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부들이 시장이나 할인매장을 찾아 제수용품을 고르면서 가장 걱정하는 것이 내가 구입한 제수용품이 혹시 국산으로 둔갑한 수입농산물은 아닌지, 제품은 좋은지 등 일게다.
아쉽게도 조상님들의 차례상에 수입농산물이 버젓이 자리한 것은 이미 오래전이다. 그래도 제수용품을 사면서 잘보고 제대로 고른다면 수입농산물을 우리 농산물로 속아 사는 일은 드물 것이며 질 좋은 제수용품을 마련할 수 있다.
민족 대명절인 설을 앞두고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북지원 경주출장소의 도움과 지역 재래시장에 나가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우리농산물과 수입농산물과의 차이점, 질 좋은 생선 및 쇠고기를 고르는 요령 등을 알아보았다.
▶고사리=국산 고사리는 줄기가 짧고 가늘며 줄기 윗부분에 잎이 많이 붙어 있다. 색깔이 연한 갈색이고 털이 적으며 섬유질이 연하다. 그러나 중국산은 줄기가 길고 굵으며 잎이 많이 떨어져 있다. 또 진한갈색에 털이 많고 섬유질이 질긴 것이 특징이다.
▶도라지=보통 주부들이 시장이나 할인매장 등지에서 구입하는 도라지는 통도라지가 아니라 껍질을 벗겨놓은 찢은 도라지다. 국산 도라지는 길이가 짧고 단단한 섬유질이 적어 먹어보면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중국산 찢은 도라지는 길이가 길고 먹어보면 질긴 느낌을 준다.
▶밤=알이 굵고 윤택이 많이 나며 껍질이 깨끗할 뿐만 아니라 모양이 둥근 것과 길쭉한 것이 섞여 있는 것이 국산이다. 반면 중국산은 알이 잘고 윤택이 나지 않으며 껍질에 먼지나 흙 등이 묻어 있는 것이 많다. 좋은 밤은 윤택이 나는 선명한 갈색을 띠고 쪽이 나지 않은 것, 들어 보았을 때 무게감이 있는 것이 좋다.
▶대추=국산은 윤택이 많이 나며 껍질이 깨끗하며 쪼개어 보면 벌레 먹은 것이 없으며 속이 연한 황갈색이다. 중국산은 윤택이 적게 나며 껍질에 곰팡이가 끼거나 먼지 등이 묻어 있고 과산화수소시약을 처리하면 거품이 많이 난다. 속은 어두운 황갈색이다.
▶곶감=곶감은 우선 당분이 표면으로 나와서 생기는 흰 가루가 적당히 있는 것은 자연 건조한 것으로 보면 된다. 국산은 과육이 탄력이 있고 표면에 흰 가루가 알맞게 있다. 또 꼭지 부위에 껍질이 아주 작게 붙어 있다. 중국산은 과육이 딱딱하거나 물렁물렁하거나 표면에 흰 가루가 아주 많거나 아주 적으며 꼭지부위에 껍질이 많이 붙어 있다.
▶조기=지난해 추석때 제수용 고기에 염색약을 섞은 물을 고기에 뿌려 싱싱하게 보이려고 했다가 물의가 된 적이 있었다. 성동시장 김 모씨(60)는 “제수용 고기를 파는 곳은 대부분 단골이 많기 때문에 한때 장사하는 고기와는 다소 차이가 날 수 있으며 경주에서는 그렇게 하면 당장 영업을 할 수 없다”며 “깨끗하게 장만하고 적당히 건조된 참조기는 빛깔이 좋고 배쪽에 황금색이 돈다”고 말했다.
▶쇠고기=다른 농축산물과 마찬가지로 쇠고기의 경우도 국산 쇠고기와 수입쇠고기는 구분해 판매하지만 주부들이 선뜻 식별하기는 쉽지 않다. 국산 쇠고기의 경우 신선한 고기에서 뼈를 발라내어 형태가 다양하며 겉에 칼자국이 많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덩어리 형태 또한 다양하다. 그러나 수입쇠고기는 살짝 언 상태에서 뼈를 발라내어 겉에 뼈를 발라낸 흔적이 있다. 크기가 고르며 진공 포장하여 겉은 매끄럽다. 덩어리는 타원형이다. 고기 지방의 색은 흰색일수록 좋으며 어린소일수록, 또 영양가가 높은 사료를 먹고 자랄수록 흰색을 띤다.
▶경북지원 경주출장소에서는=경주출장소는 지난 20일부터 오는 2월7일까지 설 대비 농축산물 원산지 특별단속을 실시하고 있다.
단속사항은 국산둔갑 판매행위, 원산지 허위표시 행위와 원산지표시를 손상 변경한 행위, 원산지를 혼동하게 할 우려표시 행위와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은 행위 등을 중점적으로 단속한다.
경주출장소는 소비자들이 부정유통을 신고하면 5만원부터 100만원까지 포상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신고는 1588-8112, 경주출장소 (054)743-6060번으로 하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