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원자로형인 영광5호기 방사능 물질 누출여파
경주환경운동연합
최근 한국형 원자력발전소인 영광원자력발전소 5호기의 방사능 해양 유출사고에 대해 같은 원자로형인 신월성 1,2호기의 안전성을 제기하며 추가건설을 반대하고 있다.
경주환경운동연합(의장 최상은, 집행위원장 김치종)은 지난 19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2003년 12월27일 영광원자력발전소 5호기 방사능 물질이 인근 해양 유출로 영광원전의 안전성에 의구심이 증폭되고 핵발전소 5·6호기 열 전달 완충판 이탈사고로 전남 영광 가마미 주민들은 극도의 불안과 공포를 갖고있으며 이번 사고는 한국형 원자력발전소의 근본적 설계결함 및 시공부실이 원인으로 추정된다는 의혹이 있다"며 "정부와 한수원이 양북면 봉길리 일대에 한국표준형인 신월성 1·2호기의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데 영광원자력발전소의 사고에서 보듯 한국형 원자로의 근본적인 설계결함과 안전성이 확보되기까지는 신월성 1·2호기 추가건설계획은 전면 백지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경주환경련은 "부지선정 및 지진에 대한 활성단층 여부를 명확히 하고 신기단층조사연구 결과(2006년 4월경, 원자력안전연구소)가 나온 후 신월성 1·2호기 부지정지 작업을 해야한다"고 덧붙였다.
경주환경련은 원성원전의 안전성 확보와 주민들의 분열을 막기 위해 경주시와 시의회는 30만 경주시민의 안전과 월성원전의 투명성을 위해 `월성원전민간환경안전감시기구조례`를 즉각 제정하고 신월성 원전 특별지원금 697억원의 사용처에 대한 소모적인 논쟁을 즉각 중단하고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한국형 원자로의 안전성 여부와 활성단층 지진대에 대한 규명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월성원전 관계자는 " "며 " "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