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올해 대릉원 미디어아트 등 18개 문화유산 활용사업을 통해 천년고도의 매력을 발산한다.
시는 올해 △세계유산축전 △대릉원 미디어아트 △세계국가유산산업전 △세계유산 활용(4개) △세계유산 홍보지원(2개) △국가유산 활용(7개) △고택 종갓집(2개) 등 18개 사업을 추진한다. 사업비는 총 70억원이 투입된다.
먼저 세계유산축전은 오는 9월 12일부터 10월 3일까지 열린다.
경주역사유적지구, 석굴암·불국사, 양동마을, 옥산서원 등 세계유산 4개 공간을 중심으로 컨퍼런스, 세미나, 체험·교육 프로그램이 펼쳐진다.
대릉원 미디어아트는 10월 24일부터 11월 16일까지다. 황남대총, 천마총, 미추왕릉 고분을 중심으로 미디어파사드, 인터렉티브, 프로젝션 맵핑 등 다양한 미디어 기술을 선보인다.
경주 세계국가유산산업전은 시기를 앞당겨 6월에 열린다. 올해 8번째 개최되는 국내 유일 국가유산 전문전시회로 APEC 정상회의의 사전 분위기를 띄워 글로벌 주목도를 높일 계획이다.
세계유산 활용 프로그램은 선비고을인 양동마을에서 숙박 체험 및 해설사 양성교육, 옥산서원에서는 내·외국인 대상 스탬프 투어 및 선비체험이 진행된다.
경주역사유적지구인 월성, 대릉원, 황룡사를 배경으로는 타임머신 투어, 전통등 전시 등 역사교육 이벤트가 열린다.
특히 올해는 석굴사원의 천년미소 ‘마애’, 상상더하기 월성해자, 황룡·전통등과 함께 날아들다 등 3건이 추가돼 주목된다.
야간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인 ‘문화유산야행’은 경주의 신화와 문화유산을 연계해 8야(夜)를 주제로 21개의 이색적인 이벤트를 개최한다.
읍성을 연계한 포졸 체험, 쓰담 역사탐험대인 ‘읍성 생생나들이’, 화랑의 나라, 서악 생생 페스타를 진행하는 ‘화랑이 깃든 서악마을’ 프로그램은 부모와 아이들이 함께 즐길 수 있다.
칠불암과 골굴암에서는 전통 사찰문화, 불교 문화유산 체험 등 전통산사 행사로 국가 문화유산을 알린다.
고택과 종갓집에서 펼쳐지는 ‘경주 최부자! 곳간을 열다’와 ‘회재가 보내온 500년 종갓집 초대장’은 고택·종갓집의 의식주, 의례 등은 사라져가는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을 유도한다.
주낙영 시장은 “문화유산 활용은 있는 그대로의 문화유산 보존만큼이나 가치 있는 일”이라며 “올해 경주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문화유산 활용사업에 많이 참여해 아름답고 행복한 좋은 추억을 많이 담아 가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