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무주택 청년들의 주거안정을 위한 월세 지원사업 등 청년 지원정책을 강화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청년월세 특별지원 사업’으로 대상자를 신청 접수받아 선정된 청년에게 11월부터 월세 최대 20만원씩 12개월 간 분할 지원한다.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이 학업, 취업 등 본업에 충실하고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해 전국적으로 시행되는 사업이다. 사업비는 국비 3억4300만을 포함해 도비와 시비 등 모두 6억8600만원의 예산이 투입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약 280여명의 청년이 월세 지원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정부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청년이 목돈을 마련해 사회생활의 시작을 도와주는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자를 모집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본인 적립액 월 10만원에 정부지원금 월 10만원을 추가 적립해 3년간 지원한다. 만기 시 본인 납입액 360만원을 포함 총 720만원의 적립금과 예금이자를 수령할 수 있다. 정부와 지자체들이 청년지원정책에 있어 다양한 현금지원성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갈수록 심각해지는 지역인재 유출과 청년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경주시는 지난 1월 올해를 ‘청년의 해’로 선포하고 경주 희망의 무지개 7대 청년 대책을 공개했다. 청년 희망경제 프로그램, 청년 복지행복하우스, 청년 문화예술 르네상스, 지역대학 청년상생 플랫폼 등 일자리창출과 주거, 교육, 문화환경 조성 등을 핵심과제로 정했다. 이를 위해 올해 150억원, 내년 200억원, 2024년 300억원, 2025년 400억원, 2026년 500억원 등 앞으로 5년간 사업비 1550억원을 투입한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경주시의 청년 지원책은 갈수록 줄어드는 지역 인구를 그냥 두고 볼 수 없는 상황에서 청년층의 탈경주를 막아야하는 위기의식에서 나왔다. 하지만 이 계획을 통해 단기적인 성과를 기대하긴 어려워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사회 초년생인 청년들이 경주에서 제대로 정착할 수 있도록 기업들도 지역 청년들의 채용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 또 청년들을 위한 문화와 여가 인프라 확충도 시급하다. 청년들을 경주에서 살게 하려면 다양한 지원도 필요하지만 환경 조성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경주시의 청년 지원책 강화가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중·단기 구간별 정책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 또 경주시의 정책이 청년층 인구의 감소를 막기 위한 특별대책이 되려면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는 신중함도 필요해 보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