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월성연구센터 숭문대(崇文臺)의 ‘실감 : 월성 해자’ 전시가 13일부터 일반에 공개됐다. 경주시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 12일 교촌한옥마을 옆 숭문대 전시동에서 전시 개막식을 가졌다.
전시는 월성 해자와 그 주변의 고환경을 생생한 영상으로 감상할 수 있다.개막식에는 주낙영 시장을 비롯해 문화재청 이경훈 차장, 김연수 국립문화재연구원장, 국립문화재연구소 황인호 소장 등이 참석했다.
숭문대는 신라 왕궁인 ‘월성’ 발굴 과정에서 출토된 유물을 전시·연구하는 시설이다. 앞서 경주시는 문화재청과 함께 지난 2021년 3월 교촌한옥마을과 인접한 황남동 1만1577㎡ 부지에 174억원을 들여 조성사업에 본격 착수했다.
최근 주요 건물 공사를 마쳤고, 주차장과 조경공사 등은 진행 중으로 내년 초 모두 마무리 될 예정이다.
경주시는 숭문대 개관으로 신라왕궁 발굴 과정에서 출토된 유물의 전시와 연구 성과를 공개할 수 있는 이른바 ‘신라왕궁 출토유물 전시관’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한편 숭문대란 명칭은 ‘삼국사기’에 나오는 신라 관청 이름으로 학문을 숭상한다는 의미다. 신라시대 왕실도서를 관리하고 왕세자 교육을 담당한 곳으로, 찬란했던 신라 천년 역사를 널리 알리고 계승한다는 의미에서 숭문대로 이름 지었다.
주낙영 시장은 “숭문대 개관에 따라 체계적인 발굴조사와 연구를 추진해 신라천년 왕궁 복원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오늘 개막식은 단순히 유물을 보여주는 것을 넘어 신라왕경을 복원하기 위해 첫발을 뗀 역사적인 날”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