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子張問曰 令尹子丈 三仕爲令尹 無喜色 三已之 無慍色 舊令尹之政 必以告新令尹 何如 子曰忠矣 曰仁矣乎 曰未知 焉得仁 자장이 문왈 令尹子文 삼사위영윤이나 무희색이라. 삼이지 무온색이라. 구영윤지정을 필이고신영윤하니 하여오? 자왈 충의라. 왈 인의호이까? 왈 미지라. 언득인이리오? <주석>令尹子文 :令尹은 官名으로 초나라의 上卿으로서 執政者이다. 子文은 성은 鬪(투)이고 이름은 穀於菟(곡어토)이다. 仕 :동사로 취임이다. 已之 :벼슬을 그만둠을 가리킨다.未知焉得仁 :겨우 그 충성스러움은 알지만 그 밖의 것은 상세히 모른다. 仁하다고는 하지 못한다. 崔子弑齊君 :제나라 대부 崔杼(최저)가 그의 임금 장공을 죽인 것을 말한다. 陳文子 :이름은 須無. 제나라 대부이다. 十乘 :40匹. 違 :떠남이다. 猶吾大夫崔子也 :타국의 집정 대신들도 또한 최자처럼 그 임금을 죽이고 난을 일으키고자 함을 말한다. 之 :앞으로 가다. 淸矣 :난을 떠나 다스림을 구하여 그 몸을 더럽히지 않음을 말한다. <번역> 자장이 물었다. 초나라 영윤 자문은 세 번 영윤에 취임하였지만 기뻐하는 안색이 없었고 세 번 직위를 그만두게 되어도 성내는 안색이 없었습니다. 그는 자기가 영윤이 되었을 때의 정황을 새로 오는 영윤에게 반드시 일러 주었습니다. 어떠합니까?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충성되다. 다시 물었다. “어집니까?” 대답하셨다. “모르겠다. 어찌 어짊을 얻었다고야 하겠는가?” 최자가 제 나라의 임금을 죽이니 진문자는 말이 십승이나 있으면서도 이를 버리고 그 나라를 떠나갔습니다. 다른 나라에 가서 곧 말하기를 “우리 대부 최자와 같다” 하고는 떠나갔습니다. 다른 나라에 가서 곧 또 말하기를 “우리 대부 최자와 같다”하고는 떠나갔습니다. 어떠합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깨끗하다” “어집니까?” “모르겠다. 어찌 어짊을 얻었다고야 하겠는가?” <묵상> 초나라의 영윤 자문과 제나라의 대부 진문자의 이야기이다. 자문의 충성됨과 진문자의 맑음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충성과 이 맑음으로도 인의 경지에는 이르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그럼 인의 경지는 얼마나 깊고 높은 경지인가? 우리 범인으로서는 상상이 어려운 경지이다. 이렇게 상상도 어려운 경지를 어떻게 범인이 도달할 수가 있는가?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근처에라도 도달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고 하루 하루 노력하는 자세, 그게 중요한 게 아닐까?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