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9년 5월 3일 제42회 경주시의회 임시회에서 집행부가 요구한 13억5천만원의 천군동 쓰레기소각장 건립비를 시의원들이 비밀무기명 투표로 삭감을 결정함으로써 소각장 건립문제는 보류됐다. 그러나 1년 7개월만인 올해 벽두부터 소각장 재추진이란 이야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경주시의 소각장 건립 재추진 설이 나오고 있는 것은 이원식 시장이 올해 시정업무추진 방향에 3백억원이 소요되는 소각장 건설계획을 이미 밝혔고 경주시가 98년 당시 지원받은 국비 18억원을 반납하지 않고 지금까지 보관하고 있는 것이 드러나 올해중으로 소각장 추진은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
▶물론 경주시는 환경부의 지침에 따라 18억원을 반납하지 않고 보관하고 있으나 4월 추경에는 소각장 예산을 계상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올해안으로 어떤식으로라도 추진해야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경주시 청소행정이 열린 행정보다는 쉬쉬하면서 추진한 사례가 많아 추진 시기를 믿어야 할지 의문이다.
▶이같은 소각장 추진에 대해 경주환경련을 비롯한 몇몇 시민단체와 주변지역 주민협의체에서는 `소각장 건설 백지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아마도 추진하고 있는 시가 모든 시민이 납득할 수 있는 공정성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격렬한 일전이 예상된다.
▶문제는 지금 경주시가 소각장 건설을 추진하려는 것은 원칙없는 청소행정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경주시는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정책을 추진한다며 예산을 확보해 놓은 상태고 내달초부터는 시행을 할수 있다고 밝혔다. 물론 이같은 조치도 올해초부터 시행하기로 했다가 지연돼 주민들의 원성이 빗발치자 시행을 서두르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소각장 건설 이야기가 나온다는 것은 그동안 준비해온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정책에 위배될 뿐만 아니라 `소각장을 건설하면 모든 것을 태워버리면 된다`는 사고의 팽배로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정책은 예산만 낭비하는 꼴이 될 수 있다.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쓰레기가 배출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배출되는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은 소각·매립하거나 자원화하는 방법이 전부다. 경주시는 소각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에 앞서 쓰레기가 혐오물이 아닌 자원이라는 인식을 갖고 주민홍보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정책에 먼저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