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문화원이 지난 6일 ‘2025년 경주문화유산해설사 양성교육’을 개강해 첫 강의에 들어갔다.지난 2022년부터 시작한 이 교육은 그동안 총 700여명의 수료생을 배출했다.국가유산청 ‘활용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시작해 현재 한국수력원자력 월성원자력본부 후원으로 계속 진행되고 있다. 이번 학기 수강생은 오전반 60명, 저녁반 60명으로 조기 마감됐다.교육 프로그램은 4명의 강사가 각각 4개 주제로 구성해 운영한다.1~4주는 차윤정 학예실장(불국사박물관)이 ‘불국사 백 년의 이야기’를 주제로 △일제강점기와 1969년~1973년에 걸친 보수·복원공사를 통해 일신된 불국사의 면모 △일제강점기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100여년에 이르는 동안 불국사에 일어난 다양한 변화 등을 강의한다.5~8주는 송은석 교수(동국대 고고미술사학과)가 ‘신라의 불교조각’을 주제로 △관음신앙과 관음보살상 △굴불사지 사면석불 △미륵신앙과 미륵불보살상 △기림사와 조선 후기 불석제 불상에 대해 교육한다.9~12주는 정인성 교수(영남대 문화인류학과)가 ‘조선고적조사 예비조사와 1915년의 보충조사 재검토’를 주제로 △조선고적조사 사업의 전개 △세키노 다다시와 1902년의 경주 답사 △1909년 황남동 서악리 고분 발굴의 뒷이야기 △1915년 보문리 발굴조사 막전막후에 대해 설명한다.13~16주는 박홍국 교수(위덕대 전 박물관장)가 ‘신라의 석조 문화재와 우리나라의 전탑’을 주제로 △당간지주의 발생과 형태변화 △신라비석 꼼꼼하게 살펴보기 △신라 석조 장인들의 기량 △우리나라의 전탑에 대해 강의한다.신라문화원 진병길 원장은 개강 인사에서 “강의를 맡아주신 교수들과 수강생들의 열정이 하나가 돼 경주의 문화유산을 깊이 이해하고, 가꾸며, 활용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열어드린다는 생각으로 큰 보람을 느낀다”고 밝혔다.한편 신라문화원은 이 프로그램의 내용을 더욱 보강해 수강생들이 경주를 대표하는 문화유산 해설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계속해 지원할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