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중 2단계 저준위 표층처분시설 건설 사업이 지난달 26일 첫 삽을 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이날 착공식을 가졌다. 2단계 방폐장은 2025년 운영을 목표로 양북면 봉길리 일원 부지에 건설한다. 2단계 표층처분시설은 지표면에 인공구조물(처분고)을 설치하고 방폐물을 밀봉 보관하는 방식으로, 저준위 및 극저준위 방폐물을 처분하게 된다. 총사업비 2621억원을 들여 1단계 시설 부지 내 6만7490m²에 12만5000드럼(1드럼 200ℓ 기준)을 수용할 수 있다. 이후 처분 규모를 27만5000드럼 더 늘릴 계획도 있다. 표층처분시설이 완공되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6번째로 동굴처분 기술과 표층처분 기술을 모두 확보하게 된다. 경주에는 이미 방폐물 10만 드럼을 처분할 수 있는 1단계 동굴처분시설이 지난 2015년부터 운영 중에 있다. 표층처분시설은 당초 2021년 12월 건설을 완료하고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차례로 처분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건설 인허가 단계에서 지연되며 계획보다 4년여 늦어졌다. 이유는 2016년 경주지진과 2017년 포항지진이 연달아 발생하면서 허가 기준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2단계 시설은 규모 7.0 지진에도 견딜 수 있는 5중 다중차단구조로 내진성능을 강화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허가 기준에 적합한지 검토 후 지난 7월 건설 허가를 승인했다. 방폐장은 아무리 안전성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비록 중·저준위 방폐물이라고 하더라도 혐오시설이라는 선입감은 있다. 그동안 국가가 추진해 온 에너지정책 중 어느 하나 편하게 진행된 것은 없다. 그중 방폐물 정책은 지난 2005년 경주 방폐장 유치 당시부터 민·민간 깊은 갈등을 초래하기도 했다. 갈등의 핵심은 안전성이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착공식에서 “1단계 동굴처분시설의 건설·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2단계 표층처분시설도 국민 안전을 최우선에 놓고 건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창양 장관의 발언대로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삼아 주민 수용성을 높이고, 앞서 경험했던 갈등이 반복되는 일은 없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그 다음으로 나갈 수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