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주시에 이어 경주소방서 등 관공서 직원을 사칭한 사기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7일 경주소방서에 따르면 11일 경주시 소재 한 가구업체에 한 인물이 전화로 “경주소방서에 납품할 방열복을 대신 구매해 달라”며 2000만원 상당의 거래를 요구했다.이 업체 대표는 수상함을 느끼고 경주소방서에 확인한 결과 사칭 사기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 13일에는 ‘경주소방서 소방행정과 소방사 김민재’라고 자신을 소개한 사기범이 한 사무기기 업체에 연락해 방열복과 간이소화장치 등의 구매를 요구했다. 이 사무기기 업체는 사기범에 속아 일부 거래가 진행되는 피해가 발생했고, 이후 업체가 소방서에 확인해 사칭 사기임이 밝혀졌다. 두 사건 모두 ‘중앙안전용품’이라는 동일 업체명을 언급했고, 실존하지 않는 인물의 명함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주소방서는 지역 내 주요 거래처, 문구점, 수리업체, 인쇄소 등 관련 업체에 주의 안내를 전파하고 있다. 현재 경주경찰서는 이 사건에 대해 수사 중이다.   송인수 경주소방서장은 “소방서는 어떤 경우에도 민간에 장비 구매를 요청하지 않는다”며 “의심스러운 경우 반드시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피해 발생 시 신고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국립공원공단 경주국립공원사무소도 지난 17일 치악산·북한산도봉·팔공산동부 등 3개 사무소에 공단 직원을 사칭한 사기 시도가 접수됐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특히 팔공산동부사무소 명의 사칭 사례는 실제 일부 대금이 사기 계좌로 송금되는 피해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 사건은 사기범이 공단 직원 이름을 사칭해 위조된 명함을 제시하고, 납품업체에 블라인드 또는 펜스 설치 공사(총 8000만원 규모)를 의뢰하는 방식으로 접근했다. 이후 “공사와 별도로 자동제세동기(AED)가 긴급히 필요하다”며 대금을 대신 보내줄 것을 요구해 납품업체가 실제 송금하는 등 피해를 입었다. 국립공원공단은 현재 전국 50여 개 소속기관에 사기 사례를 전파하고, 납품업체 대상 예방 홍보 강화 및 유사 시도 대응체계 구축 등 선제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앞서 지난 2일엔 한 남성이 지역 업체에 전화를 걸어 자신이 경주시청 주무관이라고 소개한 뒤 운동기구와 사무가구 등의 구매 견적서를 요구했다가 사칭 사기로 확인되기도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