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환경운동연합과 공공연대노동조합이 천군동 쓰레기 소각장 운영업체의 불법 폐수 방류에 수사 의뢰 등 철저한 진상조사와 강력한 처벌을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과 공공연대노조 경북본부는 지난달 27일 기자회견을 열고 경주 쓰레기 소각장 운영업체가 보문호에 상습적으로 불법 폐수를 방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들은 소각장에서 지난 7월에만 최소 3차례 폐수가 방류돼 보문호로 유입됐다며 운영업체인 베올리아 위임 후 범죄가 상습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경주시는 이를 방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환경운동연합 이상홍 국장은 “소각장 가동 시 폐수가 하루 8톤 발생하며 전량 반출 시 월평균 탱크로리 15대 이상 반출돼야 하지만 지난 10개월 동안 탱크로리 출입은 28대에 그쳤다”면서 “탱크로리에 반출되지 않은 폐수는 불법 방류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각장을 관리해야 할 경주시 자원순환과는 폐수 방류 신고를 받고도 정확한 진상조사 없이 폐수 방류는 없었다고 답하는 등 심각한 배임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고 주장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소각장 폐수가 유입되는 피막지는 국내 최대 남생이 서식지라고 밝히며 야간 시간대를 이용해 폐수 무단 방류를 입증한 사진과 동영상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이에 경주시는 환경연 등이 제시한 자료를 토대로 위탁업체인 ㈜베올리아산업개발코리아를 비롯한 현장 관계자들을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 경주시의 경찰 수사 의뢰 방침에도 환경단체는 경주시가 사건을 축소·은폐하며 계약 해지 등의 제재나 책임자 처벌을 미루고 있다고 비판했다. 환경단체 등은 지난 7일엔 경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재차 열고 소각장 업체 측이 지난해 말부터 소각장 폐수 불법 방류 사실을 추가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주시 담당자들이 소각장 측의 상습 폐수 방류를 알고 있었음에도 이를 방조하거나 눈감아 준 것으로 보인다며 담당자들을 공범으로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경연은 이 근거로 베올리아가 소작장 위탁 후 2차례 대보수에도 소각장 침전물을 걸러내지 못해 폐수가 저류조를 범람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상수도를 소각재 냉각에 사용하며 폐수 양이 더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탱크로리를 통한 외부 반출이 증가해야 함에도 반출이 거의 없었고 그 결과 상습적 폐수 불법 방류가 됐다며 경주시가 이를 상세히 알았을 것이라 주장했다. 환경연과 공공연대노조는 소각장 폐수 방류와 부실 책임을 물어 경주시와 위탁업체를 경찰에 고발하고 반드시 책임을 묻겠다고 강조했다. 이상홍 국장은 “소각장 위탁업체의 폐수 무단 방류는 2021년에도 발생한 것으로 소각장의 정상 운영을 위해서는 위탁관리가 아닌 경주시의 직접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