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태어난 신생아 수가 역대 최저 수준까지 추락하면서 그동안 정부와 지자체가 추진해온 저출산 대책들의 실효성에 대해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출생·사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40만6300명으로 전년보다 7.3% 감소했다. 이는 1970년 이후 46년만에 가장 적은 수치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1.17명으로 전년 1.24명보다 0.07명 감소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평균인 1.68명에도 크게 못 미치면서, 최하위인 포르투갈(2014년 기준 1.23명)보다 출산율이 낮다. 고령화 진행속도도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빠르다. 이대로 가면 한국 인구는 2100년 지금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 것이란 경고까지 나왔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사실상 세계 최하위로 봐도 무방하다. 때문에 저출산 대책의 재검토와 지역의 출산장려 정책의 재정비가 요구되고 있다. 본지는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절벽의 문제를 해결한 프랑스의 출산 장려정책을 알아보고, 타지자체의 저출산 대책방향과 경주 지역의 저출산 원인, 출산장려 정책현실을 진단하고 지자체 차원의 해결방안을 모색해본다.
지난해 태어난 신생아 수가 역대 최저 수준까지 추락하면서 그동안 정부와 지자체가 추진해온 저출산 대책들의 실효성에 대해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출생·사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40만6300명으로 전년보다 7.3% 감소했다. 이는 1970년 이후 46년만에 가장 적은 수치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1.17명으로 전년 1.24명보다 0.07명 감소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평균인 1.68명에도 크게 못 미치면서, 최하위인 포르투갈(2014년 기준 1.23명)보다 출산율이 낮다. 고령화 진행속도도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빠르다. 이대로 가면 한국 인구는 2100년 지금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 것이란 경고까지 나왔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사실상 세계 최하위로 봐도 무방하다. 때문에 저출산 대책의 재검토와 지역의 출산장려 정책의 재정비가 요구되고 있다. 본지는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절벽의 문제를 해결한 프랑스의 출산 장려정책을 알아보고, 타지자체의 저출산 대책방향과 경주 지역의 저출산 원인, 출산장려 정책현실을 진단하고 지자체 차원의 해결방안을 모색해본다.
지난해 태어난 신생아 수가 역대 최저 수준까지 추락하면서 그동안 정부와 지자체가 추진해온 저출산 대책들의 실효성에 대해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출생·사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40만6300명으로 전년보다 7.3% 감소했다. 이는 1970년 이후 46년만에 가장 적은 수치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1.17명으로 전년 1.24명보다 0.07명 감소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평균인 1.68명에도 크게 못 미치면서, 최하위인 포르투갈(2014년 기준 1.23명)보다 출산율이 낮다. 고령화 진행속도도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빠르다. 이대로 가면 한국 인구는 2100년 지금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 것이란 경고까지 나왔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사실상 세계 최하위로 봐도 무방하다. 때문에 저출산 대책의 재검토와 지역의 출산장려 정책의 재정비가 요구되고 있다. 본지는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절벽의 문제를 해결한 프랑스의 출산 장려정책을 알아보고, 타지자체의 저출산 대책방향과 경주 지역의 저출산 원인, 출산장려 정책현실을 진단하고 지자체 차원의 해결방안을 모색해본다.
노인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 각 자치단체별로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본지는 그동안 네 차례에 걸쳐 국내, 경주지역, 광주시, 전북 순창군, 그리고 대만의 노인인구 현황과 복지정책 등을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노인정책의 핵심인 기초연금, 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점검하고, 경로당 등 기존 노인복지시설을 활용한 대안적인 차원의 복지전략을 제안한다./편집자주
우리나라 노인인구 증가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정부가 2050년 노인인구 비율이 35%를 넘을 것으로 전망하는 등 역사상 한 번도 경험치 못한 노인중심의 사회를 맞게 될 예정이다. 경주지역도 예외가 아니어서 2019년경이면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인구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다. 노인인구 증가와 청년층 감소 가속화에 따른 준비가 부족한 국내 현실에서 한국언론진흥재단 광주사무소는 ‘고령화 시대와 노인 헬스케어’를 주제로 공동기획취재를 진행했다. 국내 취재와 겸해 우리와 유사한 대만을 찾아 고령인구 증가로 인한 사회적 문제와 대비책을 찾고 개선책을 찾기 위함이다. 본지는 본격화된 고령사회에 대비해 우리나라와 경주시의 노인복지정책 현황과 개선책, 지향점 등을 다섯 차례에 걸쳐 연재한다. 이번호는 대만의 위생복리부, 입법원, 그리고 노인복지시설인 타이베이시립 효연양로원을 찾아 이곳의 노인복지정책 현황을 살펴본다./편집자주
레일바이크 사업 포화상태와 맞물려 폐철로 활용은 상업 개발이 아닌 공원 등 시민공간을 활용돼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받고 있다. 그동안 폐철로 활용에 가장 적합해 보이던 레일바이크 사업이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앞다퉈 도입하며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우후죽순 생겨난 레일바이크 사업은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고도 이용객 감소로 지자체에 세금을 잡아먹는 하마로 둔갑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우리나라 노인인구 증가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정부가 2050년 노인인구 비율이 35%를 넘을 것으로 전망하는 등 역사상 한 번도 경험치 못한 노인중심의 사회를 맞게 될 예정이다. 경주지역도 예외가 아니어서 2019년경이면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인구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다. 노인인구 증가와 청년층 감소 가속화에 따른 준비가 부족한 국내 현실에서 한국언론진흥재단 광주사무소는 ‘고령화 시대와 노인 헬스케어’를 주제로 공동기획취재를 진행했다. 국내 취재와 겸해 우리와 유사한 대만을 찾아 고령인구 증가로 인한 사회적 문제와 대비책을 찾고 개선책을 찾기 위함이다. 본지는 본격화된 고령사회에 대비해 우리나라와 경주시의 노인복지정책 현황과 개선책, 지향점 등을 다섯 차례에 걸쳐 연재한다. 이번호는 국내 선진 사례 취재를 위해 방문한 광주시 빛고을노인건강타운과 전북 순창군 건강장수연구소의 노인복지 현황을 소개한다. /편집자주
우리나라 노인인구 증가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2050년 노인인구 비율이 35%를 넘을 것으로 전망되는 등 역사상 한 번도 경험치 못한 노인중심의 사회를 맞게 될 예정이다. 경주지역도 예외가 아니어서 2019년경이면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인구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될 전망이다. 노인인구 증가와 청년층 감소 가속화에 따른 준비가 부족한 국내 현실에서 한국언론진흥재단 광주사무소는 ‘고령화 시대와 노인 헬스케어’를 주제로 공동기획취재를 진행했다. 국내 취재와 겸해 우리와 유사한 대만을 찾아 고령인구 증가로 인한 사회적 문제와 대비책을 찾고 개선책을 찾기 위함이다. 본지는 본격화된 고령사회에 대비해 우리나라와 경주시의 노인복지정책 현황과 개선책, 지향점 등을 다섯 차례에 걸쳐 연재한다.
경주 중심부를 관통하는 철도로 시민들은 많은 것을 감내해야만했다. 주민은 철도로 인해 생활의 단절은 물론 소음 등의 주거환경의 문제와 도로교통의 단절 등을 격고 있지만 이런 현실은 당연한 듯 받아들였다. 하지만 이 당연한 것이 이제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2003년부터 시작된 부산과 경주, 포항 간 복선전철 사업이 오는 2018년이면 완공돼 기존 선로를 폐선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2020년 건천~현곡을 잇는 중앙선 경주구간도 폐선될 예정이다. 폐선으로 도심을 가로지르는 철도의 기능이 상실되지만 그 흔적은 고스란히 남는다. 여기에서부터 폐철도 부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시작된다. 폐선부지의 방치나 난개발은 오히려 경주의 미래발전을 가로막게 된다. 폐철도 부지와 철도역사가 경주의 미래 발전을 견인하는 공간으로 재창출될 수 있도록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활용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국내에서 폐철도 활용 사례로 시민 참여로 공원화를 이룬 ‘광주 푸른길’과 상업개발 방식인 정선 레일바이크를 소개했다. 이번 회에서는 호주 퍼핑 빌리가 세계적 관광지로 성장한 원동력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장애인관광시장이 창출하는 경제적 효과에 대한 근거가 미국, 영국, 캐나다 등 선진국에서 제시되어 왔다. 특히 영국의 경우 장애인관광객들을 장애인복지와 더불어 장애인의 관광 참여로 만들어지는 시장의 규모에 대해서 눈 여겨 보고 있었다.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는 경주는 그 명성에 어울리지 않게 해외관광객들을 위한 편의시설은 물론, 장애인 관광객들을 위한 편의사항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2천만 관광시대를 목표로하는 경주가 진정한 국제관광도시로 자리 매김 하기 위해서는 비장애인 관광객 뿐만 아니라 장애인관광객들의 발길을 끌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최고의 관광도시 경주와 비교되는 제주도와 이 부문에 앞서있는 영국의 관광정책과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취재를 통해 알아봤다.
정부보고서 등에 따르면 2050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35.9%로 일본에 이어 세계 2위가 될 전망이다. 1위인 일본은 40%, 홍콩 35.3%, 대만은 34.9% 등으로 아시아 국가의 노인인구 비율이 다른 대륙에 비해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2015년 통계에 의하면 한국의 노인 인구 비율은 세계에서 30번째 수준인 13%로 나타났다. 특히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데 걸리는 속도 또한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것. 통상적으로 총 인구대비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를 넘으면 고령화사회, 14%를 넘으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라 한다. 통계청 통계로는 노인인구 비율이 7%에서 21%까지 증가하는데 한국은 27년, 중국은 34년, 태국 35년 일본 37년, 그리고 프랑스는 157년이 걸리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현재 한국은 고령사회를 눈앞에 두고 있는 시점에서 이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면 2026년경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어 2050년에는 35%를 넘어설 것이라는 예측까지 나오면서 우리는 역사상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노인중심사회를 맞게 된다. 유럽 등지에도 고령사회로 들어선 나라들이 많지만, 이들 국가들의 고령사회 전환은 비교적 시간을 두고 서서히 진행됐기 때문에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사회적 혼란은 비교적 낮았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성장과 사회 환경 등의 변화로 고령화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 급속히 진행되고 있어 노인빈곤율·자살율 증가 등 여러 사회적 문제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경북 및 경주시 초고령사회 진입 ‘초읽기’ 9월말 기준 행정자치부 인구현황 자료에 따르면 경상북도의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전체 인구 270만1445명 중 48만8733명으로 18.1%, 경주시는 25만9941명 중 4만8433명으로 18.6%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경북은 전남(20.9%), 전북(18.2%)에 이어 세 번째로 노인인구 비율이 높았다. 전국 평균 노인인구 비율 13.4%보다는 4.7% 높았다. 그 다음이 강원 17.1%, 충남 16.6%, 부산 15.1% 등의 순이었다. 울산은 9.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경상북도 23개 시·군의 노인인구 비율을 살펴보면 농산어촌 지역 시·군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6개 시·군을 제외한 17개 시·군이 20%를 상회해 이미 초고령사회로 진입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 중 의성군이 36.6%로 가장 높았으며, 군위군 35.7%, 영양군 33.1%, 영덕군 32.8%, 청송군·청도군 각각 32.6%, 예천군 32.5%, 봉화군 31.7%로 7개 군이 30%를 넘어섰다. 이어 7개 시·군은 2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성주군·상주시 27.1%, 고령군 25.7%, 문경시 25.6%, 영천시 24.8%, 울진군 24.5%, 안동시가 20.5%로 각각 집계됐다. 김천시는 19.9%로 초고령사회를 목전에 두고 있다. 이어 경주시(18.6%), 포항시(13%), 경산시(13%), 칠곡군(12.5%), 구미시(7.4%)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주시 노인인구비율 18.6%는 도내 평균보다 0.5%포인트 높고, 전국 평균과 대비해서는 5.2%포인트 높은 것 나타났다. 게다가 최근 5년간 연령별 인구 증감현황을 보면 매년 청장년층 인구가 줄고 노년인구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초고령사회 진입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경주시 인구증감 현황에 따르면 2011년 대비 2015년까지 5년간 40대 이하 인구는 16만6708명에서 14만8986명으로 1만7722명 감소해 매년 평균 3544명씩 감소했다. 반면 50대 이상은 9만8780명에서 11만787명으로 1만2007명 늘어 매년 2401명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을 감안하면 경주시 노인인구 비율 증가세가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경주시는 지난 2011년말 기준 노인인구 비율 15.7%에서 2015년 18.2%로 매년 0.5%씩 증가해왔다. 이 같은 평균 증가율을 감안하면 경주시도 2019년경 20%를 넘어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된다.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 현실은? 보건복지부 노인일자리 및 노후생활현황 조사에 따르면 2013년 19세 이상 가구주 중 노후를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한 가구주는 72.9%로 2011년 75.8%에 비해 2.9%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된 노후 준비방법은 국민연금(52.5%), 예금적금(17.4%), 사적연금(11.3%) 순이었다. 60세 이상 노인의 생활비 마련방법은 ‘본인 및 배우자 부담’이 63.6%로 2011년 60.1%에 비해 3.5%포인트 증가했다. 이어 자녀 또는 친척지원 28.8%, 정부 및 사회단체 7.6% 순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자녀 또는 친척’이나 ‘정부 및 사회단체’에 의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인구 비율이 증가하면서 노인복지시설도 다변화됐고, 그 수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 노인복지시설은 7만5029개소이며,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입소정원은 20만1648명이다. 노인복지시설 가운데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의 시행으로 노인의료복지시설은 2008년 1832개소에서 2015년 5063개소로 3231개소가 증가했다. 그러나 양로시설이나 경로당 등 노인주거복지시설이나 노인여가복지시설은 2008년 대비 증가폭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주시의 경우 노인주거복지시설 3개소, 노인의료복지시설 13개소, 노인의료복지시설 9개소, 재가노인복지시설 8개소, 노인여가복지시설 613개소 등 노인복지시설은 총 653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시행에 따라 일시적으로 요양시설이 많이 확충됐으나,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으로 인해 증가세가 점차 둔화되는 추세”라며 “시설의 충족율은 많이 개선됐으나, 여전히 지역적으로 불균형 분포를 보이고 있어 앞으로는 시설이 지역적으로 균형 있게 확충될 수 있는 정책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65세 이상 노인 중 수입이 되는 일을 하고 있는 노인의 비율인 ‘노인취업률’은 30%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적 원인으로 노인자살률 증가…대책은? 통계청 등의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자살율은 인구 10만 명당 58.6명으로 국내 전체 자살률 26.5명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 2015년 기준 한국 노인 상대빈곤율은 49.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였다. 노인 인구 중 절반이 빈곤하게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자살률과 빈곤율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결국 경제적인 원인이 노인자살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출산율의 급속한 하락과 평균수명 연장으로 세계최고 속도의 저출산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에 적응하는 사회경제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노후생활을 위한 믿을 수 있는 보장체계의 구축과 노인 일자리 창출, 직업능력의 개발, 고용지원 확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것. 특히 가족이나 자녀들에 의한 부양의무가 약화됨에 따라 노후 준비가 덜돼 있는 계층을 대상으로 국가의 공적 노후 소득보장제도의 도입이 필요해 보인다.
경주 중심부를 관통하는 철도로 시민들은 많은 것을 감내해야만했다. 주민은 철도로 인해 생활의 단절은 물론 소음 등의 주거환경의 문제와 도로교통의 단절 등을 격고 있지만 이런 현실은 당연한 듯 받아들였다. 하지만 이 당연한 것이 이제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2003년부터 시작된 부산과 경주, 포항 간 복선전철 사업이 오는 2018년이면 완공돼 기존 선로를 폐선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2020년 건천~현곡을 잇는 중앙선 경주구간도 폐선될 예정이다. 폐선으로 도심을 가로지르는 철도의 기능이 상실되지만 그 흔적은 고스란히 남는다. 여기에서부터 폐철도 부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시작된다. 폐선부지의 방치나 난개발은 오히려 경주의 미래발전을 가로막게 된다. 폐철도 부지와 철도역사가 경주의 미래 발전을 견인하는 공간으로 재창출될 수 있도록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활용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국내에서 폐철도 활용 사례로 시민 참여로 공원화를 이룬 ‘광주 푸른길’과 상업개발 방식인 정선 레일바이크를 소개했다. 이번 호에서는 폐철로를 세계적인 관광지로 일궈낸 호주 퍼핑빌리의 사례를 소개한다.
장애인관광시장이 창출하는 경제적 효과에 대한 근거가 미국, 영국, 캐나다 등 선진국에서 제시되어 왔다. 특히 영국의 경우 장애인관광객들을 장애인복지와 더불어 장애인의 관광참여로 만들어지는 시장에 대해서 눈여겨 보고 있었다. 영국은 2012년 런던올림픽과 패럴림픽에서 관광수익을 올릴 수 있는 최고의 시기라 생각했고, 올림픽 시기에 맞춰 발빠르게 움직였다. 특히 장애인들의 관광참여를 촉진시켜 비단 영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장애인 관광객의 발길을 영국으로 돌리는 것에 집중했다. 영국은 장애인들을 위해 서비스 마인드의 업그레이드는 물론, 편의시설의 확충, 장애인들을 위한 관광정보제공을 강화했다. 장애인 권리에 대한 UN 선언 제 30조에 의하면 정부는 장애인들 역시 비장애인들과 동등하게 문화생활과 여가활동을 참여하고 즐길 권리가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정부, 기업의 구분 없이 장애인들의 욕구를 충족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 사회 전반에 만연해있는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우리사회에 남아있다.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는 경주는 그 명성에 어울리지 않게 해외관광객들을 위한 편의시설은 물론, 장애인 관광객들을 위한 편의사항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2천만 관광시대를 목표로하는 경주가 진정한 국제관광도시로 자리 매김 하기 위해서는 비장애인 관광객 뿐만 아니라 장애인관광객들의 발길을 끌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최고의 관광도시 경주와 비교되는 제주도와 이 부분에 앞서있는 영국의 관광정책과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취재를 통해 알아봤다.
경주 중심부를 관통하는 철도로 시민들은 많은 것을 감내해야만했다. 주민은 철도로 인해 생활의 단절은 물론 소음 등의 주거환경의 문제와 도로교통의 단절 등을 격고 있지만 이런 현실은 당연한 듯 받아들였다. 하지만 이 당연한 것이 이제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2003년부터 시작된 부산과 경주, 포항 간 복선전철 사업이 오는 2018년이면 완공돼 기존 선로를 폐선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2020년 건천~현곡을 잇는 중앙선 경주구간도 폐선될 예정이다. 폐선으로 도심을 가로지르는 철도의 기능이 상실되지만 그 흔적은 고스란히 남는다. 여기에서부터 폐철도 부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시작된다. 폐선부지의 방치나 난개발은 오히려 경주의 미래발전을 가로막게 된다. 폐철도 부지와 철도역사가 경주의 미래 발전을 견인하는 공간으로 재창출될 수 있도록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활용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폐선부지 활용은 전국적으로 두 가지 방식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폐선 부지를 활용해 시민 공원화하는 방식과 민간사업자가 참여한 상업개발 방식이다. 이번호 국내 폐철도 활용 사례에는 전국적으로 상업개발 방식을 채택해 성공을 거두고 있는 정선군과 시민참여로 성공적인 시민 공원화 사업에 성공한 광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폐철도 활용 가능성을 가늠해 볼 계획이다.
장애인관광시장이 창출하는 경제적 효과에 대한 근거가 미국, 영국, 캐나다 등 선진국에서 제시되어 왔다. 특히 영국의 경우 장애인관광객들을 장애인복지와 더불어 장애인의 관광참여로 만들어지는 시장에 대해서 눈여겨 보고 있었다. 영국은 2012년 런던올림픽과 패럴림픽에서 관광수익을 올릴 수 있는 최고의 시기라 생각했고, 올림픽 시기에 맞춰 발빠르게 움직였다. 특히 장애인들의 관광참여를 촉진시켜 비단 영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장애인 관광객의 발길을 영국으로 돌리는 것에 집중했다. 영국은 장애인들을 위해 서비스 마인드의 업그레이드는 물론, 편의시설의 확충, 장애인들을 위한 관광정보제공을 강화했다. 장애인 권리에 대한 UN 선언 제 30조에 의하면 정부는 장애인들 역시 비장애인들과 동등하게 문화생활과 여가활동을 참여하고 즐길 권리가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정부, 기업의 구분 없이 장애인들의 욕구를 충족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 사회 전반에 만연해있는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우리사회에 남아있다.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는 경주는 그 명성에 어울리지 않게 해외관광객들을 위한 편의시설은 물론, 장애인 관광객들을 위한 편의사항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2천만 관광시대를 목표로하는 경주가 진정한 국제관광도시로 자리 매김 하기 위해서는 비장애인 관광객 뿐만 아니라 장애인관광객들의 발길을 끌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최고의 관광도시 경주와 비교되는 제주도와 이 부분에 앞서있는 영국의 관광정책과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취재를 통해 알아봤다.
경주 중심부를 관통하는 철도로 시민들은 많은 것을 감내해야만했다. 주민은 철도로 인해 생활의 단절은 물론 소음 등의 주거환경의 문제와 도로교통의 단절 등을 격고 있지만 이런 현실은 당연한 듯 받아들였다. 하지만 이 당연한 것이 이제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2003년부터 시작된 부산과 경주, 포항 간 복선전철 사업이 오는 2018년이면 완공돼 기존 선로를 폐선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2020년 건천~현곡을 잇는 중앙선 경주구간도 폐선될 예정이다. 폐선으로 도심을 가로지르는 철도의 기능이 상실되지만 그 흔적은 고스란히 남는다. 여기에서부터 폐철도 부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시작된다. 폐선부지의 방치나 난개발은 오히려 경주의 미래발전을 가로막게 된다. 폐철도 부지와 철도역사가 경주의 미래 발전을 견인하는 공간으로 재창출될 수 있도록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활용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폐선부지 활용은 전국적으로 두 가지 방식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폐선 부지를 활용해 시민 공원화하는 방식과 민간사업자가 참여한 상업개발 방식이다. 이번호 국내 폐철도 활용 사례에는 전국적으로 상업개발 방식을 채택해 성공을 거두고 있는 정선군과 시민참여로 성공적인 시민 공원화 사업에 성공한 광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폐철도 활용 가능성을 가늠해 볼 계획이다.
장애인관광시장이 창출하는 경제적 효과에 대한 근거가 미국, 영국, 캐나다 등 선진국에서 제시되어 왔다. 특히 영국의 경우, 장애인복지와 더불어 장애인의 관광 참여로 만들어지는 장애인관광 시장의 규모에 대해서 눈 여겨 보고 있었다.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는 경주는 그 명성에 어울리지 않게 해외관광객들을 위한 편의시설은 물론, 장애인 관광객들을 위한 편의사항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2천만 관광시대를 목표로하는 경주가 진정한 국제관광도시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는 비장애인 관광객 뿐만 아니라 장애인관광객들의 발길을 끌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최고의 관광도시 경주와 비교되는 제주도와 이 부문에 앞서있는 영국의 관광정책과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현지취재를 통해 알아봤다.
경주 중심부를 관통하는 철도로 시민들은 많은 것을 감내해야만했다. 주민은 철도로 인해 생활의 단절은 물론 소음 등의 주거환경의 문제와 도로교통의 단절 등을 격고 있지만 이런 현실은 당연한 듯 받아들였다. 하지만 이 당연한 것이 이제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2003년부터 시작된 부산과 경주, 포항 간 복선전철 사업이 오는 2018년이면 완공돼 기존 선로를 폐선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2020년 건천~현곡을 잇는 중앙선 경주구간도 폐선될 예정이다. 폐선은 도심을 가로지르는 철도의 기능이 상실되지만 그 흔적은 고스란히 남는다. 여기에서부터 폐철도 부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시작된다. 폐선부지의 방치나 난개발은 오히려 경주의 미래발전을 가로막게 된다. 폐철도 부지와 철도역사가 경주의 미래 발전을 견인하는 공간으로 재창출될 수 있도록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활용 방인이 필요한 시점이다.
경주시 인구가 매년 감소하면서 지난해 11월 말 26만명 선이 붕괴됐다. 열악한 교육환경, 양질의 일자리와 의료시설 부족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구감소가 지속돼 온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지는 지난해 경주시의 ‘정주인구 증가를 위한 발전전략 용역’ 결과를 토대로 현 경주시 인구현황과 문제점, 향후 인구증가를 위한 방안 등에 대해 살펴봤다. /편집자주 본지는 지난 호 전입신고서상 경주시민들이 타지로 떠나는 주된 이유로 ‘직업’이 가장 많았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기획 보도했다. 타·시도로 전출하는 이유로 직업에 이어 가족, 주택, 교육 등의 순이었으며, 연령대별 전출인구는 2~30대가 가장 많았다. 본지가 4회에 걸쳐 경주시 인구현황과 감소 원인을 살펴본 결과 지역 내 2~40대의 순유출 비율이 높게 나타나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책마련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열악한 교육환경과 주택문제 등이 인구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파악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개선 방안 마련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더 나은 일자리를 찾아서 경주를 떠나는 2~30대, 좋은 교육환경을 갖춘 도시로 떠나가는 10대와 그들의 부모 연령대인 40대, 인근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주택가격으로 이사를 나가는 세대 등···.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해결방안을 추진하지 않는 한 경주시 인구증가는 요원해 보인다는 것이다. -기업 유치·일자리 확대 통해 경제활동인구 유입해야 2~30대가 타 시·도로 가장 많이 떠나고 있는 것은 결국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청년 구직자들이 많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경주의 기업들이 체감하는 기업환경평가에서 저조한 성적을 내고 있는 것과도 맞물린다. 기업하기 좋은 환경이란 바로 취업하기 좋은 환경과 직결되기 때문. 지난해 말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2015년 전국규제지도’. 대한상의가 전국 228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만족도(기업체감도) 및 기업하기 좋은 환경(경제활동친화성) 조사에서 경주가 각각 193위, 198위를 차지해 기업하기 좋은 도시가 아니라는 평가를 받았다. 규제합리성과 행정시스템, 행정행태, 공무원태도, 규제개선 의지 등 5개 항목을 평가한 ‘기업체감도’와 공장설립, 창업지원, 기업유치지원, 음식점창업, 실적편차 다가구주택 신축, 산업단지, 유통물류, 환경, 공공계약 등을 평가한 ‘경제활동친화성’에서 저조한 성적을 낸 것. 이는 경주시가 지역 기업들이 체감하고 있는 문제점 등을 정확히 분석하고 개선점을 찾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해 보이는 대목이다. 이에 따라 ‘정주인구 증가를 위한 발전전략’ 용역을 수행한 (재)한국경제기획연구원은 ‘경주시의 특화산업 육성 및 한수원 본사 이전에 따른 관련기업 유치 활성화’를 주요 시책으로 제시했다.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기업유치와 청년 일자리 확대 등을 통해 지역 내 경제활동인구를 증가시켜야 한다는 게 주요 골자다. 이를 위해 한수원 본사 이전과 산업단지 확장 등의 산업 환경 변화를 반영한 ‘경주시의 특화산업을 발굴·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것. 또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도로 증설, 인적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기업하기 좋은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주시 이전 기업에 대한 지원확대’와 ‘민간부문의 청년일자리 창출 지원’, ‘대학 창조일자리센터 설립’ 등이 뒤따라야 한다고 제안했다. -고교평준화 도입 등 교육정책 변화 시도해야 본지는 지난 호에서 행정자치부 2014년 ‘국내인구이동통계연보’ 분석을 통해 경주 인근 도시인 포항과 울산의 경우 10대와 40대의 전출비율이 타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고 밝혔다. 울산과 포항에서 통근하는 인구와 주거지를 경주에 두고 울산과 포항으로 전출하는 인구수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 것. 그리고 공교롭게도 이들 도시는 고등학교 평준화 지역이라는 점이다. 특히 울산과 포항 인근인 안강읍, 양남면 등지의 인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어 교육이사가 경주시 인구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점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에 따라 (재)한국경제기획연구원은 경주는 고교 비평준화지역으로 고교 입시 준비로 인한 학습부담 과중 및 입시경쟁이 과열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또 경주교육지원청이 실시한 ‘경주시 교육 문제점’ 설문조사 결과에 나타난 ‘사교육비 증가, 주입식 교육, 비평준화 지역’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교 평준화가 필요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고교평준화에 대한 찬반 의견이 지역사회와 각급 학교 등에서도 극명하게 갈리고 있어 향후 추진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연구원은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특목고 등의 유치를 핵심추진과제로 제안했다. 우수한 교육여건 마련으로 지역 청소년의 외지 유출을 막고, 타 지역 청소년 인구를 유입해야 한다는 것. 또 ‘학교 평가에 따른 지원 차별화’를 통해 학교 주도의 우수 교육이 활성화 되도록 정책방안을 구성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인구이동 원인과 현황 분석결과 10대 인구 유출도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지역 교육정책의 변화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어 대학생의 감소폭을 줄이기 위해 각 대학들의 교육환경 정비와 교육수준 향상 등을 통한 ‘대학교육 질 증대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지역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매년 우수한 인재들이 타 지역의 특목고와 과학고 등으로 빠져나가는 것은 미래 경주발전에 희망이 없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한수원 본사 이전에 따른 직원 자녀들의 경주 유입을 위해서라도 고교 평준화와 자사고 유치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연구원은 이외에도 경주시 정주인구 증가를 위한 방안으로 △결혼하기 좋은 환경 통한 출산율 증가 △정주환경 정비와 인구증가 정책을 통한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역사·문화·예술 활성화를 통한 경주시민의 지역 자부심 증대 등을 제안했다. -한수원 본사 이전 인구증가 기회되나? 한수원 본사 이전에 따라 오는 3월 직원들의 경주 이전이 완료될 예정으로 인구증가가 예상되고 있지만, 직원 가족들의 유입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연구원에 따르면 1100여명 규모의 한수원 본사 직원들의 연령대별 특성을 분석한 결과 36~50세가 65%로 대다수고, 35세 이하 직원 25%, 51세 이상은 12%로 조사됐다. 또 기혼 남자직원의 약 25%, 기혼 여자직원의 약 89%가 맞벌이를 하고 있으며, 자녀는 초등학생 446명, 중학생 134명, 고등학생 161명, 대학생 265명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한수원 본사 직원들의 경주 유입에 따라 3월 이후부터 인구증가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 한수원 본사 정원이 향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판단, 이에 따른 가족 구성원의 유입과 관련 회사 직원 유입 등으로 한수원과 관련한 인구는 매년 증가할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초·중·고·대학생 자녀를 둔 직원 세대가 본사 이전과 동시에 가족 모두 경주시로 전입하는 경우는 드물 것으로 판단했다. 이는 경주시의 교육환경과 편의시설 등을 감안하면 현재로서는 가족 구성원 모두가 경주로 오기는 어렵다는 것. 이는 현재 월성원전 인근 소재 직원 사택 인구 현황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한수원 직원사택 주민등록 현황에 따르면 읍천·나아 직원 사택은 입주 가능한 923세대 중 821세대, 2000여명이 입주해 있지만, 실 입주인원의 48%인 392세대 1064명만 경주로 전입했다. 신월성 직원사택의 경우는 430세대 가운데 390세대가 입주해 있으며, 입주인원의 42%인 165세대 439명만 전입을 완료했다. 특히 이들 세대의 전입이 이뤄질 경우 약 1500여명의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미전입 인구의 주민등록 이전을 위한 대책 마련도 필요해 보인다. 연구원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결국 한수원 본사 경주이전에 따라 직원들이 경주로 유입되지만 전체 직원이 주민등록 이전까지 완료할 지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 관계자는 “주거의 자유가 있는 이상 한수원 본사 직원과 월성원전 사택 직원들의 주민등록 이전을 강제할 수는 없다”면서도 “한수원과 경주시는 이 같은 현상의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해 직원들의 경주 전입을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천시 인구 증가 사례 타산지석 삼아야 경북도내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반면 경주시 인구는 매년 감소하고 있다. 지난 17일 경북도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 경북 총인구는 275만2591명(내국인 270만2826명, 외국인 4만9765명)으로 지난해 대비 3992명(0.15%)이 늘었다. 2010년을 기점으로는 6년간 연평균 0.2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군별로 지난해 대비 증가한 지자체는 김천시가 482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산시 3379명, 칠곡군 869명 등 7개 시·군의 인구가 증가했다. 도내 23개 시·군 중 7개 시·군이 증가한 반면 17개 시·군에서는 인구가 감소했는데 경주시는 2014년 대비 960명이 줄어, 영주시(991명 감소)에 이어 두 번째로 이 감소수가 많았다. 도내에서 가장 많은 인구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김천시의 경우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전입자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3년 13만6858명에 불과하던 인구는 2015년말 14만1987명으로 증가했다. 인구 15만 회복 운동이후 급격한 인구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 김천시는 인구증가를 위해 지난해 대구은행과 업무협약을 맺고 ‘김천 15만 사랑 적금’이란 금융상품을 내놓는 등 차별화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는 2014년 7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김천에 전입 신고한 시민을 대상으로 1인 1계좌에 한해 5~50만 이하로 적금에 가입하면 기본금리에 특별금리(0.5%)를 얹어주는 상품이다. 이외에도 귀농시책, 출산장려금 홍보, 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 직원 대상 ‘김천주소갖기 운동’ 전개, 매주 수요일 ‘찾아가는 현장 전입신고의 날’ 운영 등 다양한 시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김천시가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에 맞춰 다양한 인구증가 정책을 시도하면서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사례는 3월 한수원 본사 이전을 앞두고 있는 경주시가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대상이 되고 있다. 경산시 역시 대구 일부지역 아파트 시세가 급상승하자 인구가 유입되기 시작했고, 이에 맞춰 산업공단 확장, 경산지식산업지구 개발과 함께 저출산 극복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쏟아낸 결과 매년 인구가 늘고 있다. 이에 대해 경주시 관계자는 “그동안 시에서도 다양한 인구증가 정책을 펼쳐왔지만 결과는 매년 감소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정주인구 증가를 위한 용역을 진행했다”면서 “용역 결과에 따라 현재 관련 부서에서 각각 인구증가 방안을 마련 중에 있으며, 이를 토대로 최종 정책을 결정해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주시 인구가 매년 감소하면서 지난해 11월 말 26만명 선이 붕괴됐다. 열악한 교육환경, 양질의 일자리와 의료시설 부족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구감소가 지속돼 온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지는 이번호부터 지난해 경주시의 ‘정주인구 증가를 위한 발전전략 용역’ 결과를 토대로 현 경주시 인구현황과 문제점, 향후 인구증가를 위한 방안 등에 대해 몇 차례에 걸쳐 살펴본다. /편집자주 경주에서 타 시·도로 거주지를 옮긴 사람들의 주된 이유가 ‘직업’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2014년 2년 사이 경주서 타 시·도로 거주지를 옮긴 지역민들이 전입신고서상에 체크하도록 돼있는 전입 사유 7개 항목 중 ‘직업’을 가장 많이 선택한 것. 고향을 등지고 전국 각지로 거주지를 옮긴 대다수의 시민들은 결국 취업, 사업, 직장이전 등 일자리를 찾아 경주를 떠난 것이다. 이에 따라 지역 내 인구를 머무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행정자치부와 통계청이 전입·전출자의 ‘전입신고서’를 기초로 조사한 인구이동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출 사유로는 직업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가족, 주택, 교육 등의 순이었다. 전입신고서는 1개 세대에 속하는 가족 또는 일부가 새 거주지로 옮길 때, 전입한 시·군·구 및 읍·면·동에 의무적으로 알려 주민등록을 정정하기 위해 제출하는 서류다. 서류에는 전입하는 이유를 기재하도록 하는 ‘전입사유’란이 있는데 △직업(취업, 사업, 직장이전 등) △가족(가족과 함께 거주, 결혼, 분가 등) △주택(주택구입, 계약만료, 전세, 재개발 등) △교육(진학, 학업, 자녀교육 등) △주거환경(교통, 문화·편의시설 등) △자연환경(건강, 공해, 전원생활 등) △그 밖에 사유 등 7개 항목을 나열했다. 이 중 주거지를 옮기는 주된 이유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주거지 이동 당사자가 직접 신고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전입하게 된 사유가 가장 정확히 기재된 서류이기도 하다. -2013~2014년 전출인구 ‘직업’ 이유로 가장 많이 떠나 지난 2013년, 2014년 경주시에서 타 시도·시군구(경주지역 내 이동인구 포함)로 ‘전출’한 인구는 각각 3만1816명, 3만1484명 등 총 6만3300명이었다. 이 중 경주를 비롯한 경북도를 벗어나 타 시·도로 떠난 인구는 각각 1만1524명, 1만2877명으로 2년간 총 2만4401명이었다. 이들이 경주를 떠난 이유 가운데 ‘직업’을 선택한 사람들이 8796명(36%)으로 집계돼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어 ‘가족’이 6772명(27.8%)으로 떨어져있던 가족과 합치거나 결혼, 분가 등을 전출 이유로 밝혔다. 주택 구입이나 전세, 기존에 살고 있던 집의 계약만료 등 ‘주택’을 이유로 떠난 인구는 5234명(21.4%)에 달했다. 의외로 진학이나 학업, 자녀교육 등의 이유로 이사를 가는 인구는 생각만큼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을 사유로 밝힌 시민들은 1821명으로 7.5%의 비율을 차지해 직업, 가족, 주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외에도 기타 1152명(4.7%), 주거환경 397명(1.6%), 자연환경 229명(0.9%)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같은 기간 경주지역과 경북도내 이동 인구를 포함해 타 시도·시군구로 떠난 인구 6만3300명을 대상으로 한 전출 사유 조사에서는 ‘주택’이 2만4146명(38.1%)으로 가장 많아 타 시·도로 옮긴 사유와는 차이를 보였다. 이어 ‘가족’ 1만5570명(24.6%), ‘직업’ 1만5334명(24.4%), ‘교육’ 3546명(5.6%) 등의 순이었다. 이는 최근 지역 내 완공된 아파트로 입주하는 등 경주지역 내에서 이사를 하는 세대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입인구는? 2013년과 2014년 경주로 전입해 온 인구는 각각 3만1183명, 2만9990명으로 총 6만1173명이었다. 같은 기간 전출 인구가 6만3300명인 것을 감안하면 2년 사이 2127명의 인구가 감소한 셈이다. 총 전입인구 가운데 경주와 경북도내 이동 인구를 제외한 타 시·도에서의 ‘전입’은 각각 1만1371명, 1만2002명으로 총 2만3373명이 경주로 옮겨왔다. 이들의 전입사유로는 전출과 마찬가지로 직업(9006명)이 가장 많았으며, 가족(7076명), 주택(4194명), 교육(1104명), 기타(956명)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연환경(716명)과 주거환경(321명)은 전출사유와 반대 양상이었다. -2014년 전출 인구 ‘2~30대’가 가장 많아 행정자치부 ‘국내인구이동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 2014년 한 해 동안 경주지역 타 시·도 전출 인구 중에서는 2~3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총 전출 3만1484명 중 경주 지역 내 이동 인구 1만4169명을 제외한 1만7315명이 경주를 벗어난 타지로 주소지를 옮겼다. 그 중 20대가 4431명(25.6%), 30대 3700명(21.4%)으로 전체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이어 40대 2590명(15%), 50대 2028명(11.7%), 10대 1440명(8.3%), 9세 이하 1348명(7.8%), 60대 929명(5.4%), 70대 524명(3%), 80대 이상 325명(1.9%) 순이었다. 이처럼 타 시·도로 떠나는 2~30대가 가장 많고, 전입신고서상 전출 이유로 ‘직업’을 선택한 비율이 높다는 것은 결국 2~30대가 더 나은 직장을 찾아 경주를 떠났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지난 1월 현재 경주시 기업체가 소기업 1617개, 중기업 127개, 대기업 16개로, 소기업의 비율이 높은 것과 무관치 않다는 평가다. 특히 지역 내 1760개 업체 중 자동차 부품 428개, 기계 금속 652개, 비금속 광물 130개 등 총 1210개로 제조업에 치중된 것도 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2~30대가 경주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수 기업유치 및 양질의 일자리 확대가 시급해 보인다. -가장 많이 이사를 간 곳은 ‘울산’ 지난 2014년 한 해 동안 경주를 떠난 인구 중 ‘울산’으로 이사한 인구가 가장 많았다. 이어 포항, 대구, 부산 순이었다. 행자부 ‘국내인구이동통계연보’에 따르면 울산으로 거주지를 옮긴 인구는 3266명(18.9%)으로 가장 많았다. 경주를 제외한 경북도내 전출인구는 총 4438명으로, 이 중 포항으로 떠난 인구가 2579명(14.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대구 1946명(11.2%), 부산은 1683명(9.7%)이었다. 이는 경주에 비해 일자리와 교육인프라가 더 나은 인접한 도시로 거주지를 옮긴 것. 이외에도 서울 1665명(9.6%), 경기도 1410(8.1%)명, 경상남도 1070명(6.2%) 등의 순이었다. 또 인접 도시 가운데 울산은 30대 인구가 785명으로 20대 645명보다 많았고, 포항은 30대 613명, 40대 488명으로 20대 425명보다 전출인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전체 전출 인구 분석에서는 20대가 가장 많았던 반면 울산과 포항은 역전된 것. 이는 10대 인구가 울산 245명, 포항 272명으로 대구(134명), 부산(137명)보다 많은 것을 감안할 때 일자리와 교육이사 등이 함께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입 인구수가 가장 많은 도시도 울산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4년 경주지역 전입신고 수는 총 2만9990명으로 지역 내 이동 인구 1만4169명을 제하면 타지에서 1만5821명이 경주로 주거지를 옮겨왔다. 그 가운데 울산에서 경주로 전입한 인구가 3139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포항 3024명, 대구 1797명, 부산 1686명, 서울 1313명 등의 순으로 전입해왔다. -나 홀로 이사 가장 많아 경주에서 타지로 나가거나 타지에서 경주로 들어온 인구의 대부분이 ‘나홀로 이주’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연보에 따르면 2014년 경주에서 전국으로 전출한 건수는 2만1135건. 이 가운데 1인 전출은 1만5750건으로, 전체 74.5%가 직업, 가족, 주택, 교육 등을 이유로 혼자서 경주를 떠났다. 2인 규모는 2364명(11.2%), 3인 1508명(7.1%), 4인 1175명(5.6%), 5인 265명(1.3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입은 2만5건으로, 그 중 1인 전입이 1만4704건(73.5%)로 가장 많았으며, 2인 2433건(12.2%), 3인 1470건(7.3%), 4인 1071건(5.4%), 5인 256건(1.3%) 등의 순이었다. 이처럼 혼자서 전입·전출하는 인구가 많은 것으로 확인돼 향후 이들을 위한 일자리 창출뿐만 아니라 주거환경 개선 등에 대한 민·관차원의 지원과 노력이 절실해 보인다. 경주의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경주를 떠나는 청년층 등을 잡아두기 위해서는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마련이 급선무다”며 “경주시 등은 한수원 본사 이전에 따른 관련기관·기업 유치, 대기업 유치, 기업 지원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욱 기자 lsw862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