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제5차 ‘예비문화도시’에 선정됐다. 예비문화도시는 법정문화도시 최종 지정에 있어 1차 관문인 셈이다. 문체부는 이번에 예비문화도시로 경주시를 비롯해 전국에서 총 8곳을 선정했다.
이들 도시는 10월부터 1년간 예비문화도시 사업을 수행해야 한다. 그리고 수행한 사업은 2023년 10월 문체부 문화도시심의위원회의의 평가를 통해 법정문화도시로 최종 선정하게 된다. 문화도시 선정을 위한 본격적인 준비와 절차가 지금부터 시작된 것이다.
문체부는 지난 2018년 12월부터 법정문화도시를 선정해 5년간 100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예비문화도시 가운데 1년 뒤 법정문화도시 선정에 탈락한 도시도 적지 않다. 그동안 3차에 걸쳐 전국 30개 도시가 예비문화도시로 지정됐지만 1차에서는 7곳, 2차 5곳, 3차 6곳 등 18곳만 법정문화도시가 됐다. 문체부는 지난해 선정된 4차 예비문화도시 16곳에 대해서는 예비사업 실적평가를 통해 연말경 6곳 내외로 지정할 계획이다.
자칫하면 경주시도 최종 선정에서 탈락하는 전철을 밟을 수도 있는 만큼 앞으로 예비문화도시 사업을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 그동안 경주시는 1, 2차 예비문화도시 공모에는 지원하지 않았고 3차, 4차에서는 탈락했다. 그나마 막차에 올라탄 셈이다. 경주는 근본이 역사와 함께하는 문화도시다. 그동안 문화재 발굴과 정비 등에 치우진 사업으로, 문화를 통해 시민이 향유하거나 흥미와 관심을 끌기에는 부족한 점도 많았다.
경주의 예비문화도시는 ‘천년을 이어 시민과 동행하는 문화도시 경주’를 비전으로 한다. 문화향유, 문화자치, 문화산업, 특성화사업 등 분야에서 13개 사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들 비전과 사업계획 곳곳에 시민들의 참여가 포함돼있어 고무적이다. 시민들과 함께 계획을 수립하는 그 자체가 문화도시를 만들고, 활성화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예술인 지원, 문화예술작품 제작비 지원, 문화행사 지원 등에 집중돼 있던 지역의 문화예술정책에도 새로운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번 예비문화도시 선정을 계기로 경주시는 문화적인 삶이 확산돼 지역 공동체가 자부심을 갖도록 해야 한다. 또 문화적 가치의 재발견을 통해 지역 문화의 수준을 한층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