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만에 부활된 지방의회 선거 열기가 뜨겁게 달아올랐다. 3월26일 투표일을 앞두고 3월8일부터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들어간 후보자들은 그 동안 꾸려온 조직과 인맥을 통해 사무실 개소를 시작했다. 시군 통합이전이었던 경주시와 경주군은 총 30명의 기초의원들을 뽑았다. 시지역이 17명, 군지역이 13명. 그러나 주민들은 30년만에 실시되는 지방의회 선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곳곳에 공명선거를 위한 현수막이 걸리기 시작했지만 유권자들의 반응은 무덤덤했다. 경주시 선관위는 3월6일 오후 2시 시청 대회의실에서 기초의원선거에 대한 선거일정 및 공명선거를 위하여 선거운동 위반사례 단속 지침을 설명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기초의회 출마예상자 51명이 참가해 선거의 열띤 결전을 예고했다. 지방자치제 부활을 알리는 기초·광역의회 선거를 앞두고 올바른 민주주의 정착과 깨끗한 한 표를 행사하기를 바라는 시민단체들은 분주한 활동을 전개했다. 이들 단체들은 경주지역에서는 처음으로 협의회를 구성해 시민들에게 지방자치제 실시와 선거의 중요성을 홍보하는데 앞장섰다. 정부의 지방자치제 실시 발표이 후 시민들에게 지방자치란 무엇인가를 홍보하고 강연회를 개최해 왔던 ‘올바른 지자체 실현을 위한 시민단체 협의회’(이하 지실협)는 경주YMCA와 전교조 경주지부, 화백회 등이 참여했으며 1991년 2월 26일에는 경동노회회관에서 시민 및 관련단체 인사들이 모인 가운데 김한규 교수(계명대)를 초빙해 ‘지방자치제를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주제로 강연을 열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