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주지역과 관련한 각종 국책사업들이 정치적인 논리 때문에 계속 무산되어 온 가운데 태권도공원 경주유치가 무산됨에 따라 시민들의 분노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대통령공약사업이었던 경주경마장이 정치적인 논리에 무산된 데 이어, 경부고속철도 경주노선문제도 정치적인 논리에 밀려 갈팡질팡하면서 10년간 시민들의 애를 태웠고, 태권도공원마저 정치논리에 밀려 무산되자 시민들은 이제 더 이상 참을 수 없다는 심정으로 분노가 폭발한 것이다.
산업화 이후 대구, 울산, 포항 등 인근지역들이 국가발전의 중심축으로 활기차게 발전한데 비해 경주는 천년고도라는 역사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침체되어 왔으며 더구나 문화재보호법에 묶여 30여년간 사유재산권을 침해당하고도 하소연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고 살아왔었다. 따라서 지역 경쟁력의 한계를 가진 경주로서는 태권도공원 같은 국책사업은 경주의 정체성을 감안할 때 너무 잘 어울리는 사업으로 평가되었으며 객관적인 입장에서 보면 당연히 경주에 태권도공원이 들어설 것으로 기대되었었다.
때문에 경주시민들의 태권도공원유치에 열망이 그만큼 뜨거웠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정치적인 논리에 의해 태권도공원이 무산된 것으로 알려지자 시민들 사이에는 경주는 더 이상 희망이 없는 게 아니냐며 허탈해 하고 그만큼 분노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일 경주역광장에 모인 3천여명의 시민들이 정부를 비판하고 월성원전의 폐쇄를 주장하는 분노의 함성을 드높인 것은 이러한 측면에서 이유 있는 항변으로 평가된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태권도공원 부지선정과 관련한 일련의 과정과 심사내용을 투명하게 밝히고 만약 정치적인 고려에 의해 경주가 임의로 배제되었다면 전면 백지화하고 재심의를 통해 부지선정을 다시 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태권도공원 경주유치에 대한 경주시민들의 열망이 반핵투쟁으로 옮겨갈 경우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을 맞을 수도 있음을 엄중 경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