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천황의 후손들은 천무와 지통천황에게 빼앗긴 황위를 되찾고자 했다. 그러나 그들은 엄중한 감시 하에 놓여 있었다. 그래서 그들은 향가의 힘을 빌어 황위를 찾고자 했었던 것으로 보인다. 천지천황 측 인사들은 향가를 만들어 천무천황 후손들간 골육상쟁을 벌이기를 빌었다. 마침내 그들의 소원은 이루어졌다. 천무와 지통의 후손들은 골육상쟁 끝에 이리저리 갈라져 황위를 이을 후손들이 남아나지 않게 되었다. 그 결과 천지천황의 친손자인 광인(光仁)천황이 마침내 즉위하게 되었던 것이다.<231번가> “고원산으로 가는 들가에 / 가을 능금 나무 열매가 열렸다가 흩어진다. / 바라보니 황위를 지키는 사람이 없다” 고원산(高圓山)은 높고도 원만해야 하는 자리, 천황의 자리를 은유하고 있다. 고도의 암시법이 사용되어 있다. 그만큼 천지천황의 후손들은 감시 속에 살았을 것이다. 작품 속 ‘아(芽)’는 파자법으로 풀어야 한다. 芽=十十 + 牙으로 파자가 된다. 이십번을 어금니로 씹어 먹는 과일, 즉 능금을 말하고 있다. 추자(秋子)는 지통 후손들을 암시하고 있다. 늦가을 들판에 붉게 익은 능금이 여기저기 흩어지고 있다. 언듯보아 그림같이 아름다운 정경이다. 그러나 내용은 냉혹하다. 지통천황(=秋)의 후손들(芽子 능금 열매)이 골육상쟁을 벌여 서로 죽이고 있다는 것이다. 황위를 지켜야 할 사람조차 남아나지 않았다.<232번가> “황자께서 삿갓쓰고 산으로 가네. / 들가로 난 길에 큰 구름이 끼어 있다. / 거칠어 오래 걸리는 나라 찾는 길”<233번가> “고원산 들가에 가을 능금나무 열매가 흩어지네. / 너희들이 흩어지니 황자님의 모습이 눈앞에 밟히고 또 밟힌다. / 슬픔에 눈물을 뿌린다” 천무와 지통의 후손들이 서로 싸워 황위를 지킬 사람조차 남아나지 않았다. 이제 천지의 후손인 지귀(志貴)황자가 나서 황위를 되찾아야 할 때가 되었다. 그러나 하늘이 무심하여 이러한 때 그가 죽고 말아 슬프기 그지없다는 작품이다.<234번가> “삼립산(三笠山) 들가 따라 떠도는 머나먼 길. / 매우 멀고 거칠다. / 멀기로 소문난 곳” ‘매우 멀고 거칠기로 소문난 곳’이라는 구절 역시 황위를 되찾기까지의 험난한 여정을 암시한다. 삼립산(三笠山)은 ‘삿갓 쓴 세 사람이 갔던 산’이다. 세 사람은 천지천황 가족관계 표에서 찾아보면 천지의 아들 지귀(志貴)황자, 손자 광인(光仁)천황, 증손자 환무(桓武)천황으로 볼 수 있다. 이들 후손 세 사람은 부끄러워 하늘의 해(천무, 지통 천황 등)를 차마 바라 볼 수 없어 삿갓을 쓰고 다녔다는 뜻이 될 것이다. 황위를 잃은 천지후손들의 고난을 그린 수작이다. 이 작품을 끝으로 만엽집 권제2가 끝이 난다. 황위를 되찾기까지의 천신만고의 여정을 그린 작품들이 만엽집 권제2를 마무리하고 있었다. 향가는 한반도에서 건너갔다. 우리의 향가는 그곳에서 일본 황실의 가장 내밀한 이야기를 담고 있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