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뿌리민주주의 궁극적인 목표는 민주시민사회의 실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민의 참여기회 확대와 시민권익신장이 진정한 민주시민사회로 가는 지름길이며 그 매개의 결정체가 시민단체로 나타난다. 경주는 우리나라에서도 그 유래를 찾기 어려운 보수적인 도시로 진보적인 시민단체가 활동하기엔 매우 척박한 토양이다. 그러나 지역적인 어려움을 딛고 경실련과 환경운동연합과 같은 대표적인 시민단체들이 전국조직의 일환으로 이 지역에 뿌리내리고 나름의 활동을 펼치고 있다. 창립 6년의 경주경실련은 그간 고속전철 노선문제와 실내체육관, 시청사문제 등 지역현안에 대해 소신 있는 운동을 전개해왔고 지각있는 시민들로부터 많은 지지를 얻어 왔었다. 환경련도 창립 1년의 짧은 기간동안 경주원전문제, 쓰레기매립장, 소각장문제 등 이 지역 환경문제에 큰 기여를 하면서 시민사회에 뿌리내리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일부 시민들에 의해 지역 시민단체들이 손발은 곰처럼 느리고 머리만 발달한 이론적인 집단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시민단체들의 산재한 지역현안에 대한 대응방식에 대한 시민들의 준엄한 비판으로 귀 기우려야할 대목이다. 최근 창간일을 맞이하면서 2001년 새 집행부를 꾸리는 시민단체들이 시민들의 참여를 확대하고 행동하는 양심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