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지역에서 혼자 사는 1인 가구 수가 4인 이상 가구의 3배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0집 중 1곳 이상이 65세 이상 고령자가 혼자 사는 ‘독거노인’ 가구였다.
지역 내 1인 가구와 특히 고령자가 홀로 사는 가구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어 경주시 차원의 주거복지 등 맞춤형 정책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달 27일 공개한 2022년 인구주택 총조사(등록센서스 방식)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경주시 총가구는 11만9353가구로 전년보다 0.2%(213가구) 증가했다.
일반가구가 11만3877가구로 총가구의 대부분을 차지했고, 집단·집단시설 99가구, 외국인 가구는 5377가구였다.
가구원 수별로 보면 1인 가구가 4만2790가구로, 전년보다 435가구(1.0%) 증가했다. 1인 가구 수는 등록센서스 방식의 조사가 시작된 2015년 3만2760가구를 시작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해왔다.
2021년에는 4만2355가구를 기록해 4만선을 돌파했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1인가구의 비중 역시 2015년 30.6%에서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 35.6%까지 치솟았다. 3집 중 1집 이상이 1인 가구인 셈이다.
연령대별 1인 가구는 60대가 8574가구로 전체의 20.0%를 차지했다. 이어 50대 7128가구(16.7%), 20대 6139가구(14.3), 70대 6021가구(14.1%), 40대 4876가구(11.4%), 30대 4390가구(10.3%) 순이었다. 전체 1인 가구 중 80세~84세 2878가구(6.7%), 초고령인 85세 이상은 2239가구로(5.2%), 80세 이상 고령자가 혼자 사는 비율도 11.9%였다. 지난해 2인 가구는 3만7529가구로 일반가구 전체의 33.0%였고, 3인 가구는 1만9217가구로 16.9%였다.
4인 이상 가구는 1만4341가구로, 1인 가구의 1/3 수준이었다.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2.6%로 가장 낮았다.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2.1명으로 전년과 같았다. 5년 전인 2017년(2.3명)과 비교하면 0.2명 줄었다.
한편 1인 가구가 사는 주택의 종류는 단독주택이 2만4343가구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아파트 1만2343가구, 다세대주택 1716가구 등의 순이었다. 숙박업소 객실, 기숙사·특수사회시설 등 ‘주택이외의 거처’는 2567가구로 집계됐다.
10집 가운데 1집 이상 ‘독거노인 가구’
지난해 경주시 총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6만140명으로 전년보다 2281명(3.9%) 증가했다. 65∼74세가 전체 고령인구의 56.7%(3만4095명)를 차지했고, 75∼84세는 32.1%(1만9275명)로 집계됐다. 85세 이상 초고령자의 비율은 11.3%(6770명)였다.
경주지역 일반가구 중 가구원 전체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 규모는 2만6032가구로 전년보다 6.3% 늘었다. 65세 이상 고령자 1인 가구도 1만5272가구로 전년보다 6.3% 증가했다.
전체 일반가구(11만3877가구) 중 고령자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3.4%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0집 가운데 1집 이상이 독거노인 가구라는 것을 뜻한다.
가장 많이 거처하는 곳은 ‘단독주택’
경주지역 일반가구 11만3877가구가 거처하는 주택 종류는 단독주택이 5만2898가구(46.5%)로 가장 많았다. 아파트는 4만5703가구(40.1%)로 뒤를 이었고, 다세대주택 5317가구(4.7%), 연립주택 2752가구(2.4%) 등의 순이었다. 숙박업소 객실, 기숙사·특수사회시설 등 주택이외의 거처는 4810가구(4.2%)였고, 오피스텔 거주는 1609가구(1.4%)로 집계됐다.
지난해 지역 내 주택 11만705호 중 건축연도가 30년 이상된 주택은 32.4%(3만5822호)를 차지했다. 30년 이상 된 주택 중에서는 단독주택이 2만5452호(71.1%)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아파트 7642호(21.3%), 연립주택 1705호(4.8%), 다세대주택 410호(1.1%) 등의 순이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인구주택 총조사를 통해 인구규모, 분포 및 구조, 가구, 주택에 관한 특성을 파악해 각종 정책입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면서 “경주시 등 지자체에서도 조사 결과에 따른 복지, 주거, 인구 등 관련 정책들을 각자의 특성에 맞게 수립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