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지역의 대학들은 신입생 모집에 사활을 걸고 있다. 몇몇 대학을 제외한 대부분의 대학들이 신입생 미달에 허덕이고 있다. 고등학교 졸업생 수는 줄어들고, 대학입학정원은 많다보니 신입생을 유치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이 영향으로 재정적으로 어려운 대학들이 속출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200여개 대학 중 80여개 대학을 퇴출 또는 합병할 계획이다.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경제부총리를 역임한 김진표씨를 교육부장관으로 임명했다. 불행하게도 대구∙경북 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더욱 더 심각한 실정이다. 이런 문제는 대학만 짊어지고 가야할 고민이 아니다. 지방정부도 이 문제를 심각히 고민하고 대학을 도와야 한다. 대학이 존재하는 도시에 제공하는 장점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지방정부와 단체들은 그 지방에 대학이 존재함으로서 얻어지는 다음과 같은 장점들을 망각하고 있는 것 같다. 첫째, 경제적 효과가 매우 크다. 우리 동국대학의 경우 학생수가 대학원을 포함해서 10,000여명이나 된다. 경주에서 등록금과 집세, 용돈들을 포함해서 1인당 1,500만원정도 쓰고 있다는 통계자료가 있다. 최소한도 1,000억 정도를 경주지역에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경제 파급효과가 큰 교직원을 포함한다면 그 규모는 크게 늘어날 것이다. 둘째, 우수한 두뇌집단을 보유하고 있다. 경주 지역의 박사급 인력 중 90%이상이 대학에 있다. 이 우수한 집단이 빠져나간다면 그 도시는 급격하게 쇠퇴하게 될 것 이다. 셋째, 산업시설 유치에 큰 도움이 된다.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는 기관이 있어야 산업이 발달한다. 미국의 실리콘 벨리에는 버클리 대학과 스탠포드 대학이 있고, 뉴욕의 맨하탄에는 컬럼비아 대학과 뉴욕대학이 있으며, 전통의 명문도시 보스톤에는 하버드 대학과 MIT 공대가 있다. 좋은 대학이 없으면 산업시설을 유치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기업도 들어오려고 하지 않는다. 이제는 지방정부도 지역의 대학을 살리기에 동참해야 한다. 산∙학∙연 협동 체제를 통해서 직∙간접적으로 행∙재정적 지원도 해야 한다. 지방정부와 시의회는 각 대학총장들과 협의를 통해 대학 발전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대학은 지방정부에게 정책적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지방정부는 대학의 어려운 점을 파악해서 서로 상생하는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