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화의 전통 보존과 현대화를 이끌어온 한국민화센터가 새로운 이정표를 맞이했다. 지난 달 26일, 학술연구소 온고지신에서 열린 정기총회 및 이사장 이·취임식에서 박금희 박사가 제7대 이사장으로 공식 취임했다. 한국민화센터는 민화의 예술성과 문화적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연구·교육·전시·국제교류를 폭넓게 전개하는 민화 전문기관이다. 특히 ‘현대민화의 전개와 흐름전’, ‘경주국제민화포럼’ 등 다채로운 행사를 통해 민화의 전통성과 동시대성을 조명해왔다.   국내외 민화 작가와 연구자, 교육자들이 긴밀히 협력하는 네트워크형 운영도 이 기관의 강점이다. 신임 박금희 이사장은 문학박사(문화재학·미술사 전공)로 학술연구소 온고지신과 운향차문화원 원장을 겸하고 있다. 현재 한국차명인연합회 회장이자, 한국전통꽃꽃이 연구가로도 활동 중이며, SF뉴스 객원 논설위원으로 문화 전반에 걸친 통합적 시각을 제시해왔다. 박금희 신임 이사장은 취임사에서 “민화는 민중의 삶 속에서 자라난 예술로 오늘날에는 제도권 교육에서도 가치를 인정받으며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이제는 차문화, 공예, 디지털아트, 패션 등 다양한 분야와의 협업을 통해 민화의 생명력을 확장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녀는 특히 “찻자리의 詩, 墨, 畵, 陶가 단지 장식이 아니라 사유의 창이 되듯 민화도 삶과 연결된 예술로 재해석될 수 있다”며 전통문화예술 간의 콜라보레이션을 미래 전략의 핵심으로 제시했다. 한국민화센터는 앞으로 △민화와 타 전통문화 간 융합 프로젝트 기획 및 실행 △민화기반 자격제도와 인증고시 체계 구축 △민화 콘텐츠의 디지털 및 글로벌 플랫폼화 추진 등 세 가지 핵심 과제를 중심으로 조직을 재편하고 활동을 확장할 계획이다. 박 이사장은 “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며, 민화는 전통과 현대를 잇는 다리로서 더 넓은 예술 세계로 나아갈 가능성이 충분하다”며 “한국민화센터가 그 중심에서 미래 민화 플랫폼으로 거듭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국민화센터는 지난 15년간 경주국제민화포럼을 통해 지역과 함께 민화의 정체성을 확장해왔다. 특히 경주는 민화의 발상지로 여겨지는 상징적 장소로 ‘처용문배’를 비롯한 민화 기원의 학술적 근거가 있는 도시다.   센터는 매년 경주에서 포럼을 개최하며 경주시와 경상북도 등 지역 기관의 후원 속에 민화의 중심지로서 경주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