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현시대에 노인 일자리 사업은 우리 사회에서 반드시 필요한 복지정책 중 하나다. 특히 노인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서라도 노인 일자리 사업은 매우 중요하다.   지난 21일 경주시의회 제288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최영기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양질의 노인 일자리 창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 의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 인구 비율이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경주시는 이미 2018년 초고령사회로 들어섰다. 또 우리나라 노인 고용률이 OECD 국가 중 1위인 반면, 노인 빈곤율도 OECD 평균의 3배에 달하는 43.4%로 1위였다. 이처럼 노인 고용률이 1위임에도 불구하고, 노인 빈곤율 또한 1위인 것은 양질의 노인 일자리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경주시는 올해 노인 일자리 사업에 지난해 180억원 보다 7억4800만원 늘어난 187억4800만원을 투입한다. 참여 인원은 4420명으로 지난해 4236명보다 184명 늘어난다. 노인일자리는 3개 유형으로 노인공익활동사업(3500명), 노인역량활용사업(610명), 공동체사업단(310명) 등이다. 이 중 하루 3시간 이내 간단한 업무를 수행하고 월 29만원의 급여를 받는 공익활동형이 대다수이고, 상대적으로 급여가 높은 사회서비스형 및 민간형 일자리의 비중은 낮다.   경주시가 노인 일자리 사업을 위해 예산을 확대하고, 참여 인원도 증가하는 것은 반길만하다. 문제는 양적 확대에만 초점을 맞춰 추진하는 노인 일자리 사업은 재고해야 한다는 점이다. 물론 늘어나는 고령 인구와 예산 문제 등으로 인해 양질의 노인 일자리 창출이 쉽지 않다. 하지만 시는 급증하고 있는 노인을 위해 더 많은 양질의 일자리를 확보하는 것이 최우선임을 각인하고, 지속적으로 해결 방안을 찾아내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