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곡옥’으로 은유된 잠든 노숙자의 표현이 절묘하지 않은가.
어머니 뱃속의 태아를 닮은 곡옥, 생명의 소중함에 대한 상징이다.
시인은 경주 시외버스 터미널에 웅크리고 잠든 한 노숙자를 발견한다.
삶이 불안한 노숙자한테서 오히려 삶에 대한 긍정적인 의미를 캐낸다.
박물관 유리장 속의 곡옥보다 더 아름다운 건, 방금 출토된 진흙 속에 있는 곡옥이다.
“방금 출토된 것 같은 펄럭이는 유리문’의 신선한 비유를 보라.
“흐린 빛에도 눈꺼풀이 파르르 떨린다”
“뒤척일 때마다 비췻빛 새어나오는” 노숙자의 꿈.
시인은 노숙자의 불안한 삶에 따뜻한 연민의 시선을 보낸다.
“어깨를 두드릴까/손을 내밀어도/천 년쯤 떨어져 있는 것처럼 닿지 않았다”
존재는 어떤 존재이든 그 살아있음 때문에 존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