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소련의 체르노빌, 미국 드리마일의 핵발전소 사고, 일본 도카이무라 핵연료 사고 등을 계기로 많은 국가들이 원전의 안전성에 착안 탈 원전정책 쪽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독일과 스웨덴은 2020년까지 핵발전소를 모두 폐쇄하기로 했고, 터키와 대만은 추진 중이던 원전건설 계획을 전면 백지화했다. 심지어 세계 최대 핵발전소 보유국을 지향하던 중국까지도 위험성을 고려해 원전건설을 유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원전일변도의 에너지정책 행진을 멈출 줄 모르고 국민적 반대를 무릅쓰고 강행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경주, 울진, 고리, 영광 등 4개 지역에 각각 4기씩 총 16기의 원자로가 가동되고 있으며 경주와 영광에 각각 2기의 원자로를 추가건설 중에 있다. 경주원전의 경우 중수로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다른 원전에 비해 방사능 유출사고가 유난히 잦고 99년, 2000년 연거푸 방사능 피폭사고로 인명피해를 일으켰으며 방사능 누출사고는 거의 해마다 일어나고 있다. 이번 2호기 삼중수소 누출사고의 경우 배관의 균열이 원인으로 밝혀졌지만 당초 원전측은 삼중수소 농도가 급격히 증가해 정상가동 중에 정지한 단순정지라며 방사능 누출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누출사실을 부인했었다. 철저한 안전진단으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때문에 절대 안전하다는 원전측의 해 묶은 논리로 볼 때 배관실의 일부 배관이 10mm정도의 구멍이 날 정도였는데 사전에 감지하지 못했다면 안전점검 자체가 문제다. 또 시민의 안전을 생각한다면 방사능누출이 우려되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 즉시 이 사실을 알리고 만약의 사태에 시민들이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마땅하나 지금까지 사고 때마다 원전측은 애써 사실을 축소, 은폐하는데 급급한 나머지 순순히 방사능누출 사실을 미리 발표한 예가 없다. 이러한 원전을 시민들이 어떻게 신뢰할 수 있겠는가? 원전이 가동되는 한 경주시민들의 생명과 재산은 늘 위협받고있는 상황에서 안전을 경시하는 원전의 추가건설 계획은 당장 취소되어야 마땅하다. 또한 현재 가동중인 4기의 원자로에 대한 투명한 안전성을 위한 시민감시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경주시와 시의회는 범시민 원전감시기구를 상설하고 그 활동을 적극 지원해 시민 안전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