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공원 무산은 결국 현재 4기가 가동 중이고 2기가 추가 건설될 예정인 월성원전으로 불똥이 튀고 있다.
지난해 핵대책시민연대를 결성한 지역단체와 시민들은 경주는 전국 핵폐기물의 51.5%나 되며 전북 부안의 중저준위 폐기물의 100억배의 위험을 안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정부는 경주를 소외시키고 있다며 원전에 대한 투쟁을 결의하고 있으며 이달 말께 대규모 궐기대회를 계획하고 있다.
핵대책위는 최근 잇따라 회의를 개최하고 태권도공원 무산에 따른 경주시민들의 정부에 대한 불신을 원전과 연결시켜 대응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이들은 또 △핵발전소의 안전성 확보 △기존발전소에 대한 핵의 위험부담에 상응하는 정책적 배려나 지원 △월성원전에 임시저장하고 있는 중저준위폐기물과 고준위폐기물의 안전성 확보를 주장하고 핵폐기물 처리에 대한 대책도 없이 건설되는 신월성 1, 2호기 건설사업의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