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를 포함한 경북 4개 시·군 동해안의 자연유산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공식 등재된다. 11일 경주시에 따르면 ‘경북 동해안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면적 2693.69㎢, 경주·포항·영덕·울진 일원)’이 10일 밤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21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의결됐다. 이에 따라 오는 17일 자로 유네스코의 공식 통보를 통해 세계지질공원 지위를 부여받는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단순 지질학적 가치 뿐만 아니라 생태·역사·문화 자원과 연계성, 지역사회 협력, 지속가능한 관리체계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지정하는 세계적인 자연유산 인증 제도다.이번에 공식 등재된 ‘경북 동해안 세계지질공원’은 △한반도 최대 신생대 화석산지 △동아시아 지체구조(tectonic framework) 형성과 화성활동(magmatism)의 주요 흔적 △다채로운 지질 경관과 뛰어난 학술적·교육적·관광적 가치를 고루 갖춘 점에서 높이 평가받았다.경주에는 △남산 화강암 △골굴암 △문무대왕릉 △양남주상절리 등 총 4곳이 대표 지질 명소로 포함됐다. ‘경북 동해안 국가지질공원’은 총면적 2693.69km²에 달하는 국내 최대 규모다. 동해안을 따라 울진, 영덕, 포항, 경주 등 4개 시·군에 걸쳐 총 29개 지질 명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번 유네스코 지정은 2023년 6월 유네스코에 의향서 제출 후, 2024년 7월 유네스코 현장실사를 거쳐, 2024년 9월 베트남 까오방에서 열린 세계지질공원이사회 심의를 통과함으로써 최종 확정됐다.그동안 경북도와 경주·포항·영덕·울진 등 4개 시군은 전담 기구인 ‘동해안지질공원사무국’을 중심으로 경북동해안지질공원센터를 운영하며 지정 요건 충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왔다. 주낙영 시장은 “앞으로 경북 동해안지질공원이 지역 경제와 생태관광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