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子曰 事父母幾諫 見志不從 又敬不違 勞而不怨 자왈 사부모에 기간이니 견지부종이면 우경불위하며 노이불원이니라.<주석>幾諫 :어른을 대함에 완곡하게 간함이다. 諫은 권고함이다. *주자는 幾는 微라고 하였다. 은미하다는 뜻이다. 見志不從 又敬不違 :간하여도 받아들여지지 않을지라도 더욱 공경하고 효도하여 부모의 뜻에 감히 저항하지 않음이다.勞 :근심이다.<번역>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부모를 섬김에 은미하게 간하여야 한다. 내 뜻이 받아들여지지 않음을 보더라도 더욱 공경하고 저항하지 말아야 한다. 그것이 근심이 되더라도 원망하지 말아야 한다.<묵상> 요즘 사람이 들으면 좀 웃지 않을까 여겨진다. 어디 이런 자식이 있을까? 오늘의 기준으로 보면 너무 지나친다고 할 것이다. 부모와 자녀 간의 갈등 문제는 오늘에도 계속 이어지는 것이다. 이때 자식 된 자는 비록 그 어버이가 좀 잘못을 저질렀을지라도 참고 기다리는 지혜를 배워야 한다. 그러지 않고 바로 직언을 서슴지 아니하여 부모의 노를 격발하게 되면 결국은 그 잘못을 고치기는커녕 부모 자식 간의 정의만 더 악화되는 것이다. 禮記에는 부모에게 세 번을 간하여도 듣지 않거든 울면서 따르라고 하였다. 그 간하는 문제보다 부자간의 정의를 더 중요한 문제로 본 것이다. 하지만 오늘에야 어디 그런 부모가, 그런 자식이 있으랴? 그렇게 배짱 좋게 버틸 부모도 없고 또 그렇게 여러 번 간할 자식도 없는 게 아닌가? 삭막한 현실이 두렵다.19. 子曰 父母在不遠遊 遊必有方 자왈 부모재면 불원유하고 유필유방이니라.<주석>遠遊 :문밖으로 멀리 나간다는 뜻이다. 遊必有方 :方은 일정한 거처이다. 주희가 말하기를 만약 이미 고한 곳이 東이면 감히 西로 가지 말아야 어버이가 반드시 자기의 소재를 알고서 근심을 없이할 수 있다. 또 자기를 부르면 즉시 다다라 실수함이 없게 한다. <번역>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부모가 계시면 멀리 가지 말 것이요. 가면 반드시 거처를 일정하게 해야 한다. <묵상> 오늘날 이 말씀은 부모에게가 아니고 부인에게 행하여져야 할 말씀이다. 또 많은 사람은 그렇게 행하고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부모에게는 거의 알리지 않는다. 그게 오늘의 세태이다. 이러므로 부모는 가족 가운데서도 소외감을 느끼는 것이다. 20. 子曰 三年無改於父之道 可謂孝矣 자왈 삼년무개어부지도면 가위효의니라. 이 장은 학이편 제 11장에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