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TK) 행정통합 논의가 말 그대로 급물살을 타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지난 17일 통합에 공감 의사를 밝힌데 이어 23일 대구시와 경북도의 첫 실무자 협의가 있었다.  또 오는 6월 3일엔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홍준표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TK 행정통합과 관련한 논의를 위해 서울에서 4자 회담을 갖는다. 4자 회담은 윤석열 대통령이 TK 행정통합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을 지시한 데 따른 것이다. 4자 회담에서는 대구시와 경북도의 통합의지를 확인하고, 향후 추진 방향,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3일 열린 대구·경북 실무단(TF) 회의에서는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화학적 결합을 통한 질적 통합이 돼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회의에서는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최대한 이끌어 내기 위한 신속한 실무적 절차와 준비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오는 2026년 지방선거 때 ‘통합 단체장’ 선출을 목표로 하는 만큼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는 모양새다. 하지만 서두르기만 해서는 될 일이 아니다. 시·도 통합 명칭, 청사 위치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시·도민의 지지와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 4년 전 TK 행정통합 시도가 실패한 것은 관 주도 위주의 추진으로 지역사회의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했던 것이 원인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에 따라 TK 행정통합이 왜 필요한지 주민들에게 명확하게 설명해야 한다. 또 통합에 따른 대구경북의 위상과 주민 삶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등 통합에 따른 실익도 제시돼야 한다. 효과가 주민들이 피부로 체감할 수 없다면 통합 논의는 동력을 얻기 어렵다. 지방자치제도 부활 후 지자체 간 통합을 시도해 결실을 본 지자체는 창원시 등 2곳이 전부고, 편입 또한 최근 대구 군위군 등 3건에 불과하다. 광역자치단체가 통합한 사례는 아직 없다. 부산·경남, 광주·전남이 통합을 추진했지만 여전히 답보상태다. 모두 주민 호응이 높지 않거나 정치적인 이유 등으로 통합이 쉽지 않은 탓이다. TK 통합은 수도권 일극 체제와 지방소멸, 저출생 및 인구 절벽 등을 해소하고, 주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논의되고 있다. 이 같은 목적과 당위성을 알려 주민들의 공감과 동참을 이끌어내는 것이 행정 통합의 최대 관건이다.대구경북(TK) 행정통합 논의가 말 그대로 급물살을 타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지난 17일 통합에 공감 의사를 밝힌데 이어 23일 대구시와 경북도의 첫 실무자 협의가 있었다. 또 오는 6월 3일엔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홍준표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TK 행정통합과 관련한 논의를 위해 서울에서 4자 회담을 갖는다. 4자 회담은 윤석열 대통령이 TK 행정통합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을 지시한 데 따른 것이다. 4자 회담에서는 대구시와 경북도의 통합의지를 확인하고, 향후 추진 방향,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3일 열린 대구·경북 실무단(TF) 회의에서는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화학적 결합을 통한 질적 통합이 돼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회의에서는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최대한 이끌어 내기 위한 신속한 실무적 절차와 준비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오는 2026년 지방선거 때 ‘통합 단체장’ 선출을 목표로 하는 만큼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는 모양새다. 하지만 서두르기만 해서는 될 일이 아니다. 시·도 통합 명칭, 청사 위치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시·도민의 지지와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 4년 전 TK 행정통합 시도가 실패한 것은 관 주도 위주의 추진으로 지역사회의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했던 것이 원인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에 따라 TK 행정통합이 왜 필요한지 주민들에게 명확하게 설명해야 한다. 또 통합에 따른 대구경북의 위상과 주민 삶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등 통합에 따른 실익도 제시돼야 한다. 효과가 주민들이 피부로 체감할 수 없다면 통합 논의는 동력을 얻기 어렵다. 지방자치제도 부활 후 지자체 간 통합을 시도해 결실을 본 지자체는 창원시 등 2곳이 전부고, 편입 또한 최근 대구 군위군 등 3건에 불과하다. 광역자치단체가 통합한 사례는 아직 없다. 부산·경남, 광주·전남이 통합을 추진했지만 여전히 답보상태다. 모두 주민 호응이 높지 않거나 정치적인 이유 등으로 통합이 쉽지 않은 탓이다. TK 통합은 수도권 일극 체제와 지방소멸, 저출생 및 인구 절벽 등을 해소하고, 주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논의되고 있다. 이 같은 목적과 당위성을 알려 주민들의 공감과 동참을 이끌어내는 것이 행정 통합의 최대 관건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