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경주경마장 건설 건설예정부지에 대한 문화재위원회의 심의가 있었다.
7년여 동안 경주시민들의 가슴을 졸이게 하던 경마장 건설에 대한 가부가 판가름 날지도 모른다는 기대로 그 결과를 지켜보았던 경주시민들은 문화재위원들의 2월 재심의 결정에 또 한번 실망을 했다.
역사도시 경주는 신라천년고도로라는 미명아래 경주시민들은 무수한 고통과 불이익들을 감내해 왔다.
그러나 경주시민들은 누구보다 더 조상들로부터 물려받은 자랑스런 문화유적을 아끼고 사랑하며 경주에 살고 있다는 것에 큰 자긍심을 가지고 있다.
경주와 관련한 대형사업들이 있을 때마다 일부에서는 경주시민들을 마치 문화에 대한 인식조차 없는 몰지각한 미개인 정도로 매도하며 경주는 무조건 보존해야한다는 식의 논리를 펴는데 대해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
경마장 부지에서 출토된 유물들이 역사적 가치를 지닌 중요한 문화재이고 따라서 보존이 불가피하다면 누가 그기에 이의를 제기 하겠는가?
제대로 된 개발 제대로 된 보존은 외면한 채 무조건적으로 경주는 안 된다는 식의 사고가 시민들을 분노케 하고 있는 것이다.
경마장 부지에서 발굴된 문화재 그토록 중요한 문화재라면 국비로 제대로 발굴하고 기어이 보존을 해야 된다면 또 다른 부지를 정부가 책임지고 확보해 줘야 한다.
정부와 대통령이 약속한 국책사업을 정치적인 상황이 바뀌었다고 구실을 붙여 무위로 돌리려 한다거나 문화재보존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경마장건설자체를 무산시키려는 정치적 음모가 있다면 경주시민들의 강한 저항에 부딪칠 것이다.
보존가치가 있는 문화재는 마땅히 보존되어야 한다는 데 대해 반대할 만큼 경주시민들이 반문화적인 사람들이 아니다. 다만 시민들이 정부의 공식적인 말조차 불신할 수밖에 없도록 만든 지금까지의 과정에서 갈팡질팡해 온 정부의 입장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경마장은 반드시 건설돼야 한다. 문화재 보존과 경마장 건설이 병립할 수 없다고 보는 시각자체가 문제라고 봐진다. 경주에 산재한 문화재를 효율적으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이 문화재로 인해 피해만 본다는 인식에서 벗어나도록 정책적인 배려가 있어야 한다.
시민들의 사유재산권이 계속 침해만 하는 식의 문화재보존정책은 어쩌면 문화재파괴 정책이 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