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학을 위해 대학 부근에 방을 구하려던 김 군(23)은 최근 낮선 경험을 했다. 부동산 중개업소 소장이 계약서를 내밀며 “여기 주인이 동남아 분이에요. 계약은 집 주인이 직접 오지만 다른 사항은 제가 챙길겁니다” 김 군은 잠시 망설였다. 방 상태도 양호했고 보증금도 적당했지만 집 주인이 외국인이라 무슨 문제라도 생기면 소통이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같은 건물에서도 월세가 5만원 씩 올랐다는 말에 마음이 급해졌다. 결국 김 군은 다른 집을 계약했다. “가격에 큰 차이는 없지만 문제가 생기면 바로 전화해 해결할 수 있는 집주인을 선택했다. 성건동 지역이 외국인이 많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부동산을 소유한 외국인이 있다는 생각은 미처 하지 못해 당황스러웠다”   경주가 외국인 명의 소유 공동주택이 도내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토교통부 외국인 부동산 소유 현황에 따르면 2022년 하반기부터 2024년 하반기까지 2년간 경주시 외국인 공동주택 소유는 152호에서 240호로 58%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포항시(34.3%), 구미시(18.3%), 경산시(22.0%)보다 훨씬 높은 증가율이다. 소유 현황을 자세히 살펴보면 경주시는 2022년 152호에서 2024년 240호로 58% 증가했다. 반면 포항시는 2022년 201호에서 2024년 270호로 34.3%, 경산시 145호에서 177호로 22%, 구미시 223호에서 264호 18% 증가했다. 그러나 등록 외국인 수 기준으로 보면 경주는 경북 내에서 두 번째다. 2024년 기준 경산시의 등록 외국인은 약 1만8501명, 경주시는 약 1만2693명, 포항시는 7057명, 구미시는 6550명 수준으로 집계됐다. 인구 규모 대비 부동산 소유 증가는 경주가 가장 가파른 셈이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단순한 인구 수 대비가 아닌 ‘소유 의도’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지역 부동산업계는 “외국인 중 특히 러시아·우즈벡·중국·동남아 국적의 체류자가 많은 성건동 일대에서는 월세 부담으로 노후 공동주택을 직접 매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면서 “최근에는 성건동에서 동천동이나 황성동으로 거주지가 이동하면서 소유 사례도 함께 증가하는 흐름이 보인다”고 말했다. 외국인 부동산 소유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외국인이 공동주택을 매입할 경우 ‘국적’은 기록되지만 실거주 여부나 체류 목적(결혼이민·유학·사업 등)은 따로 구분되지 않는다. 특히 단기 체류 외국인이나 임대수익을 목적으로 한 소유는 실제 거주 외국인과 구별되지 않은 채 동일한 수치로 집계되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는 “부동산 거래는 국적과 관계없는 사적 재산권이기 때문에 지자체 개입 여지가 크지 않다”면서 “외국인 명의 소유 증가는 지역 이동 흐름과도 연관 있다. 살기 좋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부동산 소유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문화가정과 유학생 등의 정착은 지역 활력 요소가 될 수 있다. 경주처럼 다문화 인구가 증가하고 지역은 실태조사와 도시관리 체계의 정비가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도내에서 외국인 공동주택 소유가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문경시(23호→22호)와 청도군(7호→6호)은 오히려 감소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