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국가보훈대상자 및 참전유공자에 대한 보훈명예수당과 참전명예수당을 상향 조정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7월부터 보훈명예수당과 참전명예수당은 기존 10만원에서 15만원으로 인상되며, 사망한 참전유공자 배우자의 복지수당도 5만원에서 7만원으로 상향 지급된다. 이는 국가를 위해 공헌한 이들에 대한 예우를 강화하고, 고령화로 경제활동이 어려운 참전유공자들의 생활을 돕기 위한 중요한 조치다.   그러나 이러한 상향 조정이 충분한 예우를 제공하는 것인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없는지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남아 있다. 경주시의 이번 조치는 보훈 및 참전 명예수당을 지급하는 지자체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매우 중요한 진전을 의미한다. 다만 현재 보훈명예수당의 지급액은 지자체마다 다르고, 경제적 여건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경북은 평균 25만원을 지급하고 있으며, 전국에서 충남이 44만원으로 가장 많은 액수를 지급하고 있다. 이는 지역 간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국가를 위해 희생한 이들에 대한 예우가 지역 거주지에 따라 차별적으로 이뤄지는 문제를 야기한다. 보훈 및 참전 명예수당의 차등 지급 문제는 이미 수년간 제기돼왔으며, 이에 대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상호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국무회의에서 “지자체에서 주는 참전명예수당 액수가 들쭉날쭉하다”며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참전유공자들이 지역에 따라 다르게 대우받는 것은 그들의 희생에 대한 충분한 예우가 이뤄지지 않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 경주시의 보훈명예수당 상향 조정은 6.25 전쟁 75주년을 맞은 현시점에서 의미 있는 조치이지만 일회성에 그쳐서는 안 된다. 참전유공자들의 평균 연령이 매우 높은 현재, 그들의 경제적 지원은 단순히 금전적인 상향 지급을 넘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경주시는 이러한 상향 조정이 단지 한 번의 변화가 아니라, 국가보훈대상자와 참전유공자들에게 보다 나은 삶을 제공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이뤄져야 한다. 경주시와 시의회는 참전유공자들에 대한 예우를 더욱 강화하고, 보훈정책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 각 지역의 균등한 보훈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정부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는 국가가 공헌한 이들에게 진정으로 감사의 뜻을 전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