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엑스포대공원이 또다시 통합 추진되면서 긍정과 부정의 기류가 교차하고 있다. 경북도와 엑스포 등에 따르면 경쟁력 강화를 위해 경북문화관광공사(이하 관광공사)와 엑스포 통합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경북도 문화관광과와 관광공사, 엑스포 양측이 참여한 자문회의를 3차례나 개최했으며 통합 후 운영에 관한 용역도 진행할 계획이다.
엑스포 통합설은 올해에만 두 번째다. 경북도가 산하 공공기관 통폐합의 하나로 경북문화재단과 통합 계획이 발표됐다. 하지만 경주의 강력한 반발로 경북도지사가 ‘경주시민이 원한다면 문화엑스포를 시민의 품으로 돌려주겠다’며 한발 물러섰다.
이번 통폐합은 엑스포의 지역적 상징성을 고려하고 기능의 한계성과 경영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추진되는 것이다.
우선 관광공사와의 통합으로 지역적 상징성과 관광 활성화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는 것이다. 또한 매년 투입되는 예산에 비해 적자에 허덕이는 엑스포를 흑자경영인 관광공사와 통합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다. 이번 통합은 비단 엑스포 활성화가 아닌 관광공사 본연의 업무 강화라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그동안 관광공사는 골프장 사업 수익과 부동산 거래 등 수익 사업에 몰두해 원래 목적인 관광 활성화에 소홀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엑스포 통합을 통해 당초 관광공사 주목적인 지역 경제·관광 활성화, 관광자원 개발·홍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기대와 우려 교차 엑스포와 관광공사 통합이 추진되자 우려와 기대의 목소리가 상충하고 있다. 통합의 원칙은 찬성하지만 역할과 예산 등이 발목을 잡는 것.
엑스포 관계자는 “그동안 엑스포 통합은 4년마다 거론되면서 구성원들의 피로도가 쌓여왔고 언젠가 통합될 것이라면 관광공사와의 통합이 최선의 선택이라는 의견이 많다”면서 “다만 엑스포의 본래의 역할이 축소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분위기도 공존한다”고 말했다.
관광공사는 통합에 대한 기대보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통합으로 매년 엑스포에 지원되는 예산이 100억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당장 관광공사와 엑스포가 통합되면 경주시에서 매년 지급되던 엑스포 운영비 약 20억 원이 사라지게 된다. 또한 무상으로 사용하던 엑스포 부지도 사용료를 지급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경주시의회는 경북도가 추진하는 공공기관 구조 개혁에 개입하지 않지만 (재)문화엑스포 이외의 기관이 엑스포대공원 사용에 대해 불허 방침을 밝히며 사용료 부과를 언급했다.
시의회 관계자는 “엑스포와 관광공사 통합이 진행된다면 엑스포의 경주시 재산에 대한 분배 절차가 있어야 한다”면서 “50% 지분을 가진 경주시 입장이 충분히 고려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