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대구·경북지역에서 유일한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머물게 됐다. 지난 5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제96차 미분양 관리지역 선정에서 경주시를 2월 9일까지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재지정했다. 반면 대구 남구의 미분양 관리지역을 해제하며 대구·경북에서 경주시만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남게됐다. 대구 남구는 경주시와 함께 대구·경북에서 오랫동안 미분양관리지역에 머물렀던 곳이다. 경주시가 지난 2022년 제65차 미분양관리지역 선정에서 포항시는 경주시와 아산시, 사천시, 평창군과 함께 관리지역이 됐으며 대구 남구는 2022년 제70차(2022년 8월~)에 선정됐다. 당시 남구는 △미분양세대수 증가 △미분양세대수 감소율 10% 미만 등 미분양 해소 저조 △미분양 우려 등으로 선정됐다. 하지만 남구는 최근 미분양 가구가 줄어들며 2년 만에 미분양 관리지역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11월 말 기준 대구 남구의 미분양 공동주택은 992세대로 지난 2022년 7월 이후 28개월 만에 1000세대 아래로 줄어었기 때문이다. 대구 남구와 함께 대구·경북 유이하게 관리지역이었던 경주시는 미분양 해소 저조로 관리지역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경주시는 지난해 11월 기준 미분양 공동주택 물량이 1360세대로 포항시 2204세대, 구미시 2084세대에 이어 세 번째로 많았다. 포항시와 구미시는 경주시보다 미분양 관리 물량이 많지만 공동주택 재고수 대비 미분양 세대수가 2% 미만으로 줄어들면서 미분양 관리지역에서 벗어났다. 경주시가 미분양 관리지역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산술적으로 미분양 세대가 최소한 1120세대(약 18~19%)가 줄어들어야만 한다. 하지만 경주시의 미분양 물량은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경주시에 따르면 지역 미분양 물량은 11월 기준 1360세대로 9월 미분양 물량인 1382세대 대비 22세대가 줄었기 때문이다. 부동산 관계자는 “최근 분양된 아파트 미분양 물량도 많은 상황에서 부동산 경기 영향으로 거래량도 줄어들고 있다”면서 “미분양 해소를 위해서는 외지인의 수요가 공급되야 한다. 지역 수요만으로는 미분양 해소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