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회관 건립 서둘러야한다
경주가 천년의 고도이자 역사문화·관광도시라는 여건을 갖추고 있지만 정작 이를 기반으로 하는 시민들의 문화적 욕구 충족은 빈곤하기 이를 데 없었다. 이런 가운데 지역문화계가 지역문화예술 창달을 기치로 오랜 숙원인 문화예술회관 건립을 위해 10만 서명운동을 들어간 것은 높이 평가할만하다.
그동안 경주는 크고 작은 문화예술행사가 개최됐지만 지역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고 정작 높아 가는 시민들의 문화수준을 채울 수 있는 큰 규모의 실내공연은 기획단계부터 배제되어 이를 갈망하는 시민들은 인근 도시인 대구나 울산, 포항 등지로 빠져나가는 실정이다.
이처럼 제대로 된 문화예술회관 하나를 기대하는 시민들과 지역문화계의 바람은 선거 때마다 후보자들이 꼭 지킬 것 같은 공약으로 대두되더니 결국 공약(空約)으로 끝나기 일수였고 현재의 경주는 점차 문화예술의 도시라는 기반을 잃어가고 있다.
인구 30만을 바라보는 경주시에 회관이라곤 지은 지 20년이 훨씬 더되는 기껏 500여명 수용의 서라벌문화회관이 고작이다. 지난해 경주시가 서라벌문화회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대대적인 내부공사를 했지만 지역에서 활동하는 예술인들조차 공연조차 제대로 하기 어려운 곳이라며 등을 돌리고 있다.
그렇다보니 일부 대형 공연을 실내체육관에서 개최하는 예가 있지만 이마저도 장소가 적합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경주에서 공연을 기획하던 많은 예술공연단체나 기획사들이 외면하고 있다.
시민들이나 지역문화계의 바람대로 역사도시 경주에 반듯한 문화예술회관이 들어서면 지역문화예술인들을 한 곳에 모아 왕성한 활동을 보장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될 뿐만 아니라 질 높은 창작활동과 공연으로 지역의 문화예술 수준이 높아 질 것이다.
그리고 그 동안 유치가 어려웠던 국·내외 대규모 공연이 경주에서 열린다면 시민들의 문화적 충족 욕구를 채워줄 수 있는 것은 물론 수준 높은 공연을 보기 위해 경주를 찾는 관광객들이 늘어나게 돼 지역은 더욱 활기를 띨 것이다.
문화예술회관 건립을 위해 시민운동 차원에서 출발은 지역문화계가 나섰지만 경주를 책임지고 있는 기관이나 정치인들은 구체적인 방안을 즉시 세워 경주가 문화예술의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