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내 제일 농업도시 경주의 농업 예산규모와 관련한 공방이 벌어졌다. 경주시가 도내 타 지자체보다 농업인구 대비 예산규모가 낮다는 지적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는 답변이 나온 것. 장동호 의원은 21일 열린 시정질문에서 상주시와 안동시를 예로 들며 “경주시 농업인구가 3만명인데 이들 도시는 경주시보다 30% 적다”며 “올해 1회 추경분까지 농업부분 예산은 안동 1420억원으로 전체예산의 14%, 상주가 1475억원 19%인데, 경주는 1337억원 12.3%밖에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 “농촌지도사업 예산은 안동시 145억원, 상주시는 132억원을 편성하는데, 경주시는 66억원 밖에 되지 않는다”며 “육묘상토와 육묘처리사업은 영천, 김천, 상주, 안동 등 인근 지자체는 100%를 지원하는 반면 경주시는 60%로 보조비율이 굉장히 저조한 편”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장 의원은 경주의 농업 예산규모가 타 지자체에 비해 적은데 농업예산을 증액 편성할 의향이 있는지를 질문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먼저 경주시 농업인구와 농업예산 규모에 대해 설명하고 나섰다. 주 시장의 답변에 따르면 경주시 인구 25만7000명 중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3만5000여 명으로 14%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농업예산 규모는 올해 제1회 추경 포함 전체 예산규모 1조880억원 중 1337억원으로 일반회계 대비 12.3%. 즉, 농업인구 14%, 농업 예산 12.3%로 인구에 비해 예산비중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라는 것. 주 시장은 “상주시와 안동시의 전체인구 수 대비 농업인구가 각각 30%, 18%로 농가비중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인구수 대비 경주시 농업예산비중이 턱없이 낮다는 주장은 무리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주시는 문화관광도시이면서도 경북 최대의 경지면적과 축산규모를 갖춘 도농복합도시로 농업 예산을 계속 늘려나가겠다”며 “특히 농업예산의 대부분이 보조금인 만큼, 보조금 제도를 개편하고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춰 농업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또 농촌지도예산이 적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국·내외 농업환경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시가 추진하고 있는 신농업혁신타운 조성, 농산물가공센터 건립, 농산물 잔류농약 분석실 설치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답변했다. 경주시의 귀촌귀농정책에 대한 문제점도 제기됐다. 장동호 의원은 보충질문을 통해 경주시가 다른 농업도시보다 귀촌, 귀농이 제일 낮은 수준에 있는데 이에 대한 대책을 물었다. 이에 대해 주낙영 시장은 답변을 통해 “다른 시·군과 달리 경주시가 특별히 하는 귀촌귀농정책이 없다”고 문제점을 인정하기도 했다. 주 시장은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하는 시책은 있는데 경주시로 유인하기 위한 특별한 시책이 없기 때문에 신경 써서 새로운 시책을 만들겠다”며 “귀촌귀농지원센터를 만들고 귀농인구가 마을에 정착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드는 등 종합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답변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