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에 연못 2곳 확인 불가사리 형상 지름55m안밖 경주 월성(月城·사적 제16호)안에 지름 50m 이상이 되는 거의 똑같은 평면구조의 대규모 연못 흔적이 두 군데서 확인됐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윤근일)는 최근 발간한 월성 일대에 대한 지표조사보고서인 ‘월성’을 통해 동서편으로 마치 반달처름 길쭉한 안쪽구역 중에서도 서쪽편과 그 반대편인 동편지역에서 각각 대규모 연못 흔적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2003년 11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실시한 조사 성과를 수록한 보고서에 의하면 서편 연못터는 육안으로도 판별이 가능할 정도로 그 흔적이 완연하며 다른 하나는 월성 북벽에 설치된 석빙고 남서쪽에서 지하탐사 결과 드러났다. 이들 두 연못터에서 특이한 점은 그 평면형태가 마치 불가사리처럼 모두 세갈래로 쭉 뻗혀나간 모양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중 서편 연못터는 현재도 주변지대보다 1m가량 낮은데다 이곳에 식생하는 식물류가 늪지성이라는 점에서 이곳이 확실한 연못터임을 시사하고 있다. 월성은 성벽 둘레가 총 1.8km, 그 안쪽 면적이 5만5천600여평으로 남북간 폭이 260m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지름 55m에 달하는 대규모 연못이 월성안에 두 곳이나 설치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월성은 남쪽으로 남천이라는 강이 띠처럼 두르고 있고 드넓은 경주평야지대에 솟아오른 구릉지대에 자리잡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 두 연못이 어떤 방식으로 물을 대었는지가 궁금증을 더 하고 있다. 이번 지표조사에서는 또 월성을 지칭하는 ‘在城’(재성)이라는 명문이 적힌 기와와 ‘儀鳳四年皆土’(의봉4년개토)라는 글자를 새긴 기와를 아울러 수습했다. 의봉이란 당 고종(재위 650~683)이 676년에 제정해 사용한 연호로서 3면만인 678년에 조로(調露)라는 새 연호에 의해 폐기됐다. 따라서 의봉 4년(679)이란 연호는 중국에는 없었으나 새로운 연호 반포 사실을 몰랐던 신라가 계속 사용한 것으로 초정되고 있다. 사진설명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지표조사 결과 드러난 월성안 대형 연못 두 곳. 좌우로 꽈배기형 성벽 안 세발모양 두 곳이 연못터이며 북쪽 성벽 바깥으로 해자(垓字) 유적이 늘어서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