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택(陽宅)은 살아있는 사람의 집이고, 죽은 사람의 집을 음택(陰宅) 또는 유택(幽宅)이라고 한다. 묘지는 죽은 사람의 유골(遺骨)이 편히 쉬고 있는 집으로 보아야 한다. 음덕(陰德)이 서려 있는 조상의 유택을 수호하고 관리하는 것은 자손으로서 당연한 도리이다. 언제부터인가 조상의 유택을 관리하는 것이 어려워지면서 산 사람이 편리한 쪽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묘를 관리하는 것이 힘이 든다고 하여 조상의 유택을 파묘(破墓)하여 화장을 하는가 하면 유골을 한군데 모아 집묘(集墓)를 하여 관리하는 가문이 늘어나고 있다. 조상께서 섭섭해 하실 것만 같다. 그런데 신라 때 왕릉을 조성하다가 그만 둔 특이한 사례가 있다. 황복사지 삼층석탑에서 남쪽으로 135m 떨어진 이 일대는 오래 전부터 석재 유물이 지면 위에 노출돼 있었다. 학계에서는 신문왕릉이나 성덕왕의 왕비이자 경덕왕의 모후인 소덕왕후릉, 민애왕릉 등과 비슷한 급의 폐왕릉지일 것으로 보고 있었다. 이에 대해 고(故) 이근직 교수는 소덕왕후 또는 남편이 화장한 후 산골한 까닭에 합장할 능이 존재하지 않았던 효성왕비이자 경덕왕의 형수인 혜명부인 김씨의 능일 가능성을 피력한 적이 있다. 지난해 성림문화재연구원이 이곳을 발굴하면서 탱석, 면석, 지대석, 갑석, 미완성 석재 등 신라 왕릉에서 주로 사용되는 유물과 그 주변으로 8-9세기의 건물지와 담장, 회랑지, 도로 유구 등이 확인되었다. 현재 발굴된 석재 대부분은 주로 신라 왕릉에 사용되었던 것이다. 갑석과 지대석, 면석과 탱석으로 추정해본 왕릉의 지름은 약 22m로, 내남 부지에 있는 전(傳) 경덕왕릉(재위, 742-765년)과 비슷한 규모이다. 조사 결과, 왕릉 관련 석재 다수가 미완성으로 출토된 점, 후대에 조성된 8-9세기 건물지 시설에 재활용된 점, 석실 내부를 만들기 위한 부재가 확인되지 않은 점, 탱석의 십이지신상이 잘려나간 점 등 여러 정황으로 판단할 때, 당시 왕을 위하여 사전에 왕릉을 준비하던 도중 어떠한 사유인지 축조공사를 중단하였던 가릉(假陵) 석물로 추정된다. 가릉은 왕의 죽음이 임박해 사전에 능침을 만들어 두는 무덤을 말한다. 일부 학계에서는 가릉 주인공은 출토된 십이지신상 형식으로 볼 때, 성덕왕의 둘째 아들이자 경덕왕의 형인 효성왕(재위, 738-742)으로 추정한다. 『삼국사기』에 제34대 효성왕을 사후 법류사 남쪽에 화장하고 유골을 동해에 뿌린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삼국유사』 「왕력」편에도 같은 내용의 기록이 있다. 효성왕 생전에 능을 조성하다가 왕의 유언, 또는 특별한 사정이 있어 그만 둔 것이었을 것으로 보는 것이다. 또 이 가릉과 황복사지 삼층석탑 사이를 발굴한 결과 8-9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건물지와 담장, 회랑지, 도로(너비 16-17m) 등이 확인됐다. 이와 함께 연화보상화문(蓮花寶相華文)수막새, 귀면와(鬼面瓦, 도깨비기와), ‘습부정정(習部井井)’, ‘습부정정(習府井井)’과 ‘정원사(鄭元寺, ‘鄭’자는 확실하지 않음)’명 명문기와 등 유물 300여 점이 출토됐다. 이 유물이 출토된 건물지는 일반적으로 신라왕경에서 확인되는 주택이나 불교 사원 건축과는 차이가 있어서 관청이나 특수한 용도의 건물로 추정된다. 불교 관련 유물은 나오지 않고, 관청명으로 추정되는 ‘습부정정(習部井井)’, ‘습부정정(習府井井)’이라고 적힌 명문기와 등의 유구로 봐서 신라 왕경의 행정 조직 중 하나로 알려진 습비부(習比部)와 관련된 관청이었을 가능성도 추정해볼 수 있다. 습비부와 관련하여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제3대 유리왕 9년 ‘명활부를 습비부로 고쳤다’는 기록이 있다. 도로 유구는 현재까지 신라왕경 내 조사된 다른 도로보다 구조적으로 튼튼하고 잘 만들어졌는데, 왕경의 남북대로와 동서대로의 너비가 약 16-17m 정도인 점으로 볼 때, 왕경의 방리(坊里)구획에 의해 연결된 도로이거나 황복사지 사역(寺域)이나 왕릉을 조성하기 위해 대형의 미완성 석재를 이동하기 위한 특수 목적으로 가설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발굴조사 결과 학계에서는 앞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왕릉 축조과정과 능원제도를 비롯한 신라왕경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교촌마을 입구 맞은편에는 문정(汶亭)·문양정(汶陽亭)·병촉헌(炳燭軒)·풍영정(風詠亭)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 사마소(司馬所)가 자리한다. 1711년 경주부윤 남지훈이 중간한 『동경잡기』에 의하면 “사마소는 향교의 남쪽 문천(蚊川) 가에 있다. 언제 창건했는지 알 수 없으나, 임진왜란 때 불에 타고 주춧돌과 섬돌만이 아직도 남아있다”고 기록하며, 동고(東皐) 이덕록(李德祿,1677~1743)·손경걸(孫景杰) 등이 1741년에 다시 세워 풍영정이라 하고, 1762년 부윤 홍양호가 사마소라 편액하였으며, 이후 유림과 교촌의 세력에 힘입어 여러번 보수돼 오늘에 전한다. 사마소에 관해 새롭게 밝혀진 사실로 1760년 영귀정(詠歸亭) 편액에 얽힌 사연이 화계(花溪) 류의건(柳宜健,1687~1760)의 글에 드러난다. ‘영귀(詠歸)’는 『논어』선진편에서 공자가 만약 누군가가 너희들을 알아주면 어떻게 하겠냐는 물음에 증점(曾點)이 말하길 “봄이 되면 봄옷으로 갈아입고 젊은이 대여섯명과 동자 예닐곱명을 데리고 기수에서 목욕하고, 무우의 광장에서 바람을 쐬고, 노래를 부르며 돌아올까 합니다(暮春者 春服旣成 冠者五六人 童子六七人 浴乎沂 風乎舞雩 詠而歸)”에서 빌린 말로, 향교의 대성전에 공자를 모시고, 문천과 기수의 결합으로 경주부의 유생들도 자연의 도를 느끼고자 다음과 같이 정자를 지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다만 문천의 영귀정과 양동의 영귀정은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당시 화계선생의 사위인 활산(活山) 남용만(南龍萬,1709~1784) 역시 이 부분에 대해 깊은 글을 남겼다. 남용만과 이돈항(李敦恒,1734~1781)이 거듭 화계선생께 정자의 기문을 여쭙고, 기억을 더듬어 정자의 전말을 기록하였으니, 사마소의 옛 이름인 영귀정 이야기를 들어보자. 『花溪集』卷9,「記.詠歸亭記」 문천(汶川)가에 오래전 영귀정(詠歸亭)이라는 정자가 있었는데, 과거에 합격한 유생들이 유식(遊息:편하게 쉬는 공간)하는 곳으로, 어느 때에 지어졌고 언제 헐리었는지 모르고, 그 땅은 비었는지가 백여 년이 되었다. 임인년(1722) 중건을 논의하여 먼저 정자의 북쪽 작은 땅에 작은 공관(公館)을 세우고, 때때로 그곳에서 쉬었다. 하지만 정자는 여러해 진척이 없다가, 경신년(1740) 봄에 이르러 비로소 경영을 시작해, 다음해(1741) 초여름에 공사를 마쳤으니, 영조임금께서 재위에 오른지 17년 되는 해이다. 상사(上舍) 이덕록(李德祿). 손경걸(孫景杰)이 실제로 일을 주관하여 완공하였고, 이에 문천 가에 다시 정자가 세워져 오늘날 여러 유생들이 유식하는 마땅한 곳이 되었다. 장차 정자의 편액을 걸려고 하니, 누군가는 옛 이름을 그대로하자 하고, 누군가는 새로운 이름으로 고치자 하였으나, 오랫동안 정하지 못하였다. 마침 금년(1760) 봄 남용만이 정자의 일을 알고는 “이 정자는 맑은 물에 임하고 옛 성이 곁에 있어서, 마땅히 목욕하고, 바람맞고, 읊조리기에 좋고, 기수(沂水)가의 정취가 있어 예나지금이나 한결같이 경치를 감상하는 곳으로, 지금의 정자는 바로 옛적의 정자와도 같습니다. 영귀로 이름한 것을 하필 고치려합니까?”라 하였다. 마침내 영귀로 편액하고 나에게 정자의 전말을 기록해줄 것을 부탁하며 “이 정자가 오래된 만큼 옹(翁)께서도 보았으니, 정자를 세운 일에 대해 옹만큼 아는 분이 없습니다. 옹께서 그 일을 기록하십시오”라 하기에, 나는 “알겠네” 하였다. 얼마후 남용만이 그 맡은 일을 교대하고, 이돈항이 그 일을 대신해 남용만의 뜻과 같이하고자, 다시 나에게 청하였다. 나는 사물의 흥망성쇠는 정해진 운명이 있으나, 옛 정자는 아직 무너지지 않았다. 한 시절의 명승지로 어찌 정자에 오른 벼슬아치가 몇 사람이었겠는가? 하지만 한번의 상전벽해(桑田碧海)를 겪고 민멸되어 전하지 않으니, 정자 역시 훼손되어 부서진 기와와 무너진 담장이 다시는 남아있는 것이 없어 풍류를 아는 자들 가운데 마음 아파하고 탄식한지가 오래되었다. 지금 다행히 좋은 때에 다시 세워져 백여년 황폐한 땅에 하루아침에 새롭게 하였으니, 어찌 그 기간에도 정해진 운명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우리들은 다만 마땅히 이곳에서 바람맞고, 목욕하고, 읊조리며 이곳에서 돌아가야 할 것이니, 공자께서 요순의 기상을 좋아하고 공경한 것을 생각하여 태평한 성인의 세상과 인재 양성의 즐거운 뜻을 져버리지 않는 것이 옳다. 비록 그렇더라도 나는 이곳에 대해 마음이 없을 수 없으니, 정자가 완성된 지 지금으로 19년에, 이덕록·손경걸 두 사람은 이미 고인이 되었고, 이 정자에서 노닌 주변의 여러 장로들과 한때의 무리들 모두가 다 죽고 없거늘, 하물며 천백년에 있으서랴? 정자가 다시 무너져 폐허가 될 줄 알 수 없지만, 훗날 지금을 보는 것 역시 지금 옛것을 보는 것과 같으니, 오늘날의 일을 누가 다시 알겠는가? 이 때문에 기록하지 않을 수 없다. 만약 기수 가의 정취와 시냇물과 산의 승경은 이 정자에 오르는 자라면 마땅히 그것을 알 것이니, 꼭 기록하지 않고 또 마땅히 기록하지 않으며, 다만 정자 세워진 연·월과 일을 주간한 인원을 다음과 같이 적는다.
세계 유일의 고분을 배경으로 진행되는 경주의 대표 야외공연인 봉황대 뮤직스퀘어가 오는 11일 막이 오른다.
경주문화재단은 어린이날 연휴(5일 ~ 6일)를 맞아 ‘2018 경주어린이아트페스티벌’ 행사를 경주예술의전당에서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어린이날 연휴를 맞아 예술을 주제로 공연, 전시, 교육 체험, 먹거리 등으로 구성됐다.경주예술의전당 일원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어린이의 문화 예술 향유를 확대하고 시민들의 접..
한국민화협회 경주지회에서 개최하는 신라의 바람결 회원전이 5/18(금)~25일(금)까지 소더비 카페에서 전시된다.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부채에 실다. 민화를 통해 작지만 소소한 행복을 꿈꾸는 회원들의 마음을 부채에 담아 낸다. * 소더비 카페는 오전10시~ 오후10시까지 운영한다. (경주시 보불로..
경북창작미술협회에서 진행하는 '테마전 : 봄이란?'이 갤러리 란에서 5/1(화)~15(화)까지 전시된다. 주소_ 경주시 손효자길 19 문의_ 010-7797-4277
김석기 국회의원이 8일 지방선거 공천관련 입장을 밝히자 최양식 예비후보측은 즉각 반박했다.최 예비후보측은 이날 “불공정한 잣대로 판단기준을 적용한 것은 의도적으로 최양식 시장을 공천에서 아예 배제시키려는 정당성을 가장한 꼼수로 밖에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이는 “교체지수 조사는 선거 초기에 해야 공..
김석기 국회의원이 이번 지방선거 자유한국당 후보 공천과정에서 불거진 각종 논란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김 의원은 8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공천은 당초 약속한대로 시민의 민심을 존중하는 공천을 위해 최대한 노력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지금 시중에는 ‘돈을 받고 공천했다’, ..
경주시립합창단에서 가정의 달 특별음악회 '합창에 Solo +’를 5/25(금) 오후7시30분경주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선보인다. 관람료는 전석 5,000원이며 총 공연시간은 90분이다.
아트인아뜨리에 전시회는 오는 9일(수)까지 The K호텔에서 열린다.
불국중(교장 정성득)는 지난 4일 교직원을 대상으로 성폭력, 성매매, 성희롱 예방 연수를 실시했다.이번 연수는 교직원이 매 학년도 의무적으로 이수할 수 있도록 해 교직원의 성에 대한 건전한 가치관 함양과 함께 성매매 근절 문화 조성, 성폭력 방지와 대응 등에 목적을 두었다. 교육은 성희롱, 성폭력, 성매매의 개념과..
경주시는 가족과 함께 경주의 농촌지역으로 전입한 귀농인 중 귀농·귀촌 분야 3개 사업에 추가 신청자를 모집한다.농업기술센터는 귀농인 이사비용 지원 8개소와 귀농인 영농정착 지원 4개소, 신규농업인 현장실습교육 지원 4개소에 추가 신청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먼저 ‘이사비용 지원사업’은 전입한지 1년 이내인 신..
경주시가 농촌 지역을 행복한 문화공동체로 조성하기 위해 경북형 행복씨앗마을사업을 이달 31일까지 공모한다. ‘너와나 우리함께 만들어가는 행복한 공동체’라는 주제로 실시될 이번 경북형 행복씨앗마을사업은 경북도에서 주최하고 각 시군에서 주관하여 실시하는 사업으로 농촌주민의 자발적 참여와 협력을 바탕으로 ..
“공천에 대한 의혹과 불신을 뛰어넘어 이제는 이런 문제로 시간을 낭비할 수 없다. 경주발전을 여기서 멈출 수 없다”최양식(무소속, 경주시장) 예비후보가 7일 중앙시장 사거리 인근 자신의 선거사무소에서 개소식을 열고 필승 의지를 표명했다. 개소식은 시민과 지지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열렸다. 개소식에서 ..
더불어민주당 임배근 경주시장 예비후보는 6일 경주시를 ‘경주문화특별자치시’로 승격시키겠다고 공약했다. 임 예비후보는 경주시장에 당선되면 1949년 제정된 법률 제32호 지방자치법을 근거로 경주시를 제주도와 세종시처럼 특별자치시로 승격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그는 역사문화 보물도시인 경주시는 현재 226개 ..
박병훈·최양식 경주시장 예비후보 간 거론되고 있는 무소속 단일화 성사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박병훈 경주시장 예비후보는 지난 4일 무소속 후보들 간 연대나 단일화와 관련해 급속히 퍼지고 있는 괴담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일축했다. 박 예비후보는 지난 4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 같이 밝히고 “더 이상 유권자..
주낙영 자유한국당 경주시장 예비후보는 재난안전종합상황실 내 미세먼지 전담팀 설치를 주 내용으로 하는 ‘미세먼지 대책’ 공약을 내놓았다. 주 예비후보는 4일 “경주시민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미세먼지 대응체계부터 구축해야 한다”며 “미세먼지 전담팀은 미세먼지 상황을 상시..
제34회 제34회 우리문화재 그리기·빚기 대회가 5/14일(월) 오후1시 국립경주박물관에서 개최된다.
영지초(교장 권동환)는 3일 (사)대한에이즈예방협회 대구경북지회 강사를 초빙해 고학년을 대상으로 에이즈 예방교육을 실시했다.이번 HIV/AIDS 교육은 ‘브랜다’라는 또래친구가 주인공인 동화책을 통해 학생들이 친근감을 가질 수 있도록 접근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과 상대를 배려하는 건강한 성가치관을 확립..
신라중(교장 이연주)은 3일 경북교육청문화원에서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각 분야 전문강사님의 지도 아래 1일 문화예술학교에 참가했다. 이번 1일 문화예술학교는 신라중 1학년과 지도교사가 참가해 암벽등반, 골프, 휘타구·휘릭스, 도예, 만화, 토탈공예, 붐워커 난타, 하모니카, 마술을 희망하는 2개 교과목에서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