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 후폭풍으로 정국이 혼란에 빠진 가운데 경주에서는 2025 APEC 정상회의 준비에 차질이 생기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당장 지난 10일 국회 본회의에서 APEC 정상회의 준비를 위한 기본 예산은 통과됐지만, 추가로 필요한 사업의 국회 증액 예산은 불발됐다.
또 APEC 정상회의는 정부 부처와의 긴요한 협의가 필요하지만 비상계엄 사태로 국무위원들이 일괄 사의를 표명해 의사 결정과 실행이 지연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다.
또 외교부 소속 ‘APEC 정상회의 준비위원회’를 국무총리 소속으로 개편해 위원장을 외교부 장관에서 국무총리로, 정부위원은 관계기관 부기관장에서 기관장으로 격상됐지만, 국무총리 역시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의 수사대상에 올랐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지난 7일 국회 본회의에서 표결에 부쳐졌으나 투표 불성립으로 자동 폐기됐고, 야당은 임시회 회기를 일주일 단위로 끊어 탄핵안을 재발의하고 표결을 이어가기로 했다.
또 대한민국을 바라보는 해외 각국의 시선도 곱지 않다. 당장 스웨덴 총리가 방한을 연기했고, 미국과 카자흐스탄 국방장관도 방한을 보류하거나 취소했다.
특히 미국과 영국, 중국 등 일부 국가들은 한국여행에 주의를 권고하는 등 최근의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 같은 정국 혼란 속에서 외교가 최우선인 APEC 정상회의의 성공개최가 불투명해지는 것이 아니냐는 시민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다.
특히 시민들은 2025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경주가 글로벌도시로 도약할 기회가 무산될까 우려하고 있다.
실제 APEC 정상회의가 취소됐던 사례가 있어 우려는 더욱 크다. 지난 2019년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정상회의의 경우 대규모 시위로 인한 정치적 불안정을 이유로 취소됐었다. 2020년엔 페루 APEC 정상회의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취소된 바 있다.
APEC 정상회의의 의장은 개최국의 대통령이 되는데, 현재 상황이 지속된다면 취소될 가능성도 있다는 이야기다.
내년 정상회의가 개최되는 10월 말까지는 많진 않지만 그래도 시간은 있다.
물론 정국 안정이 최우선이지만, 경북도와 경주시는 정부 부처와 상시 대화 채널을 확보해놓고 APEC 정상회의가 성공적으로 열릴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
국내외적으로 어느 때보다 어려운 시기가 닥친 만큼, 비상한 각오로 지역 최대 현안을 흔들림 없이 챙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