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인구 유입에 대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주시 인구가 지난 96년 28만9천명을 정점으로 그 이후 계속 감소하고 있다. 특히 최근 2~3년 동안에는 매년 2~3천명이상씩 줄어들어 최근 28만명선마저 위협하고 있다.
경주시의 인구 추이를 살펴보면 지난 94년 28만명, 95년 28만4천명, 96년 28만9천명으로 꾸준히 증가했으나 2002년 28만5천900명, 2003년 28만2천955명, 지난해는 28만92명으로 줄어 최근 급격한 감소추세로 돌아섰다.
우리나라는 수도권은 계속 인구가 늘어나고 있고 지방 중소도시는 인구가 꾸준히 줄어들고 있으며 농촌지역일수록 인구감소현상은 두드러지다. 따라서 최근 전국 중소 시군이 인구감소를 막기 위해 다양한 지원을 위한 방안을 내놓고 인구 늘리기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수원과 아산, 남양주시 등은 10만원에서 30만원까지 출산장려축하금을 주는가 하면 출산육아용품 지원, 모자건강관리비, 출생장려금, 출산 수당 등 다양한 명목으로 지원하고 있다.
경북도내에서도 영양군은 지난해 전국 최초로 ‘신생아 양육비 지원조례’를 제정해 첫째는 연 36만원, 둘째 연60만원, 셋째 연120만원을 지급하고 입양의 경우에도 출산과 동일하게 지급하고 있다. 또 군위, 영덕, 청도, 성주, 봉화, 울릉군도 20~50만원의 출산장려금을 지급하고 김천시는 20만원 상당의 육아용품을 의성군은 출생 30만원 첫돌기념 30만원, 출생~7세까지 거주 40만원, 예천군은 셋째이후 100만원을 주는 등 인구 늘리기에 갖가지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경주시가 최근 외동과 천북에 지방공단을 조성하고 입주하는 기업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조례까지 제정해 공장유치에 따른 인구증가 기대하고 있지만 이에 따른 생활의 편리함과 교육여건, 문화생활 등에서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인구감소에 대한 보다 과학적이고 근본적인 연구와 대책이 공론화가 요구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