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메타버스 신산업 육성 종합대책인 ‘메타버스 수도 경북’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경북도는 지난 6일 도청에서 언론브리핑을 통해 메타버스를 통해 지방시대를 주도하고 세계 대표 메타버스 선도 지역으로 발전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이날 언론브리핑에는 이철우 도지사, 최성광 메타경북 민관합동추진위원장, 유철균 대구경북연구원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메타버스는 ‘가상’, ‘초월’ 등을 뜻하는 영어 단어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의 가상세계를 말한다.  이날 발표한 ‘메타버스 수도 경북 기본계획’의 3대 방향은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돈 되는 메타버스 △새로운 관계를 창출하는 사람이 몰리는 메타버스 △새로운 영토를 창출하는 디지털로 통합하는 메타버스다.  도는 이를 위해 인문과 디지털이 융합된 경북형 메타버스 특화사업으로 △한류 메타버스 거점 조성 △글로벌 메타버스 혁신특구 조성을 중점 추진한다. 글로벌 한류 메타버스 거점 조성을 통해 세계적 브랜드인 한류 콘텐츠를 지속 성장·확산시킬 글로벌 플랫폼도 구축하고 한류 쇼어링(Shoring)을 주도할 계획이다. 또 도는 글로벌 메타버스 혁신특구를 조성해 국내 메타버스 융합산업을 선도하고 글로벌 진출을 위한 전진기지로 육성할 방침이다. 또 경북도는 기본계획의 원활한 달성을 위해 △기반 조성 △인력 양성 △기업 육성 △생태계 활성 등 분야별 메타버스 사업도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분야별 대표격 사업은 △메타버스 컨트롤타워인 ‘메타버스융합진흥센터’ 설립 △전국(국제) 대학생들과 ‘청년 메타버스 창작 페스티벌’ 개최 △세계 최고 기술을 보유한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와 메타버스 국제기술협력 △메타버스와 공항(Airport)을 결합한 메타버스 특화 플랫폼인 ‘메타포트’ 구축 등이다. 메타버스 수도 경북 기본계획 추진을 통해 도는 2026년까지 △메타버스 육성 거점 5곳 구축 △R&D 콘텐츠 150건 개발 △마케팅·인증·실증 등 기업 1615개사 지원 △크리에이터 등 인력 6260명 양성 △가상도민(메타인구) 1000만명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대구경북연구원과 경북테크노파크는 메타버스 수도 경북 기본계획이 성공적으로 이행되면 전국적으로는 생산유발효과 1조126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4586억원, 취업유발효과 7208명의 경제 파급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무한 경쟁에 직면한 경북이 다시 과거의 영광을 누리기 위해서는 메타버스 시대의 주도권을 차지해야 한다”며 “경북이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적인 메타버스 수도로 도약하기 위해 도는 물론 중앙정부와 시·도민들이 함께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