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고령화가 가속화하면서 혼자 사는 가구, 즉 1인 가구가 급속히 늘고 있다. 지난해 경주지역 내 1인 가구가 4인 이상 가구보다 3배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지난달 공개한 2022년 인구주택 총조사를 분석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경주시 총가구는 11만9353가구로 전년보다 0.2%(213가구) 증가했다. 이중 일반가구가 11만3877가구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집단·집단시설 99가구, 외국인 가구는 5377가구였다. 일반가구 11만3877가구 중 1인 가구는 4만2790가구로, 전년보다 435가구(1.0%) 증가했다. 1인 가구 수는 등록센서스 방식의 조사가 시작된 2015년 3만2760가구를 시작으로 매년 증가해 2021년에는 4만2355가구를 기록해 처음으로 4만선을 넘어섰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1인 가구의 비율도 2015년 30.6%에서 지난해 35.6%까지 증가하며, 3집 중 1집이 홀로 사는 가구로 나타났다. 4인 이상 가구는 1만4341가구로, 1인 가구의 1/3 수준이었다. 특히 1인 가구 중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는 1만5272가구로 전년보다 6.3% 증가했다. 전체 일반가구 중 고령자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13.4%로, 10집 가운데 1집 이상이 ‘독거노인’ 가구인 셈이다. 1인 가구는 슬림화된 일상이 장점인 반면 외로움, 불안 등을 호소하는 사람도 많아지고, 아프거나 위급할 때 대처가 쉽지 않는 등 문제점도 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홀로 사는 당사자들이 고립감이나 경제적 어려움 등에 노출되거나, 고령자 1인 가구가 늘면서 고독사 같은 사회적 문제도 커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로 인해 정부와 지자체의 1인 가구에 대한 실효성 있는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관심도 높아져야 한다. 그동안의 인구정책이 저출산·고령화 해결에 맞춰졌다면, 이젠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정책을 준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 1인 가구의 경제적 자립, 안정적 주거 확보, 위기상황 대처, 사회안전망 구축 등과 이를 넘어 삶의 질 개선까지 가능한 분야별 정책을 보다 세심하게 수립하고 이행해야 한다. 이에 더해 경주시도 일부 지자체에서 시행 중인 ‘1인 가구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을 추진해 1인 가구에 보다 더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