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좌초 위기에 놓였던 행복황촌 마을호텔이 신규 마을기업으로 지정되며 한숨을 돌리게 됐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17일 ‘2025년 신규 마을기업’ 전국 57곳을 선정했다. 신규 마을기업에는 도시민박업과 공동부엌 기반 마을호텔 사업을 시작하는 행복황촌협동조합이 포함됐다.
2009년 처음 시행해 지정한 마을기업은 지역 주민이 각종 지역 자원을 활용해 소득과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활성화와 지방 소멸에 대응하고 있다.
행안부는 2025년도 신규마을기업으로 57곳을 지정하고 기존 마을 기업 중 78곳에는 지원금 28억4000만원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관련 예산이 편성되지 않아 마을기업을 새롭게 지정하지 못했으나 지원금이 없더라도 마을기업 지정이 필요하다는 요구를 반영해 올해는 지정과 지원을 분리해 지원금 없이 신규 마을기업을 지정하게 됐다.
마을기업은 지자체가 자체 추진하는 예비 마을기업과 행정안전부가 지정해 지원하는 마을기업으로 구분된다. 마을기업 발전 단계에 따라 신규(1차), 재지정(2차), 고도화(3차) 마을기업으로 지정돼 구분된다.
신규로 지정된 행복황촌 협동조합은 정부의 재정적 지원 없이 지정됐다.
비록 재정적 지원은 없지만 지정만으로도 행복황촌 협동조합은 한시름 덜게 됐다.
행복황촌 마을호텔은 예비 마을기업을 거쳐 지난해 행안부 마을기업 지정을 준비했었다.
하지만 정부는 예산 부족을 들며 마을기업 지원 육성사업 예산을 지난해에 이어 2025년에도 마을기업 신규 육성 지원금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다. 2년 연속 마을기업 지정이 중단되며 행복황촌 마을기업은 내년 3월부터 내국인 이용은 불법이 될 처지였다.
경상북도 예비 마을기업 인정 유효기간이 2년으로 이번 달 마을기업의 지위를 잃게 될 처지였다.
행안부의 마을기업 지정이 미뤄졌다면 경북도 예비 마을기업 지위 상실로 마을 호텔에서는 내국인 이용이 불법 영업이 되는 것이다.
마을기업 대표 사례 ‘행복황촌’
행안부는 마을기업 신규 지정하며 2025년 마을기업 대표 사례로 ‘행복황촌’ 사례를 꼽았다. 행안부는 행복황촌은 황리단길 인근에서 도시민박업을 운영하는 곳으로 주택 빈방과 빈집을 활용한 마을 호텔 운영, 지역 커뮤니티 시설과 역무원 관사시설을 비롯한 근대문화자산을 활용한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지역관광으로 관광객 유입과 마을 소멸 위기 극복에 기여하고 있다며 대표 사례로 언급했다.
민대식 전 행복황촌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장은 “지역 주민과 협동조합이 염원하던 마을기업 지정으로 한시름 덜게됐다”면서 “앞으로 협동조합 운영을 통해 황촌이 활성화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