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경주박물관(관장 민병찬)은 6일 박물관 강당에서 국보 제29호 성덕대왕신종의 전시 환경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한다.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야외 청동문화재의 전시와 보존 방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 그동안 진행된 야외 금속문화재의 보존처리 사례 등을 공유하고자 기획됐다.기조 강연자인 영남대 조계현 교수는 ‘청동문화재의 부식과 보존’이라는 주제로 청동문화재의 부식과 방식에 대한 공학적인 문제점을 지적하고, 특히 대기 부식과 이에 따른 파괴 손상에 대한 견해를 밝힌다.강원대 김석현 교수는 ‘성덕대왕신종의 종소리’라는 주제로 성덕대왕신종의 종소리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 결과를 소개한다. 그는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성덕대왕신종의 마지막 음향조사 당시 참여했던 연구자로서 좋은 소리를 위한 명동과 당좌에 대한 정보도 알 수 있다.대구기상청 이우식 기후서비스과장은 ‘경상북도 지역 기후 변화의 이해와 대응’이라는 주제로 지구의 기후 변화와 현재 기후 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IPCC 평가보고서를 바탕으로 한반도 기후 징후와 원인 그리고 작은 실천 방안에 대한 사례를 소개한다.공주대 조남철 교수는 ‘옥외 금속문화재의 손상 유형과 보존 사례’를 주제로 옥외에 전시돼 있는 금속문화재의 손상 유형과 그에 따른 보존 사례를 중심 옥외문화재의 대기 노출에 따른 오염물질과 손상 원인에 대하여 지적하고, 옥외 금속문화재의 보존처리 사례를 밝힌다.국립중앙박물관 박학수 연구원은 ‘보신각종의 보존 관리’를 주제로 보신각종의 보존 현황과 관리 방안에 대한 내용과 보신각종의 국립중앙박물관 이전 이후 관리 현황과 함께 야외 전시 환경 점검의 방향에 대하여 설명한다.국립부여박물관 신용비 연구원은 ‘성덕대왕신종의 보존 관리’를 주제로 성덕대왕신종의 보존 현황과 그동안 조사했던 결과, 경주지진 이후 박물관에서 시행한 종각의 내진과 전시품의 면진대책과 내진보강 내용에 대해 발표한다.국립경주박물관 측은 “심포지엄 통해 자연 환경에 노출된 야외 금속문화재를 어떻게 보존할 것인가를 논의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면서 “기조강연에서 소개되는 성덕대왕신종의 종소리를 과학적으로 풀어낸 연구 결과를 비롯해 이번에 발표되는 주제는 관련 전공자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관심과 참여도 충분히 이끌어 낼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