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시대 가와가마터 발견 현곡면 도로공사현장-기와편년연구 중요자료 경주~안강간 도로공사 현장인 현곡면 금장리 65-9번지 일대에 통일신라시대 기와가마터가 발견돼 당시의 기와 편년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난해 9월부터 경주~안강간 지방도로 개설을 하고 있는 이 일대에 대한 발굴조사를 하고 있는 경북도문화재연구원은 지난 23일 “통일신라시대 기와가마 2기와 폐기장 2기, 수혈유구 30여기, 우물, 석열 등과 청동기시대 주거지 2동과 같은 시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장방형 수혈유구도 발견됐다”고 밝혔다. 1호기 기와가마에는 천정부와 벽체가 대부분 유실 되었으나 길이 110cm, 너비 85cm, 깊이 20cm 정도의 연소실에서 ‘在成(재성)’이란 글씨가 새겨진 암키와편이 출토됐다. 발굴조사단은 ‘在成’ 기와는 경주시내 월성에서도 ‘在城(재성)’명 암키와와 수키와 등이 사실로 미뤄볼 때 이곳(금장리)의 유적이 월성 기와의 공급지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기와가마 바닥에서 기와 조각들이 출토되었으나 대부분 파손되었고 수키와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연소실 바닥에는 10~15cm 두께의 재층이 깔려있고 기와가마터 주변의 흙 성질이 고령토와 같아 당시 장인들이 발굴현장 일대의 흙을 채취해 가와를 굽는 재료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추정된다. 기와가마 주변에서 발견된 수혈유구는 대부분 기와 제작에 필요한 점토채취를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되며 발굴조사단은 “확인된 기와 가마는 상부 유실이 심해 정확한 구조를 밝히기는 어렵겠지만 출토된 기와 유물을 통해 조영(造營)집단 성격과 유물 수급관계를 밝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발굴조사단은 가마 조성시기로 추정되는 통일신라시대말에 해당하는 기와 편년이 현재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가마 내부에서 출토된 기와들의 분석을 통해 기와 편년연구에 많은 성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