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 스터디
강지수
허리를 반으로 접고 아 소리를 내면
그게 진짜 목소리라고 한다
진짜 목소리로 말하면 신뢰와 호감을 얻을 수 있다고
그러자 방에 있던 열댓 명의 사람들이 제각기 허리를 숙인 채
아 아 아 소리를 낸다
복부에서 흘러나오는 진짜 목소리가 방 안을 채운다
이제 그 음역대로 말하는 겁니다
억지로 꾸며낸 목소리가 아닌 진짜 당신의 목소리로요
엉거주춤 허리를 편 사람들이 첫인사를 나눈다
안녕하십니까 반갑습니다 저는 대전에서 왔고……
멋쩍은 미소를 짓고 몇 번 더듬기도 하면서
말을 하다가 불쑥 허리를 접고 다시 아 아 거리는 이도 있다
나는 구석에 앉아 이 광경을 바라본다
선생님이 손짓한다
이리 와서 진짜 목소리를 찾아보세요
쭈뼛거리며 무리의 가장자리에 선다
허리를 숙인다 정강이가 보이고 뒤통수가 시원하다
아 아 아
낮지도 높지도 않은 미지근적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옆집 아이와 엘리베이터에서 마주쳐
어색하게 안부를 물을 때
보다는 낮고
지저분한 소문을 전할 때
보다는 높다
언뜻 저 사람과 그 옆 사람의 목소리하고 똑같다
우리 셋이 동시에 얘기하면 참 재미있겠죠
진지한 모임에서 그런 말은 할 수 없어서
그저 소리만 낸다
아 아
교실은 소리를 머금은 상자가 되고
이가 나간 머그잔에 물을 담아 마시다가 바닥에 흘렸다
닦아내려고 허리를 숙인 찰나
물 위로 번지는 그림자가 보였다
진짜 같았다
고개를 들었다
진짜사람들이 진짜미소를 지으며 진짜 멋진 진짜옷을 입은 게
이제야 눈에 들어왔다
우리는 다 합격할 수 있을 거예요
진짜행복이 밀려왔다
똑같은 목소리를 만들어가는 사회에 대한 풍자
면접을 앞두고 떨리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 예상 질문을 메모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준비하여 면접실에 들어갔지만, 면접위원을 보는 순간 머리가 하얘지면서 하나도 제대로 답하지 못하고 나왔던 기억을 생각하면 지금도 아찔하다.
이 시는 면접학원에서 전문가 선생님과 함께 면접 준비하는 과정을 그린다. “허리를 반으로 접고 아 소리를 내면” 그게 진짜 목소리이고 “신뢰와 호감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하는 선생님을 따라 교실 안, 전국에서 온 열댓명의 취업준비생들이 허리를 반쯤 접고 “아 아” 복부에 힘을 주고 그 목소리를 따라 한다. 선생님이 말한다. “이제 그 음역대로 말하는 겁니다/억지로 꾸며낸 목소리가 아닌 진짜 당신의 목소리로요”
“구석에 앉아 이 광경을 바라”는 ‘나’를 부르는 선생님! “쭈뼛거리며 무리의 가장자리에” 서서 나는, 엘리베이터 안에서 마주쳐 웃을 때보다는 낮고 소문을 전할 때보다는 높은 그 목소리가 모두 똑같고, 그림자마저도 같다는 것을 알아차린다, 그러나 시인은 노련하게 말한다. “진짜사람들이 진짜미소를 지으며 진짜 멋진 진짜옷을 입은 게/이제야 눈에 들어왔다”고. 우리는 시인이 끝까지 반어를 구사하고 있음을 안다.
반어의 두 개의 시점, 겸손한 ‘에이런’과 우둔한 ‘알라존’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면접 스터디에 모인, “허리를 반으로 접고 아 소리를 내면/그게 진짜 목소리”라고 믿는 사람들은 알라존, “구석에 앉아 이 광경을 바라”보는 ‘나’는 에이런이다. 결국 이 시는 교실이, 아니 이 사회 전체가 주체성 없는 “미지근적 목소리”를 “머금은 상자”임을 날카롭게 풍자한다. 진짜 목소리와 진짜행복의 허위를 일깨우는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