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가 지난 1992년부터 ‘孝子, 烈女碑(효자 열녀비)’를 제목으로 연재한 고 함종혁(咸鍾赫: 1935~1997) 선생의 기사를 토대로 그 현장을 다시 찾아 점검한다. 함 선생은 1963년 동아일보 특파원으로 경주에 부임해 경주의 문화재를 알리는데 주력했다. 함종혁 선생이 본지를 통해 전했던 경주지역의 효자, 열녀 이야기를 재편성해 선조들의 충효사상을 되새겨본다. 그리고 현재 효자·열녀비에 대한 관리 상황도 함께 점검해본다. /편집자주 하늘도 감동한 부자지간의 효행 ‘양세정효비’ 경주 시내에서 내남면 방향 삼릉을 지나자 마자 도로 좌측편에 양세효자비(兩世孝子碑)가 세워진 한옥 구조의 비각이 있다. 이곳이 월성김씨 수만, 상태 부자의 효행이 담긴 양세효자각이다. 이 비에는 가선대부 예조참판 월성김공 수만지비(嘉善大夫 禮曹參判月城金公 壽萬之碑)와 동몽교관 조봉대부 월성김공 상태지비(孝子贈 童蒙教官 朝奉大夫 月城金公 相兌之碑)라는 비문에 새겨져 있다. 비문에 따르면 수만 선생은 예법을 존중하는 집안에서 태어나 아버지의 가르침을 잘 받아 행동거지가 올바르지 않은 것이 없었다. 또 부모님 섬기는 일에 정성이 남달랐다.맛 좋은 음식과 다과를 보면 반드시 부모님께 드렸고, 커서는 어버이를 극진하게 모시는 마음을 으뜸으로 삼았다.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공부하는 주경야독으로 어버이를 편안하게 모셨다. 그러던 중 아버지가 병에 들었다. 아버지가 겨울철에 포도가 먹고 싶다고 하자 병을 고치려는 일념으로 동지섣달 추운 눈 속에 포도를 구하러 다니는 정성을 보였다. 하지만 제철이 지난 겨울에 포도를 구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아버지의 병을 낫게 하려는 효심을 하늘이 알았던지 하루는 날아가는 까마귀가 포도 한 송이를 물고 와 땅에 떨어뜨리고 가더라는 것이다. 이 포도를 병석에 있는 아버지에게 드렸더니 그만 병석을 털고 일어났다. 수만 선생의 아들 상태도 아버지의 효심을 본받아 남달리 효심이 지극했다고 한다. 그의 어머니가 병석에 누워 잉어가 먹고 싶다고 하니 엄동설한 추운 겨울에 형산강 상류인 앞 냇가의 얼음을 깨고 잉어를 낚아 어머니를 봉양했다. 이 같은 효심에 범도 감동했는지, 어느 날 밤 범이 개를 물고 와서 입 마당에 던져 주고 갔다고 한다. 아들 상태는 하느님이 내리신 효약으로 알고 개를 푹 다려 어머니를 봉양하니 병환이 언제 있었는지 모를 정도로 바로 쾌차했다. 또한 이들 부자는 예의범절을 주문공(朱文公) 가례를 따른지라 많은 선비들이 이들이 효행을 나라에 진정했다. 이에 1861년 조선 철종 임금이 양세효자로 정려(旌閭)했다. 1800년 문중에서 높이 95cm, 넓이 35cm, 두께 14cm의 양세효자비와 비각을 세워 이들 부자의 효행을 기리고 있다. 자신의 피로 어머니 살린 ‘효자 묵암달성서공정려비’ 경주에서 포항으로 가는 7번 국도 강동면 호명리 구간 도로 옆에 한옥 목조의 정려각이 보인다. 주유소 못 미쳐 도로변에 위치해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 이곳에 효자비가 있다. 효자 묵암달성서공정려비(孝子 黙菴達城徐公旌閭碑)다. 효자 서 씨는 달성 사람으로 어릴 때부터 엄격한 가정에서 충효 사상을 배우며 자랐다고 한다. 무엇보다 효성이 지극했는데 12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삼년상을 어른들과 함께 지냈다. 그리고 어머니를 30여년 동안 하루같이 봉양해 장수를 기원했다. 하지만 어느날 어머니가 병에 들어 위독하자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감정에 사로잡혔다. 그리고는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나오는 피로 어머니에게 수혈했다. 이 같은 서 씨의 효심을 하늘이 알았는지 어머니가 회생했다. 그 후 4년을 더 살다가 어머니의 병이 재발하자 또다시 손가락을 끊어 수혈시켜 다시 4년간을 연명시켰다. 하지만 지극한 정성에도 결국 어머니는 돌아가셨다. 장례 후에는 어머니 묘소까지 20리길을 3년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성묘를 다녔다고 한다. 이 같은 서 씨의 효행을 나라에서 알게 되자 이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정려(旌閭)를 내렸다. 1938년 달성서씨 문중에서 유학 월성 손영흔의 글을 받아 호명리 238-1번지에 정효비를 세우게 됐다. 충·효·열 행적 담긴 ‘이씨삼강묘비’ 본지가 강동면 소재 효자·열녀비를 찾아 나서던 중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의미 깊은 비각을 만날 수 있었다. 1986년 12월 11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이씨삼강묘비(李氏三綱廟碑)다. 강동면 다산리 마을에 자리하고 있는 비각으로, 비문에는 임진왜란 때 순절한 이희룡 장군과 그의 아들 이문진 및 며느리 김씨의 행적을 기리고 있다. 비에는 그들의 충(忠)·효(孝)·열(烈)의 행적이 담겨있다. 이희룡은 임진왜란 때 왕을 의주까지 호위했으며, 영남의 적을 정찰하라는 왕명을 받고 임무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충주에서 적을 만나 전사했다. 아들 문진은 아버지의 시신을 찾으려다 신령에서 적과 대치하다 죽었다. 며느리 김씨가 이 소식을 듣고 손수 시신을 찾았지만 결국 찾지 못하고 3개월 만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 같은 충·효·열의 깊은 뜻을 전해 들은 나라에서는 이들의 공을 기려 조선 숙종 36년(1710)에 벼슬을 올려주고 정려각을 하사했다. 비는 네모난 비 받침 위에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려놓았다. 비교적 큰 규모이나 별다른 무늬는 두지 않았다. 영조 42년(1766)에 비를 세웠으며, 대제학 남유용이 비문을 짓고, 경주부윤을 지내던 홍재가 글씨를 썼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