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경주 대릉원돌담길 축제’가 관광객과 시민 14만5316명이 찾은 가운데 성황리에 폐막했다.경주시가 경북도는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사흘간 벚꽃이 만개한 대릉원 돌담길 일원에서 ‘경주 대릉원돌담길 축제’를 열었다.올해 축제는 ‘2025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다국어(한·중·일·영) 홍보물을 배포해 외국인 접근성을 높였다. 최신 IT 기술을 접목한 행사 운영도 눈길을 끌었다.축제장 전역에 무인계측기 6대를 설치해 실시간 인파 파악, QR코드 기반 음식 주문 시스템, 네이버 예약·카드사 통합결제 도입 등으로 안전사고 예방과 상권 소비 촉진을 동시에 이끌어냈다.도로 전면 통제 구간에는 인조잔디와 나무 팔레트 테이블을 설치했고, 분홍색 횡단보도와 대형 꽃무늬 등은 별도의 조형물 없이 돌담길 경관을 활용한 포토존 역할을 톡톡히 했다. 교통 표지판도 감성적 장치로 탈바꿈하며 봄 정취를 더했다.푸드트럭과 프리마켓은 팟타이, 불초밥, 타코야끼 등 식사·간식류는 물론, 지역 공방의 수공예품까지 다양하게 구성해 관람객의 이목을 끌었다. 축제 전 상인들과 가격·품질 기준을 사전조율하고, 위생·서비스 관련 민원 대응을 위한 익명 신고도 안내해 ‘바가지 없는 축제’로 축제의 질을 높였다.
플라스틱 병뚜껑을 사출해 만든 ‘벚꽃코인’은 설문조사나 친환경 미션을 수행하면 제공하고, 기념품을 받을 수 있도록 운영해 가족 단위 방문객의 흥미를 끌었다.‘함께해 봄’ 구역에는 경주의 친환경 공방 운영자들이 기획한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했고, 폐현수막을 활용한 카드지갑 만들기 등은 관람객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도로 위 놀이터’에서는 가족 단위 미술 체험 콘텐츠가 인기를 끌었다.이번 축제는 전국 산불 피해를 애도하는 차원에서 메인무대 공연을 축소한 대신, 관람 동선 내에서 소규모 버스킹과 추모 안내를 했다. 돌담길 내 레스토랑의 일부 수익금은 산불 피해 복구 성금으로 기부했다.주낙영 시장은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로 축소된 축제 구성에도 불구하고 도심형 축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경주의 역사·자연·문화가 어우러진 시민 중심 축제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