의 인구증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인구증가를 위해서는 현 고등학교의 문제점 개선과 교육의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주시 교육의 문제점을 묻는 설문조사에서도 사교육비 증가, 교육정책 변화에도 주입식교육의 지속, 입시위주 교육, 학교폭력 등이 주를 이뤘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고교 평준화를 제시하기도 했다. -특목고 설립과 함께 고교평준화 시행돼야 그러나 경주지역 고교평준화가 논의되기 시작하면 찬반논쟁에 휩싸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찬성측은 학부모의 경제적 능력이나 환경에 따라 교육조차 ‘빈익빈부익부’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만큼 위화감과 차별을 해소하고 입시부담 완화, 고교 간 격차 해소, 지역 교육 정상화 등을 위해 고교평준화가 반드시 시행돼야 한다는 논리다. 반면 공부 잘하는 학생과 못하는 학생이 같은 수업을 받을 경우 학습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을 기준으로 수업이 이뤄지기 때문에 유능한 인재는 발전할 기회를 잃게 돼 ‘하향평준화’가 우려된다며 반대하는 목소리도 만만찮다. (재)한국경제기획연구원은 지역 내 찬반입장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는 상황을 의식한 듯 “고교평준화에 대한 끊임없는 의문이 나오고 있다”며 “고교평준화 문제의 해결 방법으로 특목고, 자사고, 사립학교의 자율성 부여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특히 인근지역인 울산과 대구, 포항, 부산 등지에서 보유하고 있는 특목고, 국제고, 마이스터고 등을 예로 들며 “이들 학교로의 진학을 위해 경주를 떠나는 학생들이 상당수 있어 인구가 유출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경주시에도 이러한 형태의 학교 설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결국 경쟁이 아닌 협동을 강조하는 교육과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의 학생이 개인 노력으로 학업결손을 만회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는 측면에서 고교평준화가 필요하지만, 이에 따른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어 특목고 등 형태의 학교 설립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교육부가 신규학교 및 특목고 설립에 보수적인 입장이라 하더라도 한수원 본사 이전이라는 특수상황에 따라 자녀들의 교육욕구 해소를 위해 특목고 설립에 대한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현재 경북도내 고교평준화 지역은 포항시가 유일하며, 안동시는 지난 1980년 평준화를 시행하다 1990년 다시 비평준화지역으로 복귀했다. -대학·대학원 학생 수도 감소세 경주지역 소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거주지 이전 홍보가 적극 이뤄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역 결과 지난 2010년 경주시 인구 가운데 대학 재학 중인 인구는 1만3741명. 그러나 경주시 소재 대학을 다니는 인구는 1만7463명으로 3722명이 타 지역에서 주소지를 이전하지 않고 재학 중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 대학생 수를 증가시키고 교원 수 증가를 억제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도 나타났다. 2014년 경주시 통계연보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경주지역 대학교는 단과대학 9.1% 감소, 학과 수 18.8% 감소한 반면, 교원 수 49.2% 증가, 사무직원 수는 18.1%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는 경북도 전체 추세와 비교했을 때 학생 수는 줄어들고 있고 교원 및 사무직원 수는 큰 폭으로 증가한 것. 이로 인해 각 대학들이 재정비를 통해 학생유치를 증대해 인구증가에 기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 수는 2009년 대비 2013년 13개에서 12개로 감소했고, 석사 학과 수는 감소한 반면 박사 학과 수는 13.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수는 석사과정 8.1%, 박사과정 16.6% 감소했다. 이에 따라 대학원 활성화 및 교육의 질 증대로 학생유출을 막고 타지 학생을 유치할 수 있는 교육 환경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경주시 인구가 매년 감소하면서 지난해 11월 말 26만명 선이 붕괴됐다. 열악한 교육환경, 양질의 일자리와 의료시설 부족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구감소가 지속돼 온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지는 이번호부터 지난해 경주시의 ‘정주인구 증가를 위한 발전전략 용역’ 결과를 토대로 현 경주시 인구현황과 문제점, 향후 인구증가를 위한 방안 등에 대해 몇 차례에 걸쳐 살펴본다. /편집자주 경주시 인구가 1997년을 정점으로 매년 감소추세가 지속되고 있어 인구증가 대책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용역결과에 따르면 1997년을 기준으로 2009년까지 매년 평균 2000여 명씩 감소해오던 경주시 인구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는 평균 1000여 명씩 줄어들어 감소세가 둔화되고 있다. 그러나 2015년 11월 기준 경주시 인구가 25만9686명으로 26만명 선이 무너졌다. 특히 지난해 경상북도 전체 한국인 등록인구가 소폭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경주시는 감소해 인구증가 정책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감소하는 경주시 인구 현황은? 2015년 11월 기준 경주시 인구 집계 결과 성별로는 남자 13만3명, 여자 12만9683명이다. 세대수는 11만2527가구이며, 세대당 인구는 2.31명으로 나타났다. 인구감소 추세에도 세대수는 2011년 10만8945세대에 비해 2015년 11만2527세대로 5년새 3582세대가 증가했다. 반면 세대당 인구수는 2.5명에서 2.31명으로 줄어들었다. 이처럼 세대수가 증가하는 것은 자녀들이 타 지역으로 학교와 직장을 찾아 이주하거나 결혼으로 분가하면서 부모만 남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독신주의, 이혼율증가, 독거노인 증가 등으로 1인~2인 가구수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읍·면·동별 인구수는 안강읍이 2만8889명으로 가장 많았고, 황성동 2만8773명, 동천동 2만6295명, 용강동 1만8630명, 성건동 1만7397명, 외동읍 1만6640, 현곡면 1만6175명, 선도동 1만5849명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보덕동이 2088명으로 가장 적었다. 2010년 말 대비 지역 내 가장 많은 수의 인구가 감소한 곳은 안강읍으로 나타났다. 안강읍은 지난 2010년 3만1655명에서 2015년 11월 2만8889명으로 2766명이 감소했다. 이어 황남동이 1400명(7948명→6548명), 황오동 1183명(9237명→8054명), 황성동 877명(2만9650명→2만8773명), 건천읍 687명(1만1341명→1만654명) 등의 순으로 감소했다. 23개 읍·면·동 중 19개 지역에서 인구가 감소한 반면 용강동 등 4개 지역은 인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강동은 2010년 1만6212명에서 1만8630명으로 2418명이 증가해 6년 사이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선도동 1913명, 월성동은 516명이 증가했으며, 양북면은 26명이 증가하는데 그쳤다. 읍·면지역 인구 감소 현황에 따르면 포항과 울산 등 대도시와 인접한 지역의 인구수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도 분석됐다. 포항 인근인 안강읍과 강동읍의 인구가 6년새 2766명, 590명 등 총 3356명이 감소했고, 울산과 인접한 감포읍, 양남면 인구도 각각 791명, 511명 등 1302명으로 대폭 감소했다. 또 외동읍은 최근 산업단지 조성으로 인구증가가 기대됐지만 오히려 31명이 줄어들었다. 이는 경주시 소재 사업체 근로자 가운데 인근 도시인 울산시와 포항시에 거주하면서 출퇴근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난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경제활동인구는 소폭 증가 2015년 기준 경제활동인구는 2010년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경주시 15세 이상 인구는 22만2500명으로 이중 경제활동인구는 13만8000명, 취업자는 13만6400명으로 나타났다. 비경제활동인구는 8만4500명이다. 이에 따라 경제활동 참가율은 62%, 고용률은 61.3%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인구수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다 2015년 소폭 감소했지만 2010년 대비 경제활동인구는 5.3%증가했다. 또 15세 이상 인구, 취업자수, 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 모두 소폭 증가했다. 이는 경북도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경주시 전체의 인구감소가 꾸준히 감소하고, 연령별로 따졌을 때 아동 및 청소년과 그의 부모세대 인구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인구증가를 위해서는 부모세대의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차 산업 취업자↓ 2.3차 산업은 ↑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경주시 산업별 취업자 현황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취업자 수는 매년 소폭 증가해 13만300명에서 14만2800명으로 9.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비중은 2014년 기준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및 기타’분야 취업자가 3만8000명(26.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도소매·음식숙박업 3만900명(21.6%), 광공업 3만명(21%), 농업·임업 및 어업 2만명(14%), 전기·운수·통신·금융 1만4700명(10.3%), 건설업 9100명(6.4%)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간 농업·임업 및 어업 취업자가 2만5400명에서 2만명으로 5400명(-21.3%)이 감소해 가장 많이 줄었다. 반면 건설업 취업자는 7400명에서 9100명으로 1700명(23%)이 증가해 가장 높았으며, 광공업 19.5%,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및 기타 17.6% 등의 순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농업·임업 및 어업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산업에서 취업자수가 상승해 1차 산업이 감소하고 2,3차 산업이 발전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외국인 등록수 매년 증가 경주시 등록 외국인 수는 2010년 5471명에서 2014년 8348명으로 52.6% 증가했다. 연평균 719명 가량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 경주시 외국인 현황에 따르면 8348명 중 남성은 5916명, 여성은 2432명. 거주 목적별로는 취업이 5190명으로 가장 많았고, 유학 431명, 연수 385명, 영주 55명이었고 기타 2287명으로 집계됐다. 국적별로는 베트남 175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계 중국인 1384명, 우즈베키스탄 765명, 스리랑카 639명, 인도네시아 528명 등의 순이었다. 읍면동별로는 외동읍이 3081명으로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성건동 1309명, 감포읍 430명, 안강읍 349명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경주시 전체 등록인구 가운데 외국인 등록인구 비율은 2010년 2%에서 2014년 3.1%를 차지하며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외국인을 위한 편의시설 확충과 정책마련 등을 마련하는 것이 인구증가에 일조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출생 줄고 사망 늘어 인구 자연증가 감소세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경주시 전체 출생 인구는 9855명, 사망인구는 9961명으로 사망인구가 출생인구보다 더 커 인구의 자연증가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2011년까지는 출생인구가 사망인구보다 많아 자연 증가했으나, 2012년 출생 2020명, 사망 2067명으로 47명, 2013년에는 출생 1744명, 사망 2044명으로 270명의 인구가 자연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경북도내 전체 출생인구는 11만7163명, 사망인구 10만998명으로 자연 증가한데 비해 경주시는 출생인구는 빠르게 감소하고, 사망인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의 자연 감소가 도내 타 시·군에 비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어서 출산장려를 위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10년 인구 예측 결과 ‘인구감소’ 예상 한국경제기획연구원이 작성한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10년 간 경주시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원은 경주시의 최근 10년간의 인구현황을 바탕으로 등차급수법, 등비급수법, 최소자승법, 로지스틱법 등 통계학적 예측방법에 의한 인구 예측치를 내놓았다. 추정 결과 2016년 경주시 인구수는 25만3097명으로 예상했으며, 2019년에는 24만8958명으로 25만명 선도 붕괴될 것으로 예측했다. 그리고 10년 후인 2025년에는 24만732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인구감소의 원인은? 한국경제기획연구원은 이번 용역에서 경주시 인구감소의 원인으로 교육·문화 등 정주여건의 미흡, 관광산업의 침체, 기업유치 부진 등으로 인구 유출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교육인프라가 취약하고, 교육환경의 미흡 등이 일자리부족과 더불어 젊은층의 타지 유출을 가속화하는 가장 큰 원인이라고 밝혔다. 또 출산 육아에 대한 공공지원의 부족 등으로 저출산 현상이 심화됐고, 생활 편의시설 부족 등으로 인구유입이 어렵다고 판단했다. 산업구조의 취약으로 청년층 등 젊은 세대의 일자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산업구조가 자동차부품 제조업 등 2차 산업에 지나치게 편중된 점도 지적했다. 이외에도 문화재보호법에 따른 토지개발 제한과 노령인구 증가로 여러 사회비용 요인 발생 등을 감소 원인으로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