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수막은 행사, 캠페인, 선거 등 다양한 홍보 수단으로 오랫동안 활용돼왔다. 그러나 사용 기간이 짧고 대부분 폐기되는 구조 탓에 환경오염과 자원 낭비 문제를 꾸준히 발생시키고 있다. 특히 선거철이 되면 전국 곳곳에 걸리는 수천, 수만 개의 현수막은 그 양만으로도 탄식을 자아낸다.
이런 가운데 경북도의회 박승직 의원이 대표 발의한 ‘경상북도교육청 친환경 현수막 사용 및 폐현수막 재활용 활성화 조례안’이 상임위를 통과하고 본회의 의결을 앞두고 있다. 조례안은 교육청과 산하 각급 기관, 학교가 친환경 현수막을 우선 사용하고, 폐현수막을 재활용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단순한 행정 지침을 넘어, 이를 교육활동과 연계해 자원순환과 탄소중립을 실천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교육기관은 미래세대를 위한 가치를 실현하는 공간이다. 자원순환 교육은 교과서나 말로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학교 곳곳에서 생활 속 실천으로 이어질 때 비로소 효과를 발휘한다.
버려질 운명의 현수막이 환경보전 메시지를 담는 매개가 된다면 그것만으로도 교육적 가치는 충분하다.
현재 친환경 현수막은 생분해성 소재를 사용해야 해 일반 현수막보다 20~40%가량 가격이 비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소 시 발암물질이 발생하지 않고, 매립 시 빠르게 분해되는 특성을 감안할 때 장기적으로 반드시 도입해야 할 대안이다.
박승직 의원이 발의한 조례는 경주에도 필요하다. 경주시는 지난해 ‘탄소중립 실천 선도도시’를 선언했다. 그러나 선언만으로는 부족하고 이를 뒷받침할 실질적 제도가 필요하다.
교육기관을 시작으로 친환경 현수막 사용이 행정 전반으로 확대될 수 있는 이번 조례안은 시대적 요구에 부합한다. 경주시 또한 이를 단순한 참고 사례로 넘기지 말고, 지역 실정에 맞는 조례 도입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우선 경주시에서 주관하는 행사 현수막부터 생분해 가능 소재로 바꾸는 것이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친환경 현수막 사용을 단체와 기관에 권고하고 예산 범위 내에서 일정 부분 제작비를 지원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현수막 사용을 일시에 금지할 수는 없다. 여전히 가장 효율적인 홍보 수단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친환경 대체와 제도적 전환이 더욱 절실하다. 탄소중립 실천도시를 표방한 경주시라면 다른 지자체보다 한 발 앞선 선택을 보여야 한다. 선언을 넘어 행동으로 이어지는 지속가능한 행정이 지금 경주에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