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APEC 정상회의 주요 의제에 관한 실질적인 협의 및 결정을 이끄는 핵심협의체인 APEC 고위관리회의(SOM1)가 지난 24일 경주에서 개막해 3월 9일까지 열린다. SOM(Senior Officials Meeting)은 회원국의 통상분야 차관보 또는 실장급이 참석하는 회의다. 오는 10월 말 열리는 APEC 정상회의의 사전 준비나 예행연습의 성격도 지니고 있다. 경주에서 열리고 있는 SOM1에는 APEC 21개 회원국 대표단 등 2000여명이 28개 회의체를 구성해 100여차례 회의를 가진다. 고위관리회의와 함께 무역투자위원회, 경제기술협력운영위원회 등 4대 위원회 회의를 비롯해 통관절차소위원회, 기업인이동그룹, 디지털경제조정그룹 회의 등이 열린다. 또 재무장관 프로세스의 일환으로 재무차관 및 중앙은행 부총재 회의도 개최된다. SOM은 정상회의 전에 5차례 열리는데, ISOM(Informal SOM. 비공식고위관리회의)는 지난해 12월 서울에서 열렸다. SOM1은 경주에서, SOM2는 오는 5월 제주, SOM3는 8월 인천, CSOM(Concluding SOM. 최종고위관리회의)는 10월 정상회의 주간에 경주에서 열릴 예정이다. 경주는 올해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역사와 문화의 가치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이에 따라 이번 SOM1을 통해 경주가 국제행사를 충분히 치러낼 수 있다는 능력을 증명해야 한다. 주낙영 시장은 “이번 고위관리회의는 APEC 정상회의의 성공개최 여부를 가늠하는 첫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철저한 준비와 인프라 확충 및 정비는 두말할 여지 없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경주시가 국제회의 개최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세계적인 관광지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무엇보다 경주 APEC 정상회의의 성공개최는 탄핵 정국으로 무너진 대한민국의 회복력을 국제사회에 보여줘야 하는 중차대한 의미도 지니고 있다. 경북도와 경주시가 목표로 하는 ‘완벽한 회의 개최’를 실현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한 때다. 그리고 시민들의 APEC에 대한 이해와 함께 선진 시민의식을 함양하고,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 그 어느 때보다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국가대사를 위해 우리 모두의 힘의 하나로 모아져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