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역연구원(원장 임배근)이 지난 15일 ‘경북지역 외국인 현황과 사회통합 과제’ 세미나를 통해 외국인 증가 속 지방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경북의 대응방안과 통합 정책 필요성을 밝혔다. 한국지역연구원에 따르면 출생률 저하와 지방 인구 감소, 기업의 인력난이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은 이미 외국인과 함께 살아가는 사회로 접어들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지난해 12월 기준 국내 체류 외국인은 265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5.1%에 해당한다며 세미나 참가 전문가들은 외국인 유입 확대와 정착 지원, 제도 개선을 통한 정책 필요성을 강조했다.   주제 발표에 나선 동국대 항공서비스무역학과 딴뚯우 교수는 비자 제도 완화와 유학생 정착 지원 등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북의 외국인 비율은 제주보다 낮고 수도권에 비해 현저히 적지만 지난 8년간 59% 증가한 수치는 주목할 만하다”면서 “단순노동자 비중이 여전히 높지만 전문 숙련 인력으로 점차 전환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외국인 유학생이 학업을 마친 후 지역에 취업하고 정착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가 마련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지역정착비자 신설이나 유학비자 연계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토론자로 나선 이영찬 동국대 교수는 “유학생, 결혼이민자 등이 입국에서 영주권까지 이어질 수 있는 비자 체계와 ‘원스톱 이민지원센터’ 설치 필요하다”면서 “외국인 유학생과 결혼이민자를 지역인재로 육성하기 위한 창업교육과 장기고용 연계 프로그램이 도입돼야 한다”고 밝혔다.정성훈 대구가톨릭대 교수는 외국기업 유치를 위한 정주 여건 개선, 국제학교 설립, 의료·통역 서비스 확충 필요, 김성아 전 동국대 교수는 다문화가정에 대한 심리·정서 프로그램과 시민 대상 다문화 인식 개선 교육 확대를 제안하기도 했다. 세미나를 주최한 임배근 원장은 “지방소멸 위기 시대에 포용성과 개방성을 갖춘 이민정책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면서 “외국인과 함께 살아가는 지역사회를 위해 제도적 연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